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504

골드 신고점과 비트코인.

달라 / 골드 왼쪽은 달라이고 오른쪽은 골드입니다. ​ 일단 달라는 무난하게 캔들 몸통 눌림목에서 지지확인 하고 오늘 미장에서 방향만 보여주면 되는 상황입니다. ​ 이 지지 확인을 위한 달라의 하락에서 골드는 플래그 패턴 무난하게 성공하면서 ​ 어느정도 상승을 해줬는데 ​ 오늘 아침부터 골드가 신고점을 만들어주는 상승을 해줬습니다. ​ 저런 움직임이 나오는건 기존의 고점 저항 구간에 있는 숏포지션을 로스컷 시키기 위해서인데 ​ 숏스퀴즈와는 조금 다릅니다. ​ 골드의 경우 지난 주 금요일쯤부터 지금 위치까지는 ​ 계속 매수 포지션에서 기회를 잡다가 ​ 숏으로 스위칭 할 상황이 아니었거든요. ​ 상승에서 숏이 아니라 ​ 상승 이후 다시 고점 아래로 눌릴때 저항 확인을 하고 숏을 진입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

금융 시장 주말 중요 포인트 정리.

달라 기존 분석에서 다를건 없습니다. ​ 1시간봉 수준에서 단기적으로 주황색 동그라미 고점을 돌파해주고 ​ 조정에서 몸통 눌림목 지지 나오고 ​ 추세선 돌파까지 ​ 추세를 바꿀때 나오는 전형적인 쓰리쿠션 다 해줬습니다. ​ 그리고 4시간봉 이상의 큰관점에서의 전저점 갈색선을 넘어간 상황입니다. ​ 이번에도 조정에서 갈색 구간을 잘 지켜준다면 ​ 한번 더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여전히 전체적인 추세를 바꾸려면 첫번째로 1번을 넘어가고 ​ 2번까지 넘어야 하는데 ​ 이걸 못해주면 한동안 횡보 수준일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골드 달라와의 디커플링에서 ​ 파랑색 동그라미에서 넥라인을 넘어가며 추세를 붙여준 골드가 ​ 달라의 상승에서도 버티는 것도 ​ 넥라인 돌파 이후 매수세가 붙었기 때문입니다. ​ ..

추세 전환 캔들 정리 글.

자세한 설명은 23년 11월 20일, 27일 방송을 참고하세요. ​ 특히 오늘 내용은 27일 방송에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설명 했던 추세전환 캔들에 대한 걸 표로 정리 했습니다. ​ 단순히 캔들 모습만이 아니라 ​ 저점에서 떴는지 고점에서 떴는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 검은색 선은 지지, 저항선이나 캔들 장악등에 관한 기준 선입니다. ​ 이 중에서 몇가지는 따로 밑에서 알아보기로 하겠지만 ​ 아주 간략하게 적을 생각이고 ​ 해석에 관한 투자자 심리에 관해서는 방송쪽을 참고 해주세요. ​ 캔들은 단순히 색깔이나 갯수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 어느 위치에서 확인되는지. ​ 투자자들의 어떤 심리로 매매 진입을 시도했는지를 이해하고 해석하면서 ​ 그에 맞는 대응을 할때 의미가 있습니다. ​ 단..

별 일 없는 시장과 추세반전 캔들.

달라 달라는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적당한 지지 확인 이후 ​ 단기적인 반등으로 추세 전환 도점 했지만 ​ 실패했습니다. ​ 그 후로 야금야금 하락을 해서 다시 쌍바닥 테스트하는 지점까지 왔어요. ​ 단기적으로 전고점은 파랑색 동그라미가 되는데 ​ 일단 추세선을 넘어서 전고점을 갱신해도 ​ 주황색 동그라미인 고점 돌파를 해주고 또 104.5~6을 넘어가야합니다. ​ 매도세가 많이 빠진건 보여도 매수세가 붙질 않습니다. ​ 추세선 넘어서 단기적으로 잘가도 주황색 동그라미 근처에서 또 하락으로 이어지며 ​ 박스권 횡보나 해줄 것도 생각해야합니다. ​ 주황색 동그라미 넘어가도 104.5~6을 못넘어가면 계속 횡보입니다. ​ 횡보가 장기화가 될 수 있어요. ​ 특히 12월이 겹쳐있으니 ​ 달라가 단기적으로 갈 생각..

주봉 관점에서 금융시장 정리. 비트코인 인버스.

달라 왼쪽은 1시간봉이고 오른쪽은 주봉입니다. ​ 1시간봉에서 파랑색 동그라미가 전고점이었는데 ​ 그걸 주황색 동그라미에서 고점을 아주 살짝 갱신해줬습니다. ​ 더블탑으로 봐도 되는 상황입니다. ​ 그리고 조정에서 눌림목 지지를 먼저 보여줬어요. ​ 그리고 지금은 확실하게 고점을 갱신한 상황입니다. ​ 단기적으로 달라가 상승세가 나올 타이밍입니다. ​ 단기적이니 만큼 어디까지 상승하는지 정도를 체크하는거고 ​ 3주에 걸친 하락세를 막아주려면 104.5~6에 있는 고점을 장대양봉으로 넘어가야합니다. ​ 주봉에서 보면 이번주는 기껏해야 매도세를 막아주는지와 함께 ​ 2020년 최고점이었던 검은색 동그라미 지지를 확인하는 상황입니다. ​ 그래서 이번주는 큰 변동성보다는 하락에서는 지지확인과 함께 ​ 매도세를 ..

