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달라 242

트럼프 이후의 금융시장 끄적끄적. 금융시대 망상.

요즘 투자 시장에서 최대화두는 트럼프 정부 관세이야기입니다.​누군가는 4월 2일 관세 발표 이후 미장이 쑥대밭이 됐다고도하고​누군가는 트럼프가 대통령 취임이후 이미 미장은 무너지기 시작했다고도하고​누군가는 한국인이 미장으로 몰려가서 그렇다고도...​어쨌든 현재 미국 증시를 포함해서 현물 투자 시장은 하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물론 당연하지만 저는 그런거 신경도 안쓰고 투자하는 것은 물론이고​애초에 그런건 투자 시장에 영향을 끼쳐봐야 ​진짜 그런게 영향있다고 믿는 개미들의 돈이 모여서 그마저도 생각이 하나로 모이지 못하기때문에​기껏해야 1~3% 정도나 될까 말까라고 생각합니다.​무시해도 되는 수준이예요.​투자 시장은 기관과 세력, ​생각을 모아서 돈을 한 곳에 집중할 수 있는 집단만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추세전환 변곡점에서 매수에 좋은 신호들.

도미넌스 / 비트코인 위에는 도미넌스고 아래는 비트코인입니다.​11일 19시 30분쯤을 기점으로 도미넌스 최종 방어선인 61.96을 넘어갔습니다.​3월 3일 기껏 단기적인 전저점까지 낮춰놨는데​상승세가 무너지지 않고 있었는데​그나마 도미넌스 상승이 비트코인 상승과 나왔기에 한번만 더 눌러주기만 하면 되는걸​3월 11일 2시부터 비트코인 하락에 도미넌스 상승이라는 안좋은 리듬으로 바뀌면서 ​다시한번 코인 시장 전체적으로 위기인 상황입니다.​파랑색선을 보시면 기존에 커플링으로 좋은 리듬 가져오던걸​디커플링으로 바꾸며 개판이 난것도 확인하실 수 있을거예요.​2월부터 시작한 무지성 숏진입도 여전하고​그나마 변동성때문에 매수세를 붙여놔서 나스닥보다 낫다고는 하지만​위기인것 자체는 변함이 없습니다.​검은색 동그라미..

금융시장 추세 변곡점 지표들.

비트코인3일 방송 내용을 중심으로 그 다음을 설명하겠습니다.​3월 1일 0시 이후 검은색 동그라미​저항받은 지점이 2025년 이후 가장 단단하게 만들어준 매물대 하단입니다.​저기서 매물대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하고 조정이 왔는데​조금 강하게 나왔습니다.​밑에 더 자세하게 보겠지만 3월 3일 23시부터 4일 22시까지 약 1일을 걸고 강한 하락이 있었습니다.​그 과정에서 중요한걸 보자면​파랑색 2번 동그라미 반등.​일단 기존의 숏스퀴즈 상승이후라도 변동성만 강했을뿐.​어쨌든 숏스퀴즈 이후는 매도세가 나옵니다.​매수와 매도 단타싸움인데​2번 파랑색 동그라미는 당연히 그냥 무지성 롱 단타 먹을 자리긴합니다.​피보나치 비율에 맞춰서 0.618- 0.782 깔끔하게 떨어지는 단타자리였어요.​그럼 그 다음 하락에서는..

비트코인 매물대와 빈공간. 못하는 사람들.

비트코인 왼쪽은 74000 신고점 돌파로 상승을 하던 순간을 1봉으로 2일정도를 본 상황입니다.​그리고 오른쪽은 현재 비트코인 1시간봉으로 본거예요.​그리고 1분봉에서 지지 저항선이 될만한 선들을 그어서 그대로 현재 시점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여기서 눈여겨 봐야할 점은 1분봉에서나 지지 저항으로 사용할 만한 선들이​1시간봉 이상의 차트에서 영향을 다 받고 있다는거예요.​물론 그리 강한 지지는 아니고 자리만 나오면 계속 매도세로 밀고 있는것도 맞지만​숏진입 물량 회수하는 모습이 없는건 둘째치고​2월내내 매수세 다 죽었나 싶은 상황에서도 1분봉 수준의 지지 저항선이 작용한다는게 애초에 이상한겁니다.가장 왼쪽차트는 현재시점이고​오른쪽은 21~22년의 모습입니다.​특히나 그 시절에 코인을 계..

최근 방송 정리와 돈의 흐름. 골드 엔화중심의 코인 시장 정리.

달라 / 달라엔 / 골드 지난번 골드 퀴즈에 대한 정답까지는 아니지만​일단 지금 비트코인의 움직임이 금융시장 움직임과 엮여있다보니​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흐름을 보자면​2024년 12월 이후 나스닥등의 현물 증시 시장도 그렇지만 ​코인 시장도 12월 이후 월봉 음봉도 그렇고 상태가 안좋아지는데​그 시장은 달라가 기어이 2년간의 박스권 횡보에서 상단 이탈한 이후부터 ​현물 시장쪽의 상승 추세가 꺽이기 시작했습니다.​2025년을 1월은 파랑색구간. 2월은 검은색 구간으로 나눌때​가장 위의 달라차트를 보면 전체적으로 보면 박스권 횡보지만​상단이탈로 상승추세를 받은 이후라 변동성이 큰 횡보입니다.​화폐가 불안정하니 대부분 현물시장에서는 매도세가 나오기 시작했지만​이때 유일하게 상승으로 가기 시작한 차트가 가장 아..

카테고리 없음 2025.02.27

퀴즈)금융상품간의 관계. 비트코인 큰추세의 이평선.

