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501

차트분석 못하는 개미도 알트코인 고르는 방법

골드 점점 골드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 있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들이지만​아직까지는 불장 시작한것도 아니고​불장으로 가기위한 과정을 만들어 주는 중이기에​골드 영향을 어쨌든 받기는 받고 실제로 차트로도 보입니다.​일단 짧은 범위에서 하늘색 저점낮춤을 보시면 단기적으로는 하락추세 중입니다.​물론 캡처할때에 비해 골드가 엔화하락에 맞춰 상승을 해버리긴 했지만​어쩄든 단기적 하락추세를 유지하고 있는데​조금 더 넓게 갈색 범위에서 보면​상승쐐기 안에 있으면서 상승쐐기중에 고점과 저점을 2번씩 높이며 확정을 지어줬습니다.​그래서 7월 전체적으로보면 골드는 상승추세였는데​코인이 전체적으로 보면 7월에 하락세는 커녕 비트코인의 경우 신고점을 장대양봉으로 갱신도 해줬고​이더리움이 끙차끙차 하는 중입니다.​점점 영향력에서 ..

비트코인 신고점 돌파를 앞둔 코인시장. 알트코인 불장 준비.

비트코인어제 방송에서 상황 설명을 다했지만​비트코인은 단기적으로도 큰 추세에서도 ​저점과 고점을 계속 높여주는 상승추세입니다.​하락 평행채널을 돌파하고 파랑색 박스권으로 횡보를 하고 있었지만​하락추세선을 넘어서 매수세를 붙였습니다.​주황색으로 표시한 단기적인 전저점을 낮추는 정도가 아니면 계속 매수세 받기 좋은 상황이었어요.주황색 동그라미부분은 실제로 하락평행채널 넘어간 이후 횡보를 하며 지지확인을 조금 오래하긴 했지만​어쨌든 신고점 돌파를 앞두고 매수세 모으는 작업이었다치고​저런 구간에서는 박스권 하단에서 신규매수 진입을 겁낼 필요가 없습니다.​어제 방송 하는 동안에는 코인 지수에서 1735라는 선을 넘냐 못넘냐로​매수세 붙나 안붙나는 볼 수 있었는데​일봉 마무리가 몸통을 확실하게 걸쳐줬습니다.​심지어..

방향 결정해 주는 타이밍. 추세 터지긴 전의 횡보 상황.

엔화 / 골드왼쪽 엔화 오른쪽 골드입니다.​각자 단기적으로 추세 전환을 해주기 위한 조건으로​주황색선처럼 고점갱신과 저점갱신을 해준 상황입니다.​그후 각각의 조정과 반등에서 파랑색 구간이라는 지지 저항구간에 도달했습니다.​각자가 매수 매도세가 강하다면 여기서 다시 한번 방향을 틀어줘서​갈색에 해당하는 지점들을 돌파 무너짐을 통해 추세를 확정지어주면서​현물 시장 불장 신호를 주게 됩니다.​만약 현재의 추세가 강하면 보라색에 해당하는 눌림목까지 갈 수 있습니다.​가는것까지는 상관없지만 추세전환을 위해서는​전저점 전고점을 또 갱신해주는 상황이 되면 화폐 자체가 불안정해서 투자 상품에 돈이 안들어오는 상황이 되고 ​화폐쪽 추세가 확정될때까지는 방향을 정할 수 없이 눈치만 보는 상황으로 갈 수 있습니다.​당연히 ..

코인지수 활용 데이터

비트코인 / 코인지수 이전글을 7월 3일 오전 1시에 글을 쓰기 시작해서 1시 30분쯤에 글을 올렸습니다.​스크린샷은 첫번째껀 1시되기 전에 찍었고​2번째껀 1시가 넘어간 다음 찍었습니다.​어제 글에 있던 추세선과 저항선 2개를 그어놨었는데​그은 기준이야 2024년 12월부터해서 현재도 여러 중요꼬리들과 함께​단기적인 전고점이기도 했었습니다.​약 1726쯤 되는 자리인데​비트코인 기준으로는 1시 8분에 도달했었어요.​1시 8분 기준 비트코인은 109700 이었고​코인지수는 1726 저항선에 도달했습니다.​그 직후 기존의 매수세가 확줄어드는게 보이실겁니다.​그리고 결국 일봉 마무리도 돌파는 못하고 딱 붙어서 끝났어요.​코인 지수 정확도를 과거차트를 보면서 비트코인으로 보는것보다 낫다는건 알았지만​실시간으로..

비트코인 차트와 코인지수 차트 비교. 시총 높은 알트코인들 영차영차.

비트코인 / 코인지수위에는 비트코인 아래는 코인지수 입니다.​코인지수는 어제 제가 만든걸 올려놓고 방송에서만 간략하게 소개했는데​급하게 만드느라 오류수정만 얼른해서 어떻게든 일봉에서만큼은 적용되게 만들어서 일봉으로 보고있습니다.​위에 비트코인 차트에서는 일봉으로 몸통 걸친건 아니지만 ​4시간봉에서 몸통걸치고 매수세 계속 잘받고 있습니다.​비트코인만 보면 사실상 신고정 갱신을 남겨두고​기왕이면 장대양봉으로 걸치는 모습이 중요한데​설령 신고점 갱신이 나와도 또 얼마 못가서 끌려내려온다면 비트코인 기준으로는 최악입니다.​얼마 못가서 끌려내려오는것도 벌써 2번을 겪었고 3번째 도전하는데​이번에는 장대양봉이 나와야죠.​물론 확률상으로는 높아보입니다.​왜냐하면 현재 상황이 코인경력 불장 시즌 2번을 겪고 3번째 불..

