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 코인지수
이전글을 7월 3일 오전 1시에 글을 쓰기 시작해서 1시 30분쯤에 글을 올렸습니다.
스크린샷은 첫번째껀 1시되기 전에 찍었고
2번째껀 1시가 넘어간 다음 찍었습니다.
어제 글에 있던 추세선과 저항선 2개를 그어놨었는데
그은 기준이야 2024년 12월부터해서 현재도 여러 중요꼬리들과 함께
단기적인 전고점이기도 했었습니다.
약 1726쯤 되는 자리인데
비트코인 기준으로는 1시 8분에 도달했었어요.
1시 8분 기준 비트코인은 109700 이었고
코인지수는 1726 저항선에 도달했습니다.
그 직후 기존의 매수세가 확줄어드는게 보이실겁니다.
그리고 결국 일봉 마무리도 돌파는 못하고 딱 붙어서 끝났어요.
코인 지수 정확도를 과거차트를 보면서 비트코인으로 보는것보다 낫다는건 알았지만
실시간으로 도달한 이후 차트의 움직임을 보는건 저도 처음입니다.
여러가지 보완점이 더 있어야겠지만
어쨌든 일봉 기준에서만은 정확도가 높기에 일봉으로 놓고 봐야하긴 하지만
이렇게 한달정도 사용하다보면
사용법도 더 많이 알 수 있을것 같고 시간과 여유만 되면 이것 저것 코드를 수정해서 버전업도 가능할것 같은데
그건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이건 결국 보조지표일테니까요.
주식을 하는데 지수차트를 보조지표로 쓰듯이
알트코인 매매할때는 코인지수는 물론 비트코인도 보조지표로 써야하니까요.
아무튼 저런 선에 도달하면서 매수세가 확 줄어들고 조정타이밍으로 들어가는게
단순 저항선의 의미보다 여러가지 활용할 수 있는 측면이 많을 것 같네요.
어제 1시였을때를 보면 확실히 1시 8분 도달 시점에 비트코인 매수세가 뚝 끊기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위에는 비트코인이고 아래가 지수인데
지수쪽은 뭔가 더 상승을 많이 한것 같지만 저건 정확하지 않습니다.
반감기 기준 채굴물량 적용을 일봉에서만 하게끔 해줬으니까요.
분봉에서는 채굴물량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아무튼 캔들 길이에 따른 상대적인 비교는 하실 수 있을거예요.
실제로 일봉기준 1726이라는 선에 도달하고나서는 상승세가 멈췄습니다.
어쨌든 여러분도 중요 지점에 도달한 순간 또는 돌파하거나 무너지거나 할때 어떤 움직임이 나오는지 체크하세요.
'차트분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신고점 돌파를 앞둔 코인시장. 알트코인 불장 준비. (2) | 2025.07.11 |
---|---|
방향 결정해 주는 타이밍. 추세 터지긴 전의 횡보 상황. (0) | 2025.07.04 |
비트코인 차트와 코인지수 차트 비교. 시총 높은 알트코인들 영차영차. (7) | 2025.07.03 |
비트코인 버티기. 솔라나. 비캐. (1) | 2025.07.01 |
비트코인 횡보에서 리듬. 진짜 돈 벌고 싶은 사람만 공부하더라. (1)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