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07

비트코인에 그분(!)이 오신다!? 코인만 불장 오기.

비트코인 / 도미넌스 어제 방송 내용이 이어서 보시면 좋습니다.​어제 새벽 2시의 비트코인 움직임이 좋았습니다.​이런 움직임이 나오기를 10월부터 기다렸는데​짧지만 1시간 동안 나왔습니다.​물론 지금도 나스닥이나 S&P와 별개로 꾸역꾸역 상승이 나오고 있는데 ​이 부분은 밑에 언급을 다시 하기로 하고​일단 2시의 움직임을 최소 하루 정도 그리고 몇일에 걸쳐서 나오고​기어이 그걸 추세로 만들게 되면​2021년부터 언급해온 다음 코인 시장 불장은 코인만 불장이어야 한다.​돈을 분산시키지 않고 전세계 모든 금융시장이 얼어붙거나 박살나고 있을때​코인만 불장으로 눈에 띄어서 개미들이 다른 시장에서 손절 및 빤쓰까지 팔아서 돈을 여기서 들고오면​우린 팔고 나가면 된다! 프로젝트​아직은 그냥 행복 회로겠지만 사실 이..

금융상품 3번째 도전. 나스닥 추세 판단 주요 지점에서 비트코인 위치.

나스닥 나스닥 오늘 중요한 위치입니다.​11월 이후 금융 선물 시장이 조정 구간이었는데​나스닥의 조정 방식은 계단식 하락이었습니다.​물론 매물대 하단 꼬리에서 줄줄새다못해 와장창 깨진 비트코인보다 낫지만​2번의 고점 확인 이후 큰 하락 패턴으로 2번 주황색 동그라미에서도 그런 패턴을 고착화 해주면 안됐었는데​어쨌든 2번째 확인 이후 하늘색 동그라미에서 이전 최고점 확인을 하는 하락이 있고 나서야 반등을 했습니다.​나스닥은 그나마 의미있는 구간에서 큰 변동성으로 반등 성공했지만​비트코인은 중요한 주봉 50일선이나 95000 같은 자리에서 ​유동성만 확보한채 미친년에게 머리 잡힌것처럼 끌려내려와서​81000이라는 별 의미도 없는 어딘가에서 매수세도 못받고 그나마 있던 변동성도 죽어버렸지만​어쨌든 나스닥은 그..

비트코인 이더리움 알트코인 4시간봉 200일선.

비트코인 비트코인이 최고점이후 하락추세를 이어가는데​구조적으로 계단식 하락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다우이론상으로도 고점갱신 한번 없이 하락을 반복하는 중인데​특히 중요한 숏타점과 겹쳐서 큰하락을 할때는​이전 매물대의 하단 꼬리를 넘지 못하고 하락을 이어가고 있어요.​그럼 지금 시점에서 이전 매물대의 하단 부근이면 주봉 50일선을 기준으로 10~10.1 이 사이입니다.​95000에서 반등에 실패한것까지 감안해도 4시간봉 이상에서 ​매물대 하단이라고 하면 10만 언저리가 맞습니다.​그런데 95000에서 버티다가 한차례 무너지면서 현재 위치까지 하락을 하다보니​1시간봉이나 그 이하에서 보면 주황색선인 94000 언저리가 작지만 또 매물대 하단이 됩니다.​일단 이런식의 하락 형태를 보면 매수세가 전혀 안붙..

비트코인 주봉 50일선2. 돈을 돌리는 구간.

나스닥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확실히 X신입니다.​10월 이후 나스닥과의 교환비에서 방어력 체크할때 한번도 우위를 보여준적이 없어요.​아무리봐도 그냥 방치한 수준입니다.​일단 나스닥은 단기적 전고점 갱신을 못하면서​주황색선인 이전 꼬리 구간을 3번째 테스트하러갑니다.​이 사이가 워낙 매물대고 지지구간이고 없으니 갈때는 빠르게 가는데​만약 무난한 움직임을 생각하면 나스닥은 갈색구간을 중심으로 한동안 박스권 횡보를 할 수 있습니다.​이건 어디까지나 골드의 횡보에 맞춘 박스권이라고 생각하세요.​세번째에서 지켜주지 못하면 박스권의 범위를 검은색선까지 넓힙니다.​어쨌든 나스닥은 한동안 횡보에서 이전 저점인 하늘색동그라미를 깨게되면​반등은 나오더라도 그후는 강한 매도세로 계속 쭉쭉 밀릴 수 있습니다.​일단 나스닥은..

비트코인 네모네모 박스권. 코인 시장 불장이 오려면.

비트코인 주봉 50일선 지지 이후 1시간봉 21일선을 한번 넘어간 이후로는 박스권 횡보를 해주고​현재는 상단을 돌파한 상황입니다.​6일 방송에서 피보나치 비율 파동관점 어쩌구까지 설명했는데​현재는 0.382 0.618 목표가 전부 도달한 상황입니다.​박스권을 넘어간건 좋은데​원래 주봉 50일선을 터치하고서 한번에 반등으로 신고점 갱신을 한 경우는 없기 때문에​여전히 매수는 여러모로 불리한 상황인데​설령 다시 한번 주봉 50일선을 테스트할때에도 지지로 잘 버텨주기만 하면 ​다음 상승에서는 매수가 잘 풀어가기 좋습니다.​이제 그것과 별개로 다시 주봉 50일선 확인할 일이 없다고 한다면​이미 벗어난 박스권으로 저 박스권에서 밀려나고서 주봉 50일선을 생각하게 만들었는데​다시 박스권 안으로 진입해야합니다.​진입..

추세반전 캔들 비트코인. 1시간봉 21일선.