비트코인 버티기. 솔라나. 비캐.

이제 집에왔는데 역시 방송하기에는 뭔가 시간이 애매하네요.언제나 알찬방송을 하는 루딩이야기는 이번주중 시간될때로 최대한 빠르게 잡겠습니다!​지금 골드 단기적으로 고점갱신을하고 조정타이밍입니다.비트코인도 상승쐐기형이라는 매수에 안좋은 모습입니다.전반적으로 어떻게봐도 리스크1번 자리에서 위기 상황인데보통 이럴때 불리한 상황에서 3번째 도전을 극복하는건6월 14일 9시 같은 모습이 있습니다.3번째 도전으로 숏진입과 함께 저항은 나왔지만특정 지지구간에서 기어이 버틴다음에숏진입 자리를 장대양봉으로 털어버리는 상황이 있어요.이 경우는 비트코인 혼자서 해낼 수 있습니다.​그런데 또 낮은 확률이지만 또 간간히 코인시장에 있는 패턴 중 하나가비트코인은 매수세가 안붙어서 가기 싫은 꼬라지 다 보여주는데멱살잡고 끌려가는 경..

비트코인 횡보에서 리듬. 진짜 돈 벌고 싶은 사람만 공부하더라.

비트코인 평행채널 안에서도 상단돌파 3번째입니다.​27일 글에 있는것처럼 지금 비트코인 매수쪽에서는 2개의 큰 리스크가 있는데 그 중 첫번째 도달했습니다.​3번째 도전에서 실패하면 트리플탑으로 역추세 크게터지는등등​기본적인건 다 똑같으니​당연히 지금 위치에서 새롭게 매수포지션 진입은 위험하겠죠?​특히 4시간봉 캔들을보면 아무리 강한 매수세로 말아올려도​상단 위치만 도달하면 독감약이라도 먹은것처럼 뭔가 취한듯이 횡보만 하더니​밑으로 꼴아박기만 2번을 해줬습니다.​그 와중에 4시간봉에서 양봉 장악 패턴이 나온다던가 하는건​11일 부근에서도 언급했었죠?​그런 평범하고 기본적인것들은 체크하시면서 보시면 됩니다.​3번때 도전에서 이전과 다른게 있다면​강한매수세로 도착한게 아니라 꾸역꾸역으로 밀어올렸다는거죠.​터치..

매매진입 타점 기초. 떨어지는 칼날 매수. 추격 매수.

댓글들을 보다보니 이 알트코인 어떤가요? 등의 질문에서​차트를 올리시는데 아직도 저번 방송에서 언급한 기준으로 ​6월 6일 기준 저점만 보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지난번 글과 함께 화요일에 설명했던 세이는 6월 5~6일 기준으로 좋은 모습이 나왔었죠.​6월 5~6일은 대표적인 기준 지점일뿐 현재 모든 알트코인을 그때하고만 비교하면 안됩니다.​그때는 초보마저도 맞출 수 있게 세이를 기준으로 보기 쉬운 기준을 제시한것뿐이예요.​그럼 이런 기준을 찾는건 당연히 비트코인이 횡보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그리고 횡보는 흔히 트레이더들이 베팅에 들어가는 매매진입 타이밍입니다.볼린저밴드를 적용한 차트입니다.​보통 매매진입에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어요.​떨어지는 칼날을 잡는 매매진입.​추격매수를 하는 매매진입.​..

미국증시는 엔화. 비트코인은 골드. 시황분석.

골드 / 달라엔 블로그에는 오랜만에 올리는 골드와 엔 차트입니다.​당연히 매일매일 체크하고 있으셔야 합니다.​왼쪽 골드를 보시면 단기적으로 6월 16일 기준으로 단기적으로 조정시기였는데​파랑색선의 상승평행채널을 활용한 샤크패턴이었으면서​현재는 하단이 무너진 상황입니다.​골드는 단기적으로 추가 매도세가 계속 나올 확률이 매우 높다를 ​누구보다도 현물 시장이 가장 빠르게 눈치를 채고 있습니다.​나스닥도 그렇지만 비트코인도 분위기가 좋아요.​여기서 기억하셔야할건 골드 상승평행채널이라는겁니다.​비트코인이 현재 하락평행채널이니 이 부분에서 예민하고 눈치빠르게 이미 그렇게 생각하셨다면 다행입니다.​이제 오른쪽 달라엔차트. 사실상 엔화 강세, 약세를 판단할 수 있는 차트죠?​삼각 수렴안입니다.​파랑색 동그라미에서 상..

비트코인 하락 패턴. 지하실과 같은 움직임.

비트코인지난글의 댓글에서 1시간봉에서다이버전스 중첩으로 반등을 노릴 수 있었던 자리가 있었고​그게 102000쯤 되는데 갈색 동그라미 보시면 반등에 실패했습니다.​특이한건 저 자리가 온것도 반등에서 실패한 것도 지금 저점을 깬 하락까지​또 주말에 나오고 있다는겁니다.​2025년 1~2월 움직임 생각나시죠?​그때의 패턴과 비슷합니다.​숏치려고 상승시키고 누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알트코인 시총과의 비교와 도미넌스 움직임 패턴에서도 같은 움직임이 확인되실거예요.​이번에는 약 4일 정도 90~100시간정도의 주기로 그런 모습이 나왔습니다.​제가 이걸 공식적으로 쓴줄 알았는데 어떤분의 질문의 답변으로만 언급했더라구요.​그런데 제 언급이 없었어도 이런 패턴의 움직임을 눈치채실 수 있으면 더 대응이 빨랐겠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