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트코인 360

달라의 상승 기회. 비트코인 4시간봉 rsi 과매도 터치.

달라 / 나스닥 금요일에 달라가 파랑색 동그라미를 장대양봉으로 돌파하면서 평행채널 상단에 찰싹 붙었습니다. ​ 지난주 금요일 오전과 마찬가지로 ​ 지금 살짝 넘어간건 미장이 열리지 않은 시간대에 넘어간거라 의미가 없어요. ​ 오늘 같은 날도 프리장이 열린 시간부터 살살 움직임이 나오면서 ​ 미장 열리기 1시간전인 22시 30분쯤부터 또 움직임이 나올 수 있습니다. ​ 103.4~5는 매도 관점에서 출발선이 되기 때문에 ​ 주황색추세선 보다는 더욱 매도세가 나오기 좋은데 ​ 금요일과 마찬가지로 여길 장대양봉으로 지나가는게 아니면 ​ 이 위로는 올라갈 수록 매도세는 계속 나오기도 합니다. ​ 그래서 오늘은 일단 조정이 올것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데 ​ 갈색선처럼 매물대 상단 지지가 나오면 ​ 반등에서 돌..

나스닥 피보나치 비율 활용과 비트코인 거래량 분석.

달라 달라는 1일에 주황색선 안으로 들어온데 이어 ​ 보라색으로 표시한 매물대 박스권 하단을 이탈했었는데 ​ 2일인 어제는 반등으로 다시 박스권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 일단 리테스트를 한번하며 저항을 확인했지만 ​ 그대로 하락으로 이어가지 않고 미장 열려있는 내내 ​ 주황색선까지 매수세를 이어서 선에 붙여놓고 장마감 했습니다. ​ 오늘 9시에 해선쪽 장이 열리면서 살짝 넘어가는 모습으로 하루를 시작하긴 했지만 ​ 파랑색 동그라미과 지금의 차이점이 ​ 파랑색 동그라미는 미장이 열려있는 시간에 확실하게 넘어갔지만 장대양봉이나 강한 매수세가 아니라 ​ 넘어가면서부터 매수세가 줄어들었어요. ​ 지금은 그냥 하루가 시작되고 넘어가 있긴 해도 ​ 미장이 열린 시간에 넘어간 것이 아니기 때문에 ​ 오늘 미장이 열리..

달라의 출발선과 나스닥 차트 종합 분석. 비트코인 교환비.

달라 달라는 주황색선을 넘어가고도 횡보는 커녕 버티지도 못해서 추가 하락이 나왔습니다. ​ 그런데 그 추가하락이 기존에 그냥 횡보로 넘어간다고 생각한 매물대를 벗어났습니다. ​ 그래서 일단 매도 관점에서 출발선이 내려와서 파랑색 선이 되기는 했는데 ​ 이쯤되면 지금 파랑색 구간은 매도관점 출발선에서도 리스크가 상당히 커져서 ​ 출발선 인식이 확실하려면 최대한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 아직 리테스트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 리테스트에서 추가 매도세가 나올 수는 있는데 ​ 위치 자체가 매도 관점에서는 매도를 봐도 손절범위를 짧게 잡아야 하는 구간입니다. ​ 그리고 이번에 리테스트라도 하게 되는 주황색 동그라미 지점을 보면 ​ 전에 넘어간 주황색 추세선이 겹쳐있어요. ​ 리테스트도 리테스트지만 이 구간은 장..

출발선을 활용한 달라와 비트코인 대응.

달라 달라는 평행채널안에서도 주황색 중심선을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넘어갔어요. ​ 그런데 장대양봉으로 넘어가도 매수세 받을까 말까하는 상황에서 ​ 정말 가기 싫었는지 그냥 어영부영 넘어갔습니다. ​ 이렇게 되면 추세선을 넘어갔다는 인식보다는 ​ 파랑색 안의 박스권에서 계속 횡보를 이어간다는 인식이 생겨요. ​ 그래서 어제 방송할때만 해도 일단 추세선은 넘어간 상황이지만 ​ 그대로 상승으로 이어가기 보다 횡보를 이어갈 확률이 높다는 설명을 했었습니다. ​ 문제는 현재 상황에서는 설령 장대양봉으로 상승을 해도 ​ 결국 평행채널 상단을 벗어나야 매수세를 받기 좋은 시점인데 ​ 지금 주황색 추세선을 벗어나도 꾸물꾸물로 벗어나면 보라색 저항 매물대 구간에 걸리기 딱 좋습니다. ​ 특히 저 매물대의 상단인 103.4..

비트코인 커플링 차트들과 계단식 상승.

비트코인 / 이더리움btc / 도미넌스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비트코인, 이더리움btc, 도미넌스 차트입니다. ​ 단, 이더리움 btc 차트는 인버스를 했어요. ​ 3개 차트를 보시면 시간대를 맞춰서 볼때 거의 완벽한 커플링입니다. ​ 단순히 상승하고 있는 차트여서 커플링도 아니고 ​ 비트코인 장대양봉이 나올 경우 밑의 차트들도 장대양봉이 나옵니다. ​ btc 차트의 경우는 음봉이지만 인버스를 해서볼때 상승하는 캔들로 치겠습니다. ​ 알트코인 시장은 이더리움이 대장인만큼 ​ 이더리움의 상승을 끝으로 도미넌스를 끌어내리면 ​ 알트코인 불장과 함께 비트코인도 하락으로 가는 것이 2021년 이후 불장의 패턴이었습니다. ​ 이걸 확인한 상황에서 계속 차트를 볼께요. 왼쪽은 이더리움btc차트이고 오른쪽은 도미넌스 차..

