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이야기

퀴즈)금융상품간의 관계. 비트코인 큰추세의 이평선.

2025. 2. 17. 00:19
728x90
반응형

달라

달라는 차분하고 침착하게 차트 잘 지켜주면서 조정기간 중입니다.

하락평행채널인 만큼 조정이나 횡보등등 해줄거 해주고 나면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겠지만

파랑색으로 표시한 캔들 이후로 매수세를 단기적으로 조져놨으니

추가 조정에 맞춰서 현물 차트는 또 매수를 노릴 수 있는 시기였는데

나스닥이나 금은 그 틈에 할거 다 해줬지만

비트코인은 오히려 계속 꼬라박는 중입니다.

매도세가 지독하다면 지독하고 세력들이 아직은 보내줄 생각이 없다라고 생각하며

가두리 양식만 하고 있었으니 그러려니 하는데

어쨌든 달라는 다시 반등을 할 수 있는 구간까지 조정이 왔어요.

추가 하락이 있어도 달라차트는 조정이 오면 또 매수 또 매수입니다.

나스닥 / 비트코인

달라가 매수세 조진날 나스닥과 비트코인 저점을 보면 검은색 동그라미인데

첫반등은 잘해놓고 매수세가 안붙는건 보이실겁니다.

애초에 파랑색선만 봐도 현재 비트코인이 비정상적으로 매수세가 안붙는 것도 맞아요.

특히 주말까지 출근해서 강제로 밀어버리고 횡보시켜놓고 있긴 한데

어차피 시장에 돈이 안돌기 시작한지는 채권금리나 이격차나 기타등등에서 알 수 있지만

그것과 별개로 나스닥과 비트코인이 중요한 분기점에서는

돈을 돌려가며 펌핑하는 사이.

나스닥 - 비트코인 = 비트코인 - 알트코인

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니

나스닥의 펌핑이 멈추고 조정기간이 왔을때 증시에서 빠진 돈이 어디로 갈지가 중요합니다.

그나마 나스닥은 저러지만 지금 돈이 가장 많이 몰리도 있는 금차트가 의미심장합니다.

골드

골드차트 일봉인데 역히카케인것과 함께

일봉에서 간만에 또 음봉이 양봉을 장악하는 모습이 나왔어요.

역히카케가 완성이 된건 아니고 보라색선을 무너뜨리고 나서야 조정시기가 조금 더 연장이 될텐데

골드야 워낙 신고점에서 매수세 강한걸 몇번이나 증명했으니

조정오면 계속 매수긴 한데 단기적으로는 또 짧으면 몇주 정도 길면 몇달정도의 조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같은 모습으로 24년 4~7월 10~12월이 있습니다.

골드의 조정 시기의 달라 모습이 어떻게 움직였는지 직접 확인해보시고

교환비를 사용하실 수 있으신분들은 그걸 사용하면서 분석해보세요.

그리고 그 시기를 중심으로 비트코인의 모습도 확인은 해보시되

정확히는 그 이전의 모습에서 어떤 모습들이 나왔었는지 확인을하며

어떤 대응을 해야할지를 생각하세요.

당연히 비트코인은 나스닥과 함께 보셔야 합니다.

나스닥의 움직임에 맞춰서 비트코인이 어떻게 움직임이 나왔는지

수세가 어떤 타이밍에 붙어서 나왔는지를 공부해보세요.

지금 쓴 내용이 이번주의 퀴즈입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 주황색 구간이 관성적인 숏진입 자리입니다.

보라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장대양봉으로 이어가지는 못했으면서

숏 손절라인 살짝 넘어가는 것 까지는 확인 가능하실거예요.

그리고 화살표가 분봉의 모습입니다.

15일 2~3시에 나온 모습인데

그때 방송에서 지난 주 퀴즈 풀이 설명과 함께 저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할지는 아시겠죠?

현재의 매도세에서 관성적인 숏진입 자리는 어디인가?

저게 매수익절인지 숏진입 중 어떤 모습인가?

숏은 어느 시점에 진입이 나왔는가?

파랑색 동그라미는 매수 진입인가 숏 익절인가?

기타등등

그걸 해석할 수 있으면

이후 횡보 수렴 이후에서 지금 자리에서 모습까지.

어디서 매수를 진입할지와 어디서 다시 한번 숏진입이 나올지 등등까지.

14일 방송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왼쪽은 현재의 일봉시기이고

오른쪽의 1번은 24년 2번은 23년입니다.

방송에서 주말에 공부해야할 구간이라고 써놨는데

갈색 구간의 움직임이 노골적으로 이상하다.=세력의 의도.

이렇게 볼때 엄청난 변동성이 이어지는데 한번에 죽여버리면서 가두리 양식장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같은 모습을 과거 차트 주황색 동그라미를 쳐놨는데

저 시기의 대응방법과 어떻게 판단해야할지까지도 방송에서 언급했어요.

