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차트분석의기초 13

횡보 수렴 패턴 형태 모음. 파동 카운팅 종료 후.

10월 9일 방송에서 파동 패턴 기초 이론 방송을 했었습니다. ​ 그 중에서 5번째 학습목표 패턴 형태 관련해서는 제대로 알아보지 않았는데 ​ 단순히 파동 패턴 이후 횡보 수렴이 아니라. ​ 추세 지속을 할지. 추세를 전환해 줄지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 몇가지 일정 패턴들을 암기하면 다우이론으로 추세 변경 전에 더욱 빨리 대응해서 ​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 꼭 파동 패턴 이후 횡보 수렴에서 뿐만이 아니라 ​ 어떤 상황에서도 횡보 수렴이 발생 했을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 시험(기출 문제 : 이전 차트)에 자주 나오는 패턴 위주로 풀어보겠습니다. ​ 특히 시험에 자주 나오면서도 매우 중요한 ​ 상승쐐기 후 헤드앤숄더. 하락쐐기 후 역헤드앤숄더. ​ 두 가지는 단순..

앱토스 분석. 알트코인 신고점 갱신 차트.

앱토스의 경우는 달라차트도 btc 차트도 신고점을 계속 갱신하고 있습니다. ​ 알트코인 달라차트쪽이야 수렴이후 추세 이탈만 보면 되기때문에 ​ 신고점 갱신에 의미가 적은데 ​ btc 차트에서 출발점을 찾기가 어렵고 ​ 특히 의미있는 출발선을 찾기가 힘듭니다. ​ 지금 당장이야 막연하게 상승만 하고 있으니 ​ 멍멍이나 야옹이나 죄다 수익내면서 돈복사 하기 쉽다는 소리 나오지만 ​ 이런 차트가 무너지면 90%이상 개미가 고점에 물려서 영원히 구출 안되는 상황이 나와요. ​ 그래서 이번에는 이런 차트 대응법을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왼쪽이 달라차트이고, 오른쪽은 btc 차트입니다. ​ 피보나치 비율이 있는데 이건 나중에 보세요. ​ 먼저 봐야할 건 달라차트쪽의 추세선 이탈입니다. ​ 달라차트는 수렴에서 하락추..

급상승 하는 차트가 죽어가는 2가지 패턴.

달라 / 나스닥 먼저 달라와 나스닥을 보면 ​ 달라의 주봉 50일선 저항 확인한 이후 다시 한번 장대음봉으로 하락이 나왔고 ​ 이제 100일선과 꼬리들의 지지에서 반등을 노려야 합니다. ​ 나스닥은 달라의 하락에 비해 제대로 매수세가 붙지 못했는데 ​ 주봉 200일선을 중심으로 꼬리들이 많이 겹친 저항 구간까지 반등했습니다. ​ 나스닥의 경우 주봉 200일선을 두고 제대로 된 지지와 저항에 대한 지표를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 지금은 이평선보다 꼬리에 대한 지지와 저항에 더 중점을 두고 분위기만 파악하며 ​ 세세하게 따져가면서 방향을 파악해야합니다. ​ 달라는 몇주째 해주고 있는 매도세 죽이기 과정을 거쳐야 해서 ​ 일반적으로는 큰 변동성을 기대하기 힘듭니다. ​ 속도가 붙는다면 지금 위치에서는 상승쪽..

알트코인 매매 타이밍

최근 코인시장에서 작게나마 좋은 분위기가 나오니까 ​ 변동성 없다고 생각했는데 ​ 알트코인에서 수익 못 낸걸 아쉬워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 하루에 1~2% 수익이라도 계쏙 노리려고 하는 사람들이야 각자 수익을 잘 냈겠지만 ​ 변동성 없다고 시장에 대한 관심을 놔버리는 순간 수익 타이밍 놓치는 것까지는 괜찮은데 ​ 꼭 뒤늦게 조금이라도 수익내겠다 ​ 혹은 ​ 아무래도 하락장은 끝난것 같다(근거없는 자신감의 행복회로) ​ 라는 생각으로 뒤늦게 들어가요. ​ 이런 경우 항상 잘 물리고 손실난 경험이 있을텐데 ​ 그런건 욕심 앞에서 다 잊어버리는 것이 사람입니다. ​ 물론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 다음 반감기이후 불장이니 ​ 혹은 25년에 불장 온다더라니 하는 소리 아무리 들어도 ​ 그 사이 구간에서는 아무..

환율 고점 찾기 교환비 숙제 가이드 2.

