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상승평행채널 안에있습니다.
역플래그패턴입니다.
조정시 이전 최고점 지지만 잘해줘도 모여라 꿈동산 올해 해줄수도 있습니다.
너무 자주 말했으니 끝!
비트코인 도미넌스
저점 낮췄습니다.
이더리움BTC차트가 주차선에서 잠시 멈칫했지만 돌파해주면서 도미넌스 낮췄기 때문에
이제 알트코인 불장판은 깔아줬습니다.
반등을 하고나서 가든 어쩌든 이제 미니불장은 확정입니다.
비트코인 조정에 맞춰서 매수 붙을 기회가 있겠지만
현재 비트코인이 생각보다 너무 잘 버팁니다.
아직 골드가 방향 결정이 안됐고 똑같이 상승쐐기에 역플래그패턴 중인데
종종 말했듯이 어차피 불장이란건 불을 질러야 한다는거고
불지르는데 누구 눈치보는 멍청이는 없습니다.
불은 그냥 지르는겁니다.
이제는 코인쪽 차트에만 집중하세요.
코인지수 / 알트시총
신고점 돌파전 마지막 고비가 될것같은 보라생 구간은 2일에 걸쳐서 저항을 받기는 했으나
이더리움이 영-차! 해주면 이제 신고점을 앞두고
최고점에서 더블탑입니다.
비트코인 플래그패턴으로 조정타이밍이 오고
도미넌스 반등 타이밍이 맞으면
코인 지수쪽도 하락이야 오겠지만 3번째 도전에서 돌파해서 쭉쭉 날아가면 그만입니다.
오른쪽 알트코인 시총을 보면 시총은 신고점이 아니예요.
코인 지수가 알트코인 시총을 기반으로 나스닥 지수 만드는 공식으로 표현했을뿐
차트 상황은 다른게 보이시죠?
지수는 지수고 알트시총은 시총입니다.
어쩄든 알트시총도 고점 2번 높였습니다.
이제 그냥 가주면 됩니다.
여기까지는 그냥 휴가전에 방송 내용등을 종합해서 짧게 정리한겁니다.
어제 방송 내용은 이전 글에 썼던 차트 안보고도 알트코인 구분방법에 대해 설명했다면
그 중에서도 세력들이 관리하는 코인 돌려먹을때 어떤식일지에 대한걸
차트로 보는 기초편을 써볼께요.
방송은 7월 17일 방송에 나름 자세하게 했으니 그걸 참고 하시고
이건 그냥 정리글입니다.
동물 코인들(=반 김치 코인)
2024년 페페를 시작으로 동물시리즈가 계속 상장 중입니다.
앞으로 더 상장할지는 모르겠으나
지난번 잠깐 언급한 봉크를 다시 보면 검색하는 순간
바이낸스나 비트스탬프 코인베이스 비파등이 상위권에 뜨지만
불길하게 업비트나 빗썸도 상위권에 같이 보이는 점을 언급했었죠?
거래량 점유율을 보면 바이낸스가 제일 크긴 한데
업비트와 빗썸을 합친 점유율이 바이낸스 수준은 됩니다.
가끔씩 거래량 튀면 50%까지도 차지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완전 김치 코인은 아니지만 반김치코인이라는건 알 수 있습니다.
또 동물 시리즈 특징이 BTC 차트 검색을 하면 업비트만 있거나 비파만 있거나 하면서
BTC 쪽은 거의 검색이 되지 않아요.
BTC 시장이 발전 못한 한국 특유의 모습이 이런것도 김치 코인의 특징입니다.
어쨌든 이 시리즈들을 모아보면 차트의 패턴이 같습니다.
펭귄
동물시리즈중 가장 먼저 반응을 보여준 펭귄입니다.
영상에서 자세하게 설명했지만 기본적으로 짝궁뎅이 만들어 주는건
주식은 물론 코인도 똑같습니다.
현물 차트의 특징이라고 생각하세요.
저는 이 패턴을 2017년 JYP 주식 차트를 시작으로
똥텀 이오스 네오 등등에서 같은 패턴이 나오는걸 보고 패턴화를 해서 항상 언급합니다.
참고로 나스닥 차트들도 그러면서 현재 쿠팡이 이 패턴을 진행중입니다.