달라에서의 돈의 이동. 나스닥 통곡의벽 매물대 확인. 비트코인 기울기와 더블탑.

달라 달라는 엔화환율가 주 이유가 되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달라인덱스만 본다면 기존에는 검은색 선조차 무너뜨리지 못했지만 ​ 일단 무너뜨리고 나서는 ​ 파랑색 지지 구간은 역할도 못한채 ​ 현재 주황색 구간까지 끌려내려온 상황입니다. ​ 무난하게는 지금 위치 지지 확인을 하는 정도인데 ​ 달라 특성상 다른쪽 차트 움직임에서 다음 움직임을 생각해야합니다. ​ 골드 / 달라엔화 달라와 커플링 디커플링 잘 해주는 차트는 달라엔과 유로달라가 있지만 ​ 현물에서는 골드가 있어요. ​ 그랬던 골드가 달라가 엔화에 의해 끌려 내려오는 순간에는 제대로 디커플링을 해주지 못했습니다. ​ 나스닥조차 달라 하락만큼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요. ​ 현재 달라와 함께 금융 시장 움직임 자체가 현물은 물론 채권에서도 ..

일본 금융과 세계경제. 그냥 끄적여보는 돈의 흐름.

달라 달라가 저점을 깨도 조금 쎄게 깼습니다. ​ 확장패턴에서 되돌림 127% 그 다음은 168%까지 이어지는 파동 패턴 확인하세요. ​ 좁은 범위에서 상승에서는 주황색 동그라미를 통해 계속 같은 비율 유지해준 것도 확인하세요. ​ 단순 비율로 확장채널에서도 하단 채널이 커진만큼 그 다음 강한 반등을 생각할 수 있는데 ​ 일단 지금 위치가 9월에 만들어준 매물대 하단을 벗어나서 리테스트 하는 위치입니다. ​ 일단 매물대 안으로 들어가서도 ​ 또 횡보 수렴에서 상단 이탈을 해야 큰 상승으로 이어갈 수 있습니다. ​ 오히려 지금 패턴에서는 삼고점 이후 추가 하락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그 추가 하락에서 저점을 한번 더 깬다음 ​ 다시 한번 확장채널로 가는 패턴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 그러니까 삼고점..

달라 패턴. 비트코인 도미넌스 패턴.

달라 달라는 작은 시간프레임이나 큰 시간 프레임이나 ​ 계속 고점을 갱신하면 하락하고 저점을 갱신하면 하락하고 ​ 어디서나 확장으로 움직이며 크게 볼때는 횡보였습니다. ​ 2주전에 주봉에서 105.87을 무너뜨리고 ​ 지난주에는 105.57 저항을 확인해서 이번주는 하락세를 기본적으로 보는 상황에서 ​ 단기적으로는 다시 한번 저점을 깼습니다. ​ 살짝 깬정도인데 피보나치 비율로 봐도 1.122를 터치한 것도 아니라서 ​ 추가 하락의 여지는 있습니다. ​ 그래도 검은색 동그라미 친것처럼 삐질삐질 하락으로 이어질때 ​ 13일 방송에서 언급한 것처럼 ​ 1시간봉이나 15분봉에서부터 추세를 바꿔주는 고점 한번 높여주기 이후 ​ 눌림목 지지이후 다시 상승으로 가는지에 맞춰서 ​ 반등으로 다시 한번 고점을 높여줄지..

주말 시장 정리. 캔들 몸통 활용.

달라 달라 그림이 조금 복잡합니다. ​ 일단 최근 흐름을 보면 횡보를 해도 예쁘게 해주지 않아요. ​ 그나마 수렴이면 괜찮은데 ​ 저점을 깨면 쎄게 반등하고 ​ 고점을 갱신하면 또 크게 하락합니다. ​ 단순하게 보면 그냥 확장채널이라고 보면 되는데 ​ 움직임 자체가 악랄한게 ​ 작은 시간프레임에서도 전부 그런식으로 움직입니다. ​ 롱도 수익 절대 안주겠다. ​ 숏도 수익 절대 안주겠다. ​ 그나마 달라인덱스 자체가 선물이 없어서 그렇지 ​ 달라의 움직임에 현물 시장 휘청휘청 하는걸로 보면사악하기 그지없습니다. ​ 게다가 단순히 꼬리로 저점을 깨는것이 아니라 ​ 캔들의 몸통 마무리를 집중해서 매수를 진입할만한 자리에서 ​ 분봉에서조차 신나게 털어대며 움직이는게 확인이 됩니다. ​ 초록색 동그라미 여기라고 ..

파동론3. 파동 카운팅 예상과 대파동과 소파동.

파동론의 마지막입니다. ​ 방송에서 꾸준히 하고 있었고 ​ 지난 글에서 엘리어트 파동과 일목균평 파동의 차이점을 알아봤습니다. ​ 이번에는 파동을 같이 활용하면서 파동 카운팅이 어디서 끝날지 예상지점과 함께 ​ 더욱 정교하게 카운팅 하는 방법을 알아보면서 파동론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 자세한 설명은 11월 6일 방송을 참고해주세요. ​ 일목 균형 파동은 5, 7, (9), 11, 13 파동에서 최고점일 확률이 높습니다. ​ 9파는 조금 특별하다는 것을 감안하면서 ​ 5, 7, 9 파동과 9, 11, 13 파동을 따로 나누어 생각해보면서 ​ 5파동이 나오는 순간부터 최고점일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 5, 7, 9파 둘 중 어느 것이 먼저 끝날지를 미리 예상해볼 수 있다면 ​ 훨씬 더 좋은 손익비로 리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