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503

달라와 환율 국채 비교 분석. 나스닥 코스피 파동카운팅.

달라 달라는 일단 반등해서 다음 방향에 대한 환승 구간까지 도달했어요. ​ 이 구간에서 매수, 매도 포지션 진입이 일어나는 구간이예요. ​ 달라는 초록색 구간에 다 도달했는데 ​ 유로와 파운드 환율쪽이 아직 저항선까지 이격이 있습니다. ​ 그래서 조금 더 상승의 여지로 갈색선까지는 나올 수 있는데 ​ 저만큼 더 올랐다고 해서 매수 결정이다! 보다는 ​ 유로와 파운드쪽 차트에서 저항 구간 도달했는지를 확인하세요. ​ 오히려 미국 국채 금리 차트는 달라가 오르는만큼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 이 부분을 볼때 현재 자리에서 조금 더 유리한 건 매도이긴 하지만 ​ 어차피 큰 차이의 확률은 아니기 때문에 일단 지켜봐야합니다. ​ 만약 파운드나 유로 환율 차트에서는 저항선까지 추가 상승이 있는데 달라인덱스는 멈춰있다..

금융시장 한 주 분석. 환율 시장 분위기.

달라 달라의 경우 고점과 저점을 높이는 확장 채널을 진행중이었습니다. ​ 조정 파동 패턴에서 확장 삼각형 카운팅이 가능합니다. ​ A지점 설정이 중요한데 ​ 원래 고점은 빨강색 화살표로 표시한 구간입니다. ​ 그런데 화살표 고점에서 갈색 추세선을 그어도 됩니다. ​ 단, 검은색에 조금 더 집중한 이유는 ​ A - C - E로 이어지는 고점이 피보나치 비율이 최소 1.272를 기준으로 고정이 되야 하는데 ​ 그럴 경우 E예상지점이 추세선에 닿지 않습니다. ​ 그래서 추세선까지 고려하면 검은색 추세선 쪽에 조금 더 무게를 두는것이 좋습니다. ​ 사실 추세선을 어느걸 쓰는지보다는 파동 패턴에서 확장삼각형 진행이라면 ​ 지금이 D파 라는거예요. ​ 그래서 반등을 예상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 현재는 D예상 지..

파동론2. 일목균형 파동과 엘리어트 파동 비교. 카운팅 방법. 사용 목적.

지난 글에서는 I형 V형 N형이라는 파동의 기본 형태를 알아봤다면 ​ 이번에는 일목균형 파동의 카운팅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일목균형 파동은 한 줄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 N형 파동이 고점과 저점을 계속 갱신하는 상승 또는 하락 추세 파동이 발생한다. ​ 이게 다 입니다. 쉽죠? ​ 흔히 다우이론에서 고점과 저점을 계속 높여주면 상승추세. ​ 고점과 저점을 계속 낮추면 하락추세. ​ 라는 설명과 같은 맥락입니다. ​ 일목균형 파동은 조건이 있습니다. ​ 이 조건을 알아야 실제 카운팅과 함께 추세가 변하는 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카운팅 5, 7, 9, 11, 13파에서 최고점을 만들어 주고 추세가 바뀔 수 있습니다. ​ 2. 일목균형 파동은 상승추세에만 숫자를 붙여서 카운팅합니다...

파동론1. 기간, 가격에 따른 파동 카운팅 판단.

오늘은 파동에서도 일목균형 파동론에 대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 한국에서는 흔히 파동이라고 하면 엘리어트 파동을 먼저 떠올이거나 ​ 엘리어트 파동만 있다고 생각합니다. ​ 오늘은 생소할 수 있는 일목균형 파동에 대해서 알아보고 ​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파동론도 같이 써볼께요. ​ 차트에서 파동이라고 하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I형(1파), V형(2파), N형(3파) ​ 를 말합니다. 이 파동들은 시간에 따라 판단을 할 수도 있고 가격에 따라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 두가지를 동시에 활용하여 적당히 판단하는 것이 좋아요. ​ 그래서 기본적으로 간에 따른 가격대에 따라 판단을 하시면 됩니다. ​ 일단 가격대와 시간에 따라 파동을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해보겠습니다. ​ 상승 - 하락의 사이클에..

일목균형 파동 카운팅과 추세 대응.

달라 달라는 확장쐐기형입니다. ​ 어제 방송 했던 일목균형 파동에서 카운팅 해보면 ​ 달라는 5파가 나온 상태입니다. ​ 아직 일목균형 파동 내용을 다 설명 못했기 때문에 ​ 최대한 어제 알려드린 것으로만 설명해보자면 ​ 5파 이후 저점 꼬리에 몸통 걸치고 나면 7파 예상을 해보되 ​ 5파 이후 저점을 무너뜨리지 않는다면 3 + 2 + 2 ​ V자 파동을 계산할 수 있으면서 ​ 까지 진행 되면서 다음 파동이 홀수가 나온다면 ​ 추세가 전환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이후 1파 또는 3파가 나올때 추세가 바뀔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카운팅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을때 까지 연습 하셔야합니다. ​ 차트에서 저점을 깰 경우 3 + 1 + 3 ​ V와 N파를 구분하는 방식 중에 어디서부터..