비트코인 rsi 계산. 매물대로 알아보는 상승세 줄어드는 차트.

나스닥 나스닥은 주황색 동그라미에서 평행채널 상단을 다시 한 번 돌파했습니다. ​ 2022년 11~12월에도 한 번 돌파했지만 얼마 못가서 다시 무너지고 하락이 나왔었는데 ​ 그때 돌파하고 만든 상승추세선이 있습니다. ​ 파랑색 동그라미는 상승추세선에서 저항을 받은 모습이예요. ​ 이 상승추세선은 다시 보라색 12260~12480 저항구간과 겹쳐져있습니다. ​ 나스닥이 몇달째 횡보만 하고 있지만 ​ 이번에 횡보를 끝내고 추가 매수세를 받으려면 보라색 저항 구간을 넘어가야해요. ​ 달라와 나스닥이 서로 가기 싫은 모습을 보여준다고는 하지만 ​ 달라쪽이 더 많이 양보하며 가기 싫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중이기 때문에 ​ 나스닥 입장에서는 이번 기회에 매수세를 살려야합니다. ​ 보라색 저항구간에서도 피보나치 비..

비트코인과 도미넌스 간단정리

14~20일까지 비트코인은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상승추세선을 한번 무너뜨렸습니다. ​ 그런데도 매수세가 죽지 않아서 그 추세선을 파랑색 동그라미에서 돌파하며 현재 횡보를 보여주고 있어요. ​ 파랑색 동그라미를 장대양봉으로 돌파했다는걸 기억하세요. ​ 저런 모습을 보여주고 나온 횡보라 ​ 지금의 횡보에서도 추가하락이 나와도 추가 매수의 기회가 됩니다. ​ 지금 차이점이라면 보라색으로 표시한 지점들에서 ​ 추세선을 타고 올라가냐 못가냐의 차이가 있는데 ​ 원래대로라면 지금의 모습이 매수에는 더욱 좋긴합니다. ​ 왜냐하면 숏 입장에서는 추세선을 타고 올라가는게 매도세에 안 좋은 모습이거든요. ​ 그렇기에 오히려 지금같은 상황에서는 갑자기 하락이 나와도 ​ 숏 입장에서는 너무 좋은 익절 기회가 되기 때문에 214..

가속추세선, 감속추세선. 캔들 꼬리의 역할. 비트코인의 꼬리 구간.

가속추세선, 감속추세선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시고 ​ 꼬리로 이어진 추세선에서 중요도 순서를 그냥 암기하셔도 되고 ​ 최대한 이해하셔도 좋습니다. ​ 블로그에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 윗꼬리를 연결한 선은 가속추세선의 역할을 하면서 ​ 가속추세선을 넘어가면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것은 지지, 저항선에서도 작용을 하면서 ​ 지지, 저항선에서도 어떤 꼬리가 더 많이 겹쳐있는지에 따라 중요도의 순서가 정해집니다. ​ 아래꼬리를 연결한 선은 감속추세선을 역할을 하면서 ​ 감속추세선을 넘어가면 하락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어제 방송을 참고하시면서 개념 정리를 정확히 하셔야 매매 성공률이 높아집니다. ​ 이더리움 클래식 BTC 차트 어제 방송에서 중요 설명으로 활용한 이클 차트입니다. ​ 글 만으..

급상승 하는 차트가 죽어가는 2가지 패턴.

달라 / 나스닥 먼저 달라와 나스닥을 보면 ​ 달라의 주봉 50일선 저항 확인한 이후 다시 한번 장대음봉으로 하락이 나왔고 ​ 이제 100일선과 꼬리들의 지지에서 반등을 노려야 합니다. ​ 나스닥은 달라의 하락에 비해 제대로 매수세가 붙지 못했는데 ​ 주봉 200일선을 중심으로 꼬리들이 많이 겹친 저항 구간까지 반등했습니다. ​ 나스닥의 경우 주봉 200일선을 두고 제대로 된 지지와 저항에 대한 지표를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 지금은 이평선보다 꼬리에 대한 지지와 저항에 더 중점을 두고 분위기만 파악하며 ​ 세세하게 따져가면서 방향을 파악해야합니다. ​ 달라는 몇주째 해주고 있는 매도세 죽이기 과정을 거쳐야 해서 ​ 일반적으로는 큰 변동성을 기대하기 힘듭니다. ​ 속도가 붙는다면 지금 위치에서는 상승쪽..

비트코인 지하실 끝? 경제 위기 신호 금!

비트코인이 7일 연속 양봉입니다. ​ 2021년 7월 숏스퀴즈 나왔을때 이후로 7일간 양봉이 나온건 처음입니다. ​ 원웨이 상승도 계속 이어가기 때문에 매수에 긍정적이예요. ​ 지난 6월 8일연속 음봉이 나왔을때도 ​ 한동안 매수세가 제대로 안들어 온것과 비교하면 ​ 이번에도 단기적으로 매도세가 들어오기는 쉽지 않습니다. ​ 다만 지금같은 모습이 하락장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매수도 익절을 확실하게 하면서 ​ 수익은 꼭 챙겨야 합니다. ​ 2019년 지하실 20000 부터는 비하실로 볼 수 있고 ​ 아직 최저점이 나왔다는 판단만 못 하는 상황에서 지하실에서 비슷한 유형들에 2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 지하실에서도 장대양봉은 나오지만 하락장을 쉽게 끝내지 못할 뿐이예요. ​ 먼저 2019년의 상황과 비교하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