나스닥 / 달라 1번 글에서는 교환비 사용 목적과 사용방식의 기초를 설명 했고 ​ 이제는 실전 적용을 해보겠습니다. ​ 대략적인 가이드일 뿐이니 숙제할때는 여러분 나름의 기준을 세워서 ​ 기준에 맞춰 교환비 계산을 해보시면 됩니다. ​ 이번에는 달라의 상승에 따른 구간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 최저점이 아니라 횡보를 통해 나스닥 거품을 만들고 횡보 구간을 돌파한 시점에서 ​ 고점의 몸통을 기준으로 같은 구간 나스닥의 움직임을 비교해봤습니다. ​ 이렇게 하면 쓸데 없는 거품 구간을 빼고 순수하게 디커플링 하는 구간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보라색 구간도 나스닥이 거품을 낀 구간을 빼고 ​ 스치기만 해도 나스닥 하락하면 거품을 빼는 초록색 구간의 하단부터 ​ 예상되는 고점은 IT버블 시절의 나..

추세선 활용 오일. 환율 고점 찾기 교환비 숙제 가이드 1.

오일 어제 방송에서 양과자점님이 오일 문의 해주셨는데 ​ 마침 방송으로 추세선의 기초를 설명 중이었고 오일차트도 추세선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 물론 매물대의 중요 지점에서도 꼬리등 중요 선들은 파랑색으로 표시를 해뒀어요. ​ 오일은 기존에 상승평행채널을 지켜주며 상승을 하다가 ​ 주황색 동그라미에서 평행채널의 상단을 벗어났고 ​ 평행채널 상단을 지지해주며 계속 상승세를 유지해 주는 사이 ​ 파랑색 동그라미 2개에서 고점을 살짝 낮추며 ​ 갈색 동그라미에서 상단을 무너뜨렸습니다. ​ 이때 하락평행채널을 또 하나 만들 수 있게 되면서 ​ 조정으로 하락평행채널의 하단과 ​ 매물대의 꼬리 지지구간을 지켜주며 반등에 성공했고 ​ 현재는 상승평행채널의 하단을 돌파하면 다시 한 번 평행채널 안으로 들어왔어요. ​ ..

장투를 하는데 필수 차트 요소. 베이스캠프.

최근 추세선 돌파에 따른 상황과 비슷한 구간의 차트입니다. ​ 추세선은 차트의 기초이고 이곳 에서부터 많은 캔들 패턴들이 파생되며 ​ 매매 진입의 기준이 되는 선들입니다. ​ 지지, 저항선과는 다른 개념으로 보셔야 해요. ​ 지지, 저항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매매 진입 타이밍은 추세선을 잡는게 기본입니다. ​ 떨어지는 칼날을 잡고 저항 구간에서 청산하는 것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 추격매수와 물량을 다 던지며 빠져나가는 기준은 추세선이 되요. ​ 그럼 어떤 추세선은 매매 진입 기회가 되는 정도로 끝나는데 ​ 어떤 추세선은 크게 무너지고 장대양봉이 나올 것이라고 판단 할 수 있을까요? ​ 조건은 2가지입니다. ​ 1. 한달 이상의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추세선. ​ 2. 베이스캠프를 형상하는 구간의 추세..

답답한 주식시장. 원달라 환율로 보는 매물대 활용. 매물대 연습 문제.

코스피 / 원달라 환율 최근 달라의 하락 횡보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나스닥과 ​ 나스닥을 따라서 상승세를 탄 비트코인에 맞춰 펌핑중인 알트코인 시장 등을 볼때 ​ 최근 현물 매수 투자 시장은 단기적으로 나마 수익을 챙겨갈 수 있는 좋은 상황입니다. ​ 이런 상황에서 유독 상승 못하는 투자 시장은 한국 주식 시장​입니다. ​ 원인은 삼각수렴 상단을 돌파해 버린 원달라 환율에서 하락세가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 달라의 움직임에 맞춰 나름 하락횡보를 하고 있지만 ​ 달라와는 다르게 시원한 하락을 보여주지도 않고 ​ 수렴 돌파 때문인지 거품조차 끼지 않습니다. ​ 왼쪽은 코스피 차트이고, 오른쪽은 원달라 환율 차트입니다. ​ 2020년 3월을 기준으로 환율은 이미 고점을 돌파한 상태입니다. ​ 반면 코스피..

달라를 활용한 거품과 버티기 차이.

달라 / 나스닥 왼쪽은 달라차트고, 오른쪽은 나스닥 차트입니다. ​ 어제와 오늘까지 상황을 보면 ​ 달라는 상승하는 추세이지만 2일만 보면 횡보를 하고 있어요. ​ 1번 파랑색 동그라미에서 달라는 108.6을 터치할때 나스닥은 11500까지 하락했습니다. ​ 그 다음 움직임에서 2번 주황색 동그라미에서는 ​ 나스닥이 11780을 도전하며 달라의 하락이 나왔어요. ​ 3번 갈색 동그라미에서 달라의 상승이 나오는데 나스닥은 조정을 주고 또 11500을 터치했습니다. ​ 1번과 3번을 비교하면 나스닥은 같은 가격대를 만들어 주고 ​ 달라만 상승이 나왔습니다. ​ 1번에서 3번이 나스닥의 가격 버티기라고 보시면 되요. ​ 그리고 다시 달라가 조정이 와서 4번 보라색 동그라미가 1번과 같은 위치에 왔을때 ​ 나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