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어제 방송에서 상황 설명을 다했지만
비트코인은 단기적으로도 큰 추세에서도
저점과 고점을 계속 높여주는 상승추세입니다.
하락 평행채널을 돌파하고 파랑색 박스권으로 횡보를 하고 있었지만
하락추세선을 넘어서 매수세를 붙였습니다.
주황색으로 표시한 단기적인 전저점을 낮추는 정도가 아니면 계속 매수세 받기 좋은 상황이었어요.
주황색 동그라미부분은 실제로 하락평행채널 넘어간 이후 횡보를 하며 지지확인을 조금 오래하긴 했지만
어쨌든 신고점 돌파를 앞두고 매수세 모으는 작업이었다치고
저런 구간에서는 박스권 하단에서 신규매수 진입을 겁낼 필요가 없습니다.
어제 방송 하는 동안에는 코인 지수에서 1735라는 선을 넘냐 못넘냐로
매수세 붙나 안붙나는 볼 수 있었는데
일봉 마무리가 몸통을 확실하게 걸쳐줬습니다.
심지어 하락추세선 마저도 넘어갔어요.
하락추세선을 넘어간게 또 어떤식으로 작용할지는 계속 보면서 데이터를 모으겠지만
코인시장 전체적으로 계속 돈이 들어올 것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이 신고점 갱신과 돌파를 장대양봉으로 중요한데
이건 일봉 마무리까지도 확인을 해야합니다.
어제 박스권 상단인 110700을 넘어간 시점에서는
조정을 기다릴게 아니라 빠르게 추격매수도 붙어봐야한다고 했었죠?
지금 결과를 확인한 시점에서 매매일지에 어떻게 해야겠다라는걸 잘 적어두세요.
이건 앞으로 어떤 시장을 가나 분석하는 방법이 같고 대응 방법도 똑같습니다.
심지어 알트코인에서도 이런 부분을 신경써야할테니
투자에서도 그 시장에 돈이 들어온다 아니다 판단을 잘해서
어차피 사지도 못할 저점 마냥 기다린다거나
어느 지점에서는 장대양봉 떴는데 무지성으로 따라가도 되고, 안되고의 구분을 잘 하셔야합니다.
글을쓰다보니 일단 신고점을 살짝 넘어갔는데
신고점 돌파는 일봉 마무리로 봐야겠지만
어쩄든 이렇게 기회가 왔을때 장대양봉으로 넘어가는게 중요합니다.
지금 시장 전체적으로는 그러기 좋은 상황이예요.
거래량을 보고 제가 호가창도 확인했는데
이건 넘어가려고 마음먹고 매도벽을 다 긁어준겁니다.
거래량이 더 많았으면 좋았겠는데
순간 거래량 수준을 보면 6월 23일 저점에서의 거래량과 큰 차이는 없으니
아직까지는 컴퓨터가 자전거래로 먹어준게 더 많긴 하겠지만
물량을 떠넘긴것보다 컴퓨터가 긁어줬다는데서 갈 생각은 보이니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오늘 장대양봉으로 돌파했어도 기왕이면 멀리멀리 최대한 높이 가는게 중요합니다.
높이 못가는것까지는 좋은데
최소한 넘어간 고점을 다시 무너뜨리는건 안됩니다.
나스닥 / 비트코인
왼쪽 나스닥에서 제가 계속 언급하는 나스닥은 이미 큰 추세에서 한번 X졌다고 했었는데
그게 바로 파랑색 동그라미 모습입니다.
비트코인도 같은구간 엄청난 매도세로 나스닥보다 훨씬 심각한 하락을 했지만
그럼에도 나스닥과 다르게 망하지 않고 매수세를 빠르게 잘 붙여줬습니다.
상승할때도 보면 나스닥은 첫반등은 V자 반등으로 강했지만
그 이후 상승에서 지지확인을 제대로 하는게 아니라 꾸역꾸역으로 억지로 밀러올리기만 할뿐이었습니다.
일단 저런 망하는 모습이 안나오려면 가장 중요한건 신고점 돌파시 최대한 멀리 떨어져야 하는겁니다.
비트코인은 24년 11월에 그걸 해줬고 나스닥은 못해줬어요.
그렇기에 이번에도 저런 모습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어차피 비트코인도 전체적으로 볼때는 슬슬 매수세에 한계가 보이고 있습니다.
애초에 12만달라 부근의 어딘가를 보고 있었는데
이번에 신고점 돌파해서 첫 장대양봉이 어떤지에 맞춰서
피보나치 비율과 골드를 보면 대략적인 최고점은 나올겁니다.
이제 비트코인 가격과 상관없이 알트코인 불장을 줘야해요.
아마도 이번 비트코인은 신고점 돌파를 잘해줘도 알트코인에게 돈을 퍼주는 과정에서
나스닥 망하는 파랑색 동그라미같은 모습을 한번은 보일겁니다.
물론 나스닥이 그렇듯이 비트코인도 그거 한번으로 코인 시장 다 말아먹지는 않겠지만
어쨌든 그걸로 시장에 돈을 끌어오는 힘을 확실히 줄어들테니
그전에 불장으로 해줄거 있으면 다 해주면 좋습니다.
재수없으면 이번 불장은 2번으로 도미넌스 20씩 나눠서 나올것까지 생각은 해야겠지만
그건 상황이 다 결정되고 나서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이더리움BTC / 도미넌스
비트코인상태도 좋고 코인지수 상태도 좋습니다.
마지막 확실하게 최소 미니불장으로 가줄 퍼즐 맞춰주는건
지겹게 말하는 이더리움입니다.
현재 리플이나 에이다 도지 솔라나 등등의 시총 높은 코인에서도 해줄 수는 있겠지만
일단 도미넌스 62 아래로 확 내려서 저점을 낮춰야
불장으로 넘어갈 수 있는데
이때 이더리움BTC 단기적 출발선인 파랑색선도 확실히 넘어가야하는데
이번이 3번째 도전이고 여러가지 상황성 그게 어렵지는 않겠지만
갈색선까지는 빠르게 가줘야합니다.
이번에 미니불장이 아니고 진짜 불장이면
이번 한번에 장대양봉으로 갈색선을 넘어갈거예요.
최악은 이더리움 파랑색선도 못넘고
도미넌스는 저점 낮추기는 커녕 계속 상승추세 이어가서 기어이 69 가버린다 라거나.
비트코인도 신고점 일봉 몸통 걸치기가 아니고
그냥 어영부영 수준이면
횡보가 지속되고 그 횡보 끝내는데 여름을 다 쓸수도 있습니다.
일단 지금 여러 상황상 확률이 낮은편이기는 해도
아무리 상황이 좋아도 100% 갈거다! 이런건 세상에 없기 때문에
나머지는 포지션 베팅하고 상황 지켜보면 됩니다.
'차트분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코인 차트로 알아보는 알트코인 돌려깍기. 초보편 (6) | 2025.07.18 |
---|---|
차트분석 못하는 개미도 알트코인 고르는 방법 (3) | 2025.07.17 |
방향 결정해 주는 타이밍. 추세 터지긴 전의 횡보 상황. (0) | 2025.07.04 |
코인지수 활용 데이터 (2) | 2025.07.03 |
비트코인 차트와 코인지수 차트 비교. 시총 높은 알트코인들 영차영차. (7)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