현물 차트는 대부분 이 패턴을 유지해줍니다.
이게 개미들이 가장 잘털리는 방법일것 같기도 하구요.
세력이 매집하는 차트라는 식으로 2020년에도 블로그에 썼고
그 사이트에서는 2018년인가에 썼었습니다.
특히 동물시리즈는 창의력 없이 휩쏘도 없고
이 패턴을 거의 유지하면서 진행시키더라구요.(운전기사 JYP에서 영입한건지..)
아무튼 순서가 딱 있는데 이것도 생략하고 중요한것만 써넣은겁니다.
일단 추세선을 넘어가는데 장대양봉으로 넘어가면 당분간 횡보로 추세선에서 멀어지는 작업.
그리고 한번 더 상승으로 짝궁뎅이 꼭지점까지 상승.
그 다음 3번째 도전으로 다시 넘어갈때는 장대양봉으로.
장대양봉 넘어가고 조정같은거 없이 쭉쭉 뻗어가서 따라붙지 못하게 하며
잽싸게 신고점 넘기 전의 캔들 아래꼬리가 모여있는 고비 지점에서 주차.
어느정도 정리끝나면 최고점까지 다시한번 상승.
이런 순서를 지킵니다.
그래서 이런 차트는 순서와 타이밍과 패턴이 있으니
돌려깍기 타이밍이 딱딱 떨어지는걸 알 수 있어요.
물론 이런건 대부분 현물 차트에서는 보이는 특성인데
동물 시리즈는 이걸 순서까지도 거의 똑같이 지켜줍니다.
물론 선수를 바꾸거나 중간에 패턴 좀 틀수는 있지만
어차피 불장 가는길에 신고점 이전의 상황 따위는 그냥 불장을 앞두고 돈을 돌려가며
시드 머니 부풀리는 용도일뿐이니까.
장대양봉 나오기 이전 상황에서
분봉 단위에서 횡보 수렴 이탈을 확인하고 빠르게 매수붙는 방식으로 하면
거진 돌려깍기가 완성됩니다.
봉크
펭귄과 거의 비슷 하게 상승했지만
타이밍은 펭귄이 조금 더 빨랐고
자세히 보면 서로 펌핑 타이밍이 미묘하게 어긋나는걸 아실 수 있어요.
돈을 돌려 먹여가면서 펌핑해서 그렇습니다.
상장 시기가 다르니 차트가 다르게 보일 수는 있지만
중요한 순간들에서의 차트는 거의 똑같은 패턴입니다.
유니스왑
유니스왑은 일단 말대가리에 거래량 점유율등을 보면
동물시리즈에 포함은 됩니다.
그런데 얘는 조금 특수하게 이더리움 기반에 자체적으로 스테이블을 하려는지 시장 구축인지 플랫폼인지는 몰라도
아무튼 뭐가 그리 하고 싶은게 많은지 모르겠지만
어차피 말대가리에 거래량 점유율에 차트도 이렇게 똑같으면
그냥 수익만 내고나서 먹고 뱉으면 됩니다.
꼭지점 넘어간 다음에 매수를 따라붙어볼 수 있었겠죠?\
카우 프로토콜
이번에는 소입니다.
불길하게 프로토콜 이라는 퍼스트 네임이 있어서 불길하기 짝이 없지만
어쨌든 동물 시리즈고 아직 꼭지점을 못넘었습니다.
이미 진행되는 유니스왑이 있는데다
둘이 돈을 엇갈리게 펌핑질 해주는지 체크할겸 다음 노리기 딱 좋죠?
이름이 불길하지만 그래도 소는 귀여우니까 챙겨갑시다!
냥냥코인
냥냥코인은 뭐 속썩이기만 했지만
또 고양이가 마음먹고 은혜갚으면 밑도 끝도 없이 퍼주기 때문에
그냥 알아서 때가되면 해주겠거니 할 수 있습니다.
꼭지점이 2개여서 짝궁뎅이 2중패턴이라던가
신고점을 앞두고 고비가 2개 있다거나
쌍커플같은 코인인데 어차피 먹으면 그만!
지금은 첫번째 짝궁뎅이 넘었으니 짧게라도 또 붙을 수 있고
아무튼 어디서 매매 진입 익절인지 딱딱 보이면서
순서 어찌 될지 그려지죠?
