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57

코인시장 신경써야할 리스크요소.

비트코인왼쪽은 일봉 오른쪽은 주봉입니다.​위는 2025년, 아래는 2021년입니다.​23일 목요일에 일봉기준으로는 참 안좋은 모습으로 마무리가 됐습니다.​24일 금요일에는 이전 최고점 저항만을 확인하고 끝났습니다.​이런 모습은 2021년 11월 중순 신고점을 만들었을때의 모습과 같아요.​아무리 좋게 봐줘도 21년 3월때와 같은 상황입니다.​비트코인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안좋은 모습입니다.​사실상 지금 위치에서 다시 한번 신고점을 갱신해도 멀리 못가고 끌려내려올 확률이 높으며​비트코인은 11~12만 즈음에서 신고점을 만들어 주고 다음 반감기 이후에 다시 새로운 신고점 매물대를 만들 확률이 높아요.​물론 별개로 애초에 비트코인을 현물시장에서 수익을 내는건 진작에 힘들었고​알트코인에서 수익을 노려야 합니다..

코인시장 좋았다가 나빴다가.같은 자리 다른 해석 방법.

도미넌스 / 비트코인19일 월요일 방송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긴 했는데​글로 다시 정리해보자면​19일 1번 하늘색 동그라미 부분은 102000~6000 매물대에서도​12일 전고점을 갱신하는 모습입니다.​그런데 4시간봉 rsi 기준으로 볼때 매물대 횡보에서 또 거품이 끼는 모습이었어요.​그것도 4월의 횡보와 함께 대거품 2개째 생성 중입니다.​이건 블로그 글에도 설명하고 방송에서도 했습니다.​어쨌든 이런 거품 상황일때 전고점을 갱신을 해도 추가 상승을 생각하기보다​전고점 무너지면 빠르게 숏진입하는데 주목을 하게됩니다.​그게 1번 하늘색 동그라미 부분의 모습이예요.​그리고 저 하락에서 거품을 끄기 시작하는데​19일은 신나게 하락을 하는 중에도​상승평행채널의 하단, 그리고 매물대 하단인 102000활용을 생각해서..

투자에 대한 생각을 주말 밤에 꼰딩끄적.

지금 위치에서의 움직임은 이번주 방송 2개에서 다 똑같이 이야기했고글도 썼으니 추가적으로 뭔가 언급은 안하겠지만다들 계획을 세운게 있다면 그대로 매매하시면 됩니다.​이제와서 ​아무계획이 없었다 = 아무생각 없다 = 돈벌고 싶은 마음 없다​이런 뜻입니다.투자시장에서 아무생각 없다는건 돈벌고 싶지 않다는 것과도 같은말입니다.2025년은 이론공부에 집중하는게 아니라계속 실전매매로 감각을 유지하며 더 날카롭게 갈고있어야 하고,이론은 공부 끝났는데경험이 부족하면 조금 늦었지만 경험을 쌓을 시기입니다.​그러니까 이제와서 투자 공부를 해서 무언가 성과를 내겠다?힘들다 어렵다 이전에 양심이 없는거예요.그리고 양심은 지능에 비례합니다.양심이 없으니 2025년에 들어서서 몇개월 무언가 투자공부 끄적끄적하면불장에서 몇 배에..

리듬이 바뀐 돈과 투자상품. 음모론을 위한 음모론.

나스닥어제 방송에서 간략하게 언급했던것들을 정리해볼께요.​일단 나스닥입니다.​비트코인은 저항에 걸리고 알트코인에서 슬슬 돈을 뺄 무렵​나스닥의 경우는 다음 저항 구간까지 이격이 있었는데​어제 저항 구간에 도달했습니다.​현재 2차 저항 구간이라고 적어놓은 곳에서 멈춰있습니다.​미국증시나 비트코인도 그렇고 현물 상품들의 매수세가 상당했는데​나스닥도 1차 저항구간은 "이런걸로는 날 막을수 없으셈."이라는 듯​그냥 장대양봉으로 훌러덩 넘어갔습니다.​월요일의 경우 갭상승 이후 장대양봉이라 매수세가 정말 강하긴했어요.​그 매수세가 이번주내내 작용해서 양봉만 뿌려대고 있는데​이번 2차 저항구간에 걸릴때는 1차때와 다르게​엔화와 골드의 위치가 다시 강세 위치에 걸려있다는게 조금 다릅니다.​달라 / 엔화오른쪽의 엔화부터..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시총과 불장 관계. 이더리움계열 알트코인 차트분석. 코인 고르기.

비트코인 / TOTAL2 / OTHERS가장 왼쪽은 비트코인차트입니다.​가운데는 알트코인 시총에서 스테이블 코인까지 포함된 차트이고​가장 오른쪽은 알트코인 시총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제외한 차트로 진짜 알트코인들만 모은 시총입니다.​가장 오른쪽인 아더스 차트와 가운데 토탈2 차트를 비교해서​진짜 알트코인에만 정확하게 돈이 들어오는건지​컴퓨터에 의해 비트코인 가격에 맞춰 알트코인이 움직이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가치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그냥 흐름만 볼거면 둘 중 하나만 골라서 보셔도 됩니다.​글로 설명하려면 너무 길기 때문에 5월 12일 방송에서​차트 3개를 보면서 코인 시장에 본격적으로 돈이 들어오는지​그런 흐름이 알트코인 불장으로 이어지는지를 확인하면서​어떤 기준선을 찾아내는 방법을 설명했어요.​자세한..

