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88

2023년 투자 준비를 하면서.

2022년에 투자했던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하락장으로 기억하실거예요. ​ 그럼에도 실력 차이에 따라 누군가는 이런 시장에서도 큰 돈을 벌고 ​ 누군가는 크게 손실이 납니다. ​ 하락장에 누구나 손실이 나는 것이 아닙니다. ​ 투자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변동성입니다. ​ 누구나 돈을 번다는 상승장 같은건 투자시장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사람은 욕심을 조절하지 못해서 ​ 상승장에서도 수익 실현을 하지 못 하는 사람이 대다수이고 ​ 실력있는 몇몇 사람만이 상승장에서 수익 실현을 하고 나와요. ​ 그리고 하락장에서 아무것도 안하는 사람은 손실이 쌓여만 가고 ​ 실력있는 더 극소수의 사람들은 많은 돈을 벌어갑니다. ​ 하락장에서도 이게 가능한 건 변동성이 살아있기 때문이예요. ​ 일반적으로 하락장에서 숏을 ..

돈의 흐름 2. 정치와금융. 경기 침체후는 대부업. 코인과 대출산업.

이번 글은 블로그 글에서 12월 22일에 쓴 경기침체에서 개미가 할 수 있는 재테크 글과도 연결되고 ​ 방송으로 12월, 12일 15일에 했던 내용을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 경기침체에 대비하기에 앞서 투자는 물론 경제에서 돈의 흐름을 알기 위해 또 하나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 금융시장에서 사건, 사고가 가장 많이 터지는 시기가 언제일까요? ​ 사건, 사고라고는 하지만 좋은일, 나쁜일 둘 다 포함됩니다. ​ 그것은 바로 대통령선거. 대선입니다. ​ 기왕이면 정권이 바뀌는 것이 제일 좋고 ​ 하다 못해 인물은 바뀌면 좋습니다. ​ 왜냐하면 책임 문제에서 벗어나야 세력질이 터져도 얼렁뚱땅 넘어갈 수 있거든요. ​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에 대통령은 대부분 레임덕 상태라 정치에 끼치는 영향력이 줄어드는 ..

변동성 없는 상황에서의 변동성. 환율 차트 수상함.

달라 / 나스닥 2022년 마무리를 앞두고 금융시장이 횡보를 하며 마무리 하고 있는데 ​ 나스닥은 주봉 200일선이 무너진 이후 매수세가 안나와서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 흘러내려도 원래 같으면 빠르게 빠져야할 타이밍인데 그런것 치고는 약하게 내려가고 있어요. ​ 일단 0.114인 10639가 반등이 나올 수 있는데 ​ 조금 더 주목해야하는 건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인 0.236 - 0.786 - 1.272까지 해서 ​ 10590봐도 됩니다. ​ 0.114 부근에서 쌍바닥도 생각할 수 있지만 ​ 더 좋은 쌍바닥은 10435에 있어요. ​ 그런데 달라가 본격적인 상승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 104.522를 돌파하지 않으면 나스닥이 무난사게 10590~10639을 지켜줄 수 있습니다. ​ 달라 자체가 104..

코스피 박스피 시절 매물대 활용. 한국 경제 기둥 뿌리를 뽑는 매도 관점.

12월 21일 글에서는 코스피의 박스권을 활용하여 ​ 매수 관점에서 하락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지점에 대한 분석을 알아봤습니다. ​ 오늘은 매도 관점에서 이번 하락으로 코스피의 장기적인 상승세를 완전히 꺽어버리는 것을 목표로 할때 ​ 중요한 지점에 대한 분석을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다시 한 번 차트 싸움을 전쟁에 비유하면서 ​ 파악해야할 차트적 요소부터 다시 정리해볼께요. ​ 이번 매도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건 이미 충분한 하락이 진행된 상태이며 잠시 쉬어가는 상황에서 ​ 매도 입장에서는 신규 포지션 진입이 껄끄러운 지점이면서 ​ 매수 입장에서는 매수 받기 좋은 자리를 한 번에 무너뜨려야 합니다. ​ 이미 박스피 시절의 박스권은 중요한 성벽으로 ​ 시간을 끌면 끌수록 매수에게 유리하며 계속해서 매수세가..

관심 못받는 비트코인 시장의 거래량

24일 비파쪽 거래를 보면 16848에서 계속 못내려가는 경우가 보였습니다. ​ 엄청난 벽이 가로 막고 있어서 못내리나 싶었지만 ​ 현재 비파쪽은 호가창 벽이 1개 차있기도 쉽지 않습니다. ​ 간혹 보면 10개 이하의 벽이 있고 ​ 조금 큰 벽이 하나 녹는 순간에서 거래량을 확인해보면 ​ 저 순간에도 아마 많이 녹여도 10개정도 녹인 것 같아요. ​ 10개를 못녹여서 1시간 이상을 16848에 머물렀고 ​ 같은 모습이 25일에도 보입니다. ​ 물론 주말인데다 크리스마스 연휴라는 특성을 감안해야겠지만 ​ 확실히 코인 시장에 거래가 별로 없습니다. 업비트가 그나마 한국에서 가장 거래량이 잘나오는 거래소라서 업비트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 먼저 거래량을 조금 눈여겨 본건 비파차트 때문이었습니다. ​ 그건 밑에..

경기침체에서 개미가 할 수 있는 재테크는?

2023년에는 수많은 전문가(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경기침체가 올것이라고 하는데다 ​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들 조차 경기침체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이러다 2023년에 상승장 오는거 아닌가... 라는 근거없는 불안감도 생기는데 ​ 2023년은 그냥 변동성만 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실제로 IT버블이나 리만브라더스 등등. ​ 큰 하락이 와도 지하실의 끝에서는 세력들이 받아먹는 매수세가 있기 때문에 ​ 왼쪽 나스닥 차트를 1년 단위로 보면 ​ 장대음봉을 경기 침체기간동안 장대양봉으로 절반 이상 잡아먹어주는 모습이 나오니까요. ​ 그것과 별개로 증시, 부동산은 침체가 이어질지라도 ​ 2024년 반감기 기다리는 비트코인은 2023년을 그냥 잘보내는 것도 아니고 ​ 예쁘게 잘 보내야합니다. ​ 왼쪽 비..

연말은 조용히. 달라 나스닥 비트코인 잠깐 정리.

달라 / 나스닥 왼쪽 달라에서 검은색 캔들 이후 저점을 깨는 반등을 시도하는 달라가 ​ 파랑색 캔들 구간을 보고 힘이 없다고 해서 ​ 저럴 경우 한 번 더 저점을 깨는 모습 이후 빠른 반등이 나올지도 지켜봐야 한다고 하면서 ​ 일단은 주황색 피보나치 채널 0.5를 돌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는데 ​ 아직까지 돌파를 못하고 있어요. ​ 그래서 달라 눈치를 보던 나스닥도 달라가 힘이 없자 ​ 주봉 200일선 갈까 말까 망설이던 나스닥이 일단 삐져나왔습니다. ​ 주봉 200일선 가려면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인 11360을 돌파해줘야합니다. ​ 사실 나스닥도 죽어도 가기 싫은듯 한데 달라가 너무 대놓고 양보하는 듯하지만 ​ 사실 전체적으로 보면 그냥 횡보이긴합니다. ​ 2022년 12월은 코로나 제재가 풀려서 그..

코스피 박스피 시절 매물대 활용. 한국 경제 기둥 뿌리를 지키