패턴이 같다고 차트가 다 똑같지는 않고 약간의 변형기출이 있긴 하지만
변형기출 나왔다고 문제 못풀면 그건 실력이 없는겁니다.
페페
페페는 조금 주의 해야합니다.
가장 먼저 상장했는데 어쨌든 신규 코인에 해당하지만
2023년부터 2024년까지 펌핑을 너무 많이 해줬어요.
저점 대비 30~40배 이상 이미 상승했습니다.
이 정도면 보통 코인이미 펌핑 해준겁니다.
차트 패턴은 비슷한데
지금 상황은 패턴이 똑같지만
얘는 이미 2023년에 동물시리즈가 보여준거 전부 한 사이클 돌렸습니다.
그러니까 동물 코인들의 펌핑 모습은 페페가 정답지라는거죠.
어쨌든 불장이 오면 펌핑 해줄수는 있겠으나
동물코인 다 살거 아니면 페페까지 굳이 살필요는 없습니다.
동물시리즈는 12간지 다 만들어 줄 기세로 매달 상장하고 있으니
아직 상장 못한 똘기 호치 새초미등등 많이 나올텐데
굳이 못생긴 개구리까지 먹어야 할까 싶습니다.
아무튼 이미 30~40배 갔구나는 알아두고
단타는 조질 수 있습니다.
실력껏 알아서 하세요.
무뎅
가장 최근에 상장한 동물 코인입니다.
웃긴건 이름의 영어 스펠링인데
무를 MOO 라고 표기할만큼
이제는 김치코인인거 숨기지도 않습니다.
패턴이고 뭐고 상장한지 얼마 안되서 얘가 지금 어디쯤인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돈을 돌고 돌려서 해주겠죠?
동물 시리즈는 초보자들에게 추천하는 이유는
BTC 차트가 사실상 없어서 달라차트만 보면서 돌려 먹을 수 있다는겁니다.
여기에 패턴이 약간의 변형은 있어도 전체적으로 단순하고 창의력 없는게
딱 한국인이 고시 준비하듯이 훈련하면 금방금방 다 먹을 수 있습니다.
물론 김치 코인인만큼 속도와 변동성이 빠를거고
코인시장에서 자칫 물리면 뒤지는거야 다른 코인도 마찬가지지만
김치코인은 빨리빨리 민족의 코인 답게 매우 빠른속도로 뒤질 수 있습니다.
빠르게 던지고 나올 타이밍 놓치기 쉽다는뜻이예요.
아무튼 그럼에도 어차피 코인시장에서 돈벌려고 왔으면 그정도는 당연한거니까
리스크 관리 잘하면서 잘 돌려먹으면 됩니다.
그리고 동물시리즈만 예시로 알아봤지만
어차피 세력들도 사람이 펌핑하는게 아니라 프로그램을 쓰는만큼
그리고 집단지성 인간들의 습성은 100년이 지나도 1000년이 지나도 10000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기때문에
이미 데이터는 다 거기서 거기일거예요.
세력단위로 코인을 그룹으로 묶어서 순서대로 퍼먹으면서 돌리다보면 불장 끝났을때는 돈이 산더미로 쌓이는겁니다.
투자 하겠다고 금융시장에 들어 왔다면 이걸 꼭 기억하세요.
최소 미니 불장이지만
이더리움이 만들어준 불장이니 더 기대가 되는 불장.
어떤 패턴으로 도미넌스가 내려갈지는 그때그때 맞춰서 매매하면 되는거고
돈버는 일에 겁먹지 마세요!
투자자는 그러면 안됩니다.
차라리 돈벌다 죽어서 돈 옆에서 죽어야지
무서워서 도망가다 죽으면 죽어서도 놀림받습니다!!
'차트분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시장과 금융시장 시황정리. (5) | 2025.07.23 |
---|---|
코인시장 간단정리. 이더리움과 도미넌스. (2) | 2025.07.22 |
차트분석 못하는 개미도 알트코인 고르는 방법 (3) | 2025.07.17 |
비트코인 신고점 돌파를 앞둔 코인시장. 알트코인 불장 준비. (2) | 2025.07.11 |
방향 결정해 주는 타이밍. 추세 터지긴 전의 횡보 상황. (0)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