1번 상황만 풀어서 설명했으니 2번은 직접 하실 수 있을겁니다.

중요한 갈색선을 무너뜨리지 않는다는 전제가 나올때가 있고

그때 캔들 패턴에서 어느쪽 추세가 유리한지를 판단을 하는데

갈색선이 무너질 경우 추가 하락도 생각해야하지만

애초에 이렇게 강제로 관리해주는 상황은 여러가지 휩쏘가 계속 나옵니다.

저 3가지 상황의 공통점은

큰 추세에서 계속 상승장을 이어가는 상황이었다는거고

캔들패턴과 이평선에 맞춰서

어디서는 매수를 받아보되 칼손절과 함께 어떻게 대응해야할지는

당시 방송에서도 계속 언급했던 내용들입니다.

1번 상황에서는 매수 자리 안주려고 온몸비틀기라는 표현까지 했는데

그럼 이번에도 무조건 매수!가 아니라

어느 모습이 나왔을때 추가 하락이 어떤 모습으로 나올지도 당시 방송에서 언급했었습니다.

이평선과 함께 단기적인 관점에서도 계속 상황 대응 잘하시면 될거에요.

왼쪽 일봉과 주봉인데

일봉에서는 기어이 50일 이평선 저항이 계속 나오는 모습이 유지됩니다.

비트코인이 세력의 가두리 양식 당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게 아니어도 단기적으로 매도세가 관성에 의해서도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고

매수세가 아직 붙지 않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매수가 힘들기에

매도세를 버텨주는 주간에서 무언가 붙이는 신호가 나와야 하는데

이번주에 그걸 못살렸으니

다음주도 계속 매도는 관성적으로도 나오고 좋은 자리가 나오면 계속 숏진입이 나옵니다.

그런데 숫자만 계속 달라질뿐 매도세 죽이는 방법은 항상 원패턴이예요.

숏진입에 공포감을 심어주는거고

그냥 적당한 손절이 아니라 손절을 크게나가거나 연속으로 나가게 만들어야 해요.

그리고 일봉에서 이평선 21-50일 데드크로스가 나왔는데

이걸 다시 골드크로스로 만들어서 모든 이평선을 정배열로 만들어 주는지가 매수에게 중요한 분기점이 됩니다.

당장은 매수세가 나오기보다 매도세 막아내기도 급급해요.

그리고 오른쪽 주봉에서 큰 관점에서 보면 아직 주봉 21일선 확인이 없었습니다.

비트코인 특성인데 상승장에서 매수세가 강할때는

주봉 21일선을 계속 확인하고 지켜주고 나서야 추가 상승이 나옵니다.

24년의 경우 신고점 갱신 하자마자 다시 무너뜨리며 매수세 전체를 조지다보니

몇달을 횡보하면 이평선 이격을 채워주다가

주봉 21일선을 무너뜨리기도 했었지만

그래도 꾸역꾸역 받아줄거 받아주고는 다시 주봉 21일선 위로 올라갔을때 매수세가 붙었는데

이 부분은 24년은 물론 21년에도 같은 모습이 나오니 참고만 하세요.

비트코인 상승장의 기준은 주봉 21일선입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방송에서 짧게 언급했지만 다시 정리하자면

도미넌스는 단기적인 하락추세는 가져왔지만

24년 12월의 파랑색선과 같은 상황입니다.

이걸 추세적으로 이어가려면 주황색선 저점을 낮춰야 추세가 이어집니다.

12월에는 그걸 못해줘서 다시 상승세로 이어졌어요.

같은 주황색 지점이 있는데

주황색 저점을 무너뜨리려면 결국 이더리움이 해줘야합니다.

파랑색선같은 저점 낮추기는 리플 에이다 도지 솔라나 같은 코인들도 해줄 수 있지만

불장 봉화를 올리는 신호를 주기위한 주황색 저점 낮추기는 결국 이더리움이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검은색 저점이 무너졌을때 우리가 알고 있는 대세 알트코인 불장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일단 검은색선까지는 아니더라도

12월에 파랑색선 저점을 낮추고 추가 하락에서 저항을 받으면

도미넌스가 단기적인 하락세가 나오는건 12월에도 확인이 됩니다.

그런데 파랑색선 위로 다시 올리면 또 상승세가 붙어요.

지금도 상황은 똑같으니

그 부분을 참고해서 단타쪽은 매매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퀴즈가 있습니다.

단기적인 상황도 계속 추적하는 연습 하시는데

지난주 퀴즈가 중요한건 횡보하는 박스권 상황에서

다음 추세로 이어지기 전까지에서 잘개미들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너무 단타에만 집중하지 마시고

이번주 퀴즈는 큰 추세에서 각각의 금융상품의 연계에 맞춰서

중요한 지점에서 어떤 분석법을 사용해도 좋으니

나름의 분석 시도를 해보세요.

당연하지만 지지, 저항, 추세선은 기본으로 깔고 가야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