달라의 움직임과 금융시장.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달라 달라는 기어이 고점을 높였습니다. ​ 아무리105.8이라는 전고점 아래에서는 계속 매수세가 나온다고는 하지만 ​ 나와도 너무 나오는것 아닌가? 싶을정도인데 ​ 이 와중에 고점마저 높였으니 ​ 까딱하다가는 이대로 상승으로 달릴 것도 생각은 해둬야합니다. ​ 11월 말까지는 그래도 조금 여유가 있지 않았나 했는데 ​ 한달간 그냥 이 위치에서 놀아버릴 수도 있고 ​ 여기서 일단 한단계 위로 올라가서 한달동안 바닥 다지는 작업을 할수도 등등. ​ 움직임 모습에는 여러가지 패턴이 있겠지만 ​ 그 모든 움직임이 다음 상승동력을 위해서를 전제로 대응하시면 되요. ​ 한국 환율 달라인덱스와 관련된 주요 환율에서도 그렇지만 ​ 한국 환율에서도 아직은 추세선 이탈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 단기적으로 삼각수렴도 있는데..

혼자 오른 달라. 비트코인 추세.

달라 / 나스닥 / 금 달라부터 보면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헤드앤숄더 넥라인에서 반등이 있었습니다. ​ 헤드앤숄더 캔들패턴이 꼭 완성은 안될수는 있습니다. ​ 넥라인이 결국 무너지더라도 일단 넥라인에서 약간의 반등은 있을 수 있어요. ​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반등으로 파랑색 구간까지 반등하는건 흔한일이긴 한데 ​ 강한 매수세로 초롱색 구간을 넘어서 전고점까지 갱신을 했습니다. ​ 매수세가 강하기는 했는데 ​ 더욱 웃긴점은 다른 현물 차트 그 어느곳에서도 달라의 강한 상승에 ​ 반응이 없었다는겁니다. ​ 나스닥도 어제까지만 해도 뭐 이렇게 안내려가 싶은 정도였지만 ​ 그래도 달라 상승치가 있어서 계속 숏으로 두들기긴 했는데 ​ 이것조차 운이 좋은거였습니다. ​ 오늘 미장 열리고서는 나스닥만 조정같은 하락이 있..

비트코인 장대양봉 고점 갱신. 추세와 리듬 패턴 해석.

전고점인 31800을 장대양봉으로 돌파했습니다. ​ 이 경우는 조정이 와도 31800 부근이나 아래로 내려와도 매수세가 나오기 좋습니다. ​ 31800까지 조정이 안와도 32500등 원래 주요 저항선이었던 지점에서도 매수세는 나와요. 31800 윗 구간은 2021년과 22년에 워낙 많이 분석된 구간이면서 ​ 30000~42500 매물대였던 지점입니다. ​ 그 당시 매물대와 중요 지점들은 여전히 똑같습니다. ​ 36500을 중심으로 아래매물대가 있는데 ​ 여기서도 주황색 구간인 30200~34500은 상대적으로 빈공간은 아니지만 비어있는 편입니다. ​ 그래서 현재 지점을 장대양봉으로 가는것도 있는데 ​ 어쨌든 전고점을 장대양봉으로 돌파했기 때문에 ​ 한동안 매수세는 계속 들어오기 좋습니다. ​ 2022년에..

금융시장 한주 간단 정리. 추세와 조정. 변동성과 수렴.

달라 달라는 큰 변동성은 없었습니다. ​ 그래서 최근 금융 시장에서 변동성이 작은편이었습니다. ​ 물론 밑에서 볼거지만 미증시가 하락의 모습을 보였는데 ​ 애초에 거품이 있는 상태에서 거품을 뺀다고 생각해도 되는데 ​ 미증시에 있던 돈이 금과 미국채 2년물로 몰려갔습니다. ​ 달라는 정말 하락하기 싫어 죽겠다는 모습을 보이는데 ​ 중요한 추세선 2개에서 저항 확인을 다 했기 때문에 ​ 매도세가 나올 타이밍인데 ​ 단기적으로는 파랑색 구간이 안 무너지고 있어요. ​ 물론 파랑색 구간이 무너져도 ​ 105.8 밑에서는 싸니까 더 산다는 움직임은 계속 나오는건 이전과 같아요. ​ 그냥 달라는 최근 변동성이 없다는 걸 알아두시고 그 다음을 보시면 됩니다. ​ 골드 골드는 5월부터 만들어준 추세선과 주황색 추세선..

나스닥 삼각수렴. 한국 환율과 아시아 증시.

나스닥 오늘 새벽에 익절 알람에 깨서 봤었던 차트입니다. ​ 삼각 수렴의 E 지점이 나오면서 일반적인 파동은 끝났습니다. ​ 이러면 XA 길이 만큼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그 전에 아래 추세선을 살짝 넘어가서 저항을 받는 모습도 보이긴 했지만 ​ 파동 관점에서 E 파동이 끝난 후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 저항 받고 내려가는 척 하는데서 휩쏘일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 이런 경우는 재차 반등을 생각해서 ​ 반등 하고도 XA는 커녕 삼각수렴 상단의 추세선에 도달하지 못하고 ​ 다시 하단이 무너질때 숏 진입이 가능합니다. ​ 보통 이 경우 DE 기준 23~38% 되돌림에서 더 올라가지 못하고 ​ 추세선 하단을 다시 확인하는 모습일때 매수세가 위험하다고 생각해야합니다.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