비트코인검은색 동그라미에서 1시간봉에서 21일선을 살짝 넘어가면서​원웨이 하락에는 제동을 걸어줬지만​당시 나스닥의 상승에 비하면 상승을 너무 못했을뿐만 아니라​애초에 하락자체가 나스닥과 교환비를 따져볼 필요도 없을만큼 큰 폭의 하락이었습니다.​그리고 21일선 밖으로 다시 밀려난 이후로는​그 위로 갈 생각도 못하고 한번 더 하락하는데​이번에도 주봉 50일선과 그 부근의 꼬리들이 뭉친 구간에서 다시 한번 매수진입이 가능합니다.​마찬가지로 21일선 잘 넘어가줘야하는건 물론이고​rsi에서 과매수 터치를 한번은 해줘야 원웨이 하락을 제대로 끝낼 수 있어요.​10월 27일에 과매수권에 있었던게 마지막인데​그 후로 과매도 연속터치만 나왔고​반등에서 과매수 터치가 없으니 또 한번 원웨이 하락으로 이어졌었습니다.​관련 ..

비트코인 주봉 50일선. 도미넌스와 알트코인 리듬.

비트코인 주봉 50일선 결국 도착했습니다.​21일선에서 어떻게든 비벼보던거​월요일부터 화요일까지 그냥 무식하게 밀어버렸어요.​전저점을 기준으로 해서 주봉 50일선 가기전까지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는 무언가도 없었고 이제 주봉 50일선 하나 남았습니다.​2023년 2024년 2025년 전부 주봉 50일선에서 어떻게 비벼보면서 변동성 죽이다가​돈 넣어주는 패턴을 2025년에는 2번을 보여줄지 어떨지의 상황입니다.​롱숏이 뒤바뀐 상황 어쩌구는 11월 3일 방송에서 확인하시고 일단 현재 상황 확인입니다.​이전 전저점에서는 좋은 모습을 확인하고 무언가를 해볼 수 있었지만​주봉 50일선에는 일단 매수를 받아보고 다음 대응 어떻게 할지를 봐야하는 시점입니다.​비트코인 / 도미넌스같은 패턴의 구간을 색깔로 표시했습..

징글징글한 코인시장. 나스닥 돈 좀 뺏어와라 비캐!?

비트코인 지난 글에 이어서 최근 방송한것들 합쳐서 상황요약을 간략히 하는것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검은색 하락추세선을 넘어가며 이더리움등이 꿈틀 해주면서 여러가지 매수에 분위기도 좋고​이제 고점 갱신한 앞둔 상황이었어요.​고점 갱신을 해주고 나면 조정이 오더라도 그때부터는 공격적으로 담아볼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실제로 어느 지점까지 조정이 오느냐에 따라 비트코인 상태 너무 좋고 평범하게 좋고등등​어쩌구 저쩌구 하는 와중에도 어쨌든 매수와 매도는 1 : 1 수준으로 비슷하게 해볼만 한 상황이기에​고점 갱신 하기전까지는 끝까지 긴장풀지말고 조심해야하는 상황이었어요.​주황색 동그라미는 지난 고점과 같은 지점에서 더블탑으로 인식하고 숏이 진입하고 어쩌고 하면서​정작 중요한건 보라색 동그라미였습니다.​저때 고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중요한 자리에서 그 느낌!?

금요일 이전 글의 댓글로 퀴즈를 냈었습니다.​비트코인퀴즈입니다!​일봉까지 마무리 되고나서 봐야하지만현재 비트코인 차트에서 매수 기준 좋은 점과 나쁜 점들이 있습니다.​이것들을 조합해서 매수와 매도가 어느쪽이 몇 대 몇으로 더 유리한지 한번 판단해보세요.단순 숫자만 생각하지 마시고 어떤점들이 좋고 어떤점들이 나빠서인지 이유를 꼭 써보세요.이미 제가 설명했던것들에 거의 다 있는 내용들입니다.그걸 조금 조합하면 되는건데 이런거 판단하는 연습 해보셔야합니다.​퀴즈와 당시 비트코인의 차트 상태였었습니다.​단기적으로 보면 예쁘게 계단식 상승 중이었고 108500 에서 계속 눌리다가 돌파하면서 ​매수세가 기분좋게 나오는 시점이었어요.​그리고 저녁에 또 한번 댓글을 쓰면서 2번째 퀴즈를 내는 댓글을 썼었습니다.지금 시..

비트코인 가라고 등떠미는 골드와 나스닥. 개미 돈 안주기 위한 온 몸 비트는 비트코인.

골드 일단 골드.​기어이 토했습니다.​상승도 변동성이 컸기에 하락도 변동성은 크겠는데 ​골드는 단순히 토하는것만 중요한게 아니라 이저 변동성 줄이면서 안정화가 되야합니다.​그런데 지금 골드의 문제는 무너뜨린 파랑색선을 아직 리테스트도 못했어요.​그래서 변동성이 당장에 죽을까? 하고 조금 상황을 지켜봐야합니다.​지금의 골드는그 어떤 화폐보다 화폐처럼 움직이는 차트입니다.​투자하기 좋으려면 화폐가 안정화되야하는데​그냥 안정화가 아니라 한차례 눌리고 나서 안정화가 특히 중요합니다.​골드는 여기서 추가 조정이 오면 주황색선 더 큰 조정이면 ​3700대의 꼬리들과 피보나치 비율선이 많은 구간 까지 조정이 올 수 있어요.​그럼에도 변동성의 문제일뿐 당분간은 하락 조정 타이밍으로 넘어가게됩니다.​신고점에서 의지할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