달라달라는 차분하고 침착하게 차트 잘 지켜주면서 조정기간 중입니다.​하락평행채널인 만큼 조정이나 횡보등등 해줄거 해주고 나면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겠지만​파랑색으로 표시한 캔들 이후로 매수세를 단기적으로 조져놨으니​추가 조정에 맞춰서 현물 차트는 또 매수를 노릴 수 있는 시기였는데​나스닥이나 금은 그 틈에 할거 다 해줬지만​비트코인은 오히려 계속 꼬라박는 중입니다.​매도세가 지독하다면 지독하고 세력들이 아직은 보내줄 생각이 없다라고 생각하며 ​가두리 양식만 하고 있었으니 그러려니 하는데​어쨌든 달라는 다시 반등을 할 수 있는 구간까지 조정이 왔어요.​추가 하락이 있어도 달라차트는 조정이 오면 또 매수 또 매수입니다.​나스닥 / 비트코인달라가 매수세 조진날 나스닥과 비트코인 저점을 보면 검은색 동그라미인데​..

투자상품의 존재 이유. 화폐의성격. 이더리움btc와 도미넌스.

달라어제 아침부터 달라가 갭상승을 하면서 빠르게 빨강구간 저항 구간까지 올라갔어요.​그것때문에 아침부터 비트코인은 물론 나스닥같은 미국증시도 하락을 하며 시작하게 됐는데​보통 저런 달라의 급격한 변동성이 나올때​저게 진짜 상승인지 아닌지를 알기 위해서는 조건반사처럼 골드와 미국국채금리 차트를 확인하셔야 합니다.​그 둘이 각자의 커플링 디커플링 방향으로 제대로 움직이지 않았다면 가짜 움직임일 확률이 큽니다.​그러니까 실제로 현물 투자 상품들에서 하락이 나와도 개미를 털어내기 위한 또는 청산을 위한 휩쏘 움직임일 확률이 높아요.​동시에 모든 차트에 적용되는 내용이지만​중요 저항선이나 지지선 기준 정말 돌파하거나 무너뜨릴 생각이면​도착할때까지 빠르게 움직임이 나오지 않습니다.​물론 빠르고 강한 장대양봉이나 음..

달라와 나스닥과 비트코인. 알트코인에 돈 뿌리는 리듬.

달라 달라는 1시간봉이긴 해도 똑같은 저항 지점에서 3번째 도전을 하고 있는데​지금은 밀리는듯 보이지만 이건 추세선 벗어나기 전까지 봐야합니다.​일단 현물 시장 전체적으로 매수에 좋으려면​초록색선처럼 기어이 추세선 밖으로 밀려나서 ​파랑색 구간 지지확인에서 리테스트로 한번 더 밀리는것까지 가야합니다.​추세선 벗어나도 화폐 차트는 기본적으로 지지, 저항선의 신뢰가 강하기 때문에​그냥 버티고 있으면​다시 매수세 붙기가 좋아요.​나스닥나스닥도 약 1달정도의 횡보 수렴에서 추세선을 넘어가고 지지 확인 중입니다.​어제의 도지처럼 확실하게 넘어가고 횡보 이후 또 한차례 상승을 하려면​역시 달라가 무너져줘야하는데​나스닥이 추가 매수세에 성공할지 지켜봐야겠네요.​참고용으로 오른쪽 위에 도지 차트 올려놨어요.​어제 도지..

비트코인 매도세 매수세 기울기 테스트. 달라의 출발선 돌파.

비트코인 현재 / 21년 9월 어제 방송에 중요한건 나름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간단하게만 정리하고 넘어가면​21년 9월 상황과 비슷은 합니다.​그렇다고 같은 패턴으로 움직인다가 아니라​체크하면서 대응을 어디서 해야하는지를 생각해야합니다.​먼저 지금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건 기울기입니다.​기울기를 비교하는 이유는 그전에 이상하게 강한 매도세.(눌러주는 모습.)​그리고 이정도 매도세면 무너져야하는데 무너지지 않고 버틴다.(실제로 받아주는 거래량은 계속 확인됨.)​단순히 가격을 받아만 주는것이 아니라 중간중간 추세가 완전 꺽이지 않기 위해​추가 매도세까지 계산해서 반등으로 박스권 형성.​그러면서 매도의 강함을 계속 테스트.​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기울기 비교를 통해 체크를 해야하는 상황입니다.​당연히 추세, 지..

비트코인 횡보에서 하모닉패턴. 달라와 미국채권.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11일 2시경에 고점갱신 한번 더 한이후 주말간의 횡보에서​월요일이 되고 변동성을 키워주고있습니다.​박스권 안에서 변동성 커지는데서 하모닉패턴에서 사이퍼패턴 또는 박쥐패턴을 보여주고 있고​현재는 사이퍼패턴에 더 가깝습니다.​D지점에서 0.382되돌림 비율까지 목표로 할때 1:1로 손익비를 잡으면​11일 0시의 전저점을 깨지 않습니다.​이 경우 매수세가 붙을 수 있는데​0.618까지도 목표로 설정할 수 있지만​하모닉패턴 최종 목표가인 추세선까지를 생각하면​박스권을 끝내고 다시한번 고점갱신을 노릴 수 있어요.​조금 오래 보신분이라면 하모닉패턴을 언제 사용하는지 설명한거 기억하시겠죠?​저렇게 조정구간에서 횡보수렴을 할때 추세전환 또는 계속 추세이어가기 상황에서는​여유가 되면 확인해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