비트코인 조정과 매수계획. 이더리움BTC와 알트코인 불장 타이밍.

비트코인 차트가 지저분한데 그냥 다른건 다 건너뛰고 검은색 구간과 파랑색 피보나치 비율 모여있는 곳만 확인하세요.​어차피 중요한건 2025년 2월 매물대를 기어이 장대양봉으로 3일만에 돌파해줬다는겁니다.​매물대 조정을 1번만 받고서 장대양봉으로 다 넘어간게 중요하죠.​신고점 갱신을 앞두고 몇몇 중요한 저항이 있는데​그 중 하나가 파랑색 피보나치 비율이 겹쳐있는 곳에서 저항이 나온다는거예요.​캔들의 꼬리 저항들을 받는게 아니라 특별하지 않은 구간에서 멈췄다는걸 확인하세요.​바로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이번에는 4시간봉인데 왼쪽은 2024.11~2025.2 이 기간 박스권 횡보를 해줬을때 상황입니다.​오른쪽은 현재 차트입니다.​오른쪽 현재부터 보시면 특별한 꼬리 저항 그런게 아닙니다.​피보나치 비율 저항이긴..

코인시장 횡보속에서 추세리듬. rsi 연속터치.

비트코인 4월 23일정도 이후의 비트코인은 사실상 횡보입니다.​상승평행채널 안에 있으면서 비트코인 상승 이후 횡보라고​도미넌스가 약하락같은 횡보를 해줬지만 그래봤자 횡보고​그래도 그 틈을 노린다고 몇몇 알트코인은 그틈에 상승을 보여주긴 했습니다.​미니불장이라고 하기는 뭐하고 그냥 하루에 단타한번해서 끝내야하는 그런 상승이었지만요.​그마저도 4월 30일 오전 6시를 기준으로 도미넌스 64.43을 넘어가면서 끝났습니다.​그때부터 알트코인도 그렇지만 코인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갈 타이밍이었어요.​그래서 그 날 조정이 올까 했는데 그날 미장이 열린 이후는 하락으로 가는듯 하더니 ​추가 하락은 없었고 오히려 반등을 했습니다.​그 부분이 파랑색 구간이예요.​당연하지만 저런 상승에 속아서 매수 따라가면 안됩니다.​애초에..

알트코인 불장 불러오는 마지막 한 조각.

엔화 / 골드엔화와 골드는 반등과 조정의 타이밍이 올떄가 됐는데 됐는데 하던걸​10일쯤이 되서야 뭔가 반응이 오고있습니다.​그나마 골드는 조정추세로 잘 나오는 편입니다.​기존 매수세가 너무 강했으니 조금 더 강한 조정겸 파랑색 추세선을 무너뜨리는 음봉정도 떠주면 더 좋은 상황데​엔화는 매수세가 생각보다 안나오고 있습니다.​검은색선을 넘어가야 본격적으로 상승세가 더 나오면서​현물 시장 전체적으로 매수세가 이어질텐데​일단은 그래도 아직까지는 잘 버틴다 정도만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지금 만들어진 차트만으로도 단기적으로는 매수에 더 베팅하기 좋은 모습입니다.​그리고 초보분들을 위해서 상황 요약을 하자면​달라엔 차트 상승은 엔화의 약세를 의미하며 엔화 약세로 가면 달라인덱스가 상승합니다.​엔화 약세로 가야 현..

비트코인 주의할 것들.

비트코인 간단하고 빠르게 주의할점만 집고 넘어가겠습니다.​어제의 일봉 양봉 1번 파랑색 구간처럼 오늘 장악당하면 안됩니다.​오늘이 아니어도 2번 갈색 구간처럼 고점에서 더 매수세 받지 못하고는​조정타이밍에 올린거 다 내리는 이브닝스타 같은 모습이 나오면 안됩니다.​조정이 오더라도 최악에서는 보라색 꼬리가 뭉친구간, ​지난주 매물대 상단만큼은 반드시 지켜줘야 합니다.​보라색 구간아래 가격대 까지 내려오면​74000대였던 4월 7일 찍어준 전저점을 다시 테스트합니다.​이 경우 저점을 한번 더 깨는 모습도 나오겠지만​이러면 최대난관을 중심으로 매물대 중심구간이 확정되면서​2024년 11월 상승 이후 신고점 구간에 거대한 박스권 매물대 싸움에서도​하단에서 한동안 횡보를 할 수 있습니다.​이러면 25년 2분기 6..

비트코인 장대양봉 타이밍과 불장으로 가는길. 한 주간 금융시장 총정리.

이번 한주가 바빠서 글쓰기보다는 시황분석을 방송으로 매꿨습니다.​그래서 오늘글은 방송내용들을 간단하게 총정리하는 정도이고​자세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세요.​그쪽에 매매진입타이밍이라던가 중요한 내용들은 설명 다 했습니다.​달라 / 엔화위에는 달라인덱스와 아래는 달라엔 차트입니다.​최근 현물 상품은 달라보다는 엔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데​그 기준이 된 24년 8~9월 기준으로 보면​달라인덱스의 방향성과 움직임 자체를 엔화가 영향을 노골적으로 준 모습이 보일거예요.​2023년부터 달라엔 차트는 현물상품처럼 상승추세를 보여줘서 이게 화폐가 맞나? 싶은 생각이 들 지경일때도​달라인덱스는 박스권 횡보수준이었지만​24년 9월 어딘가를 기준으로 달라인덱스와 달라엔 차트는 커플링 수준이 되어버렸습니다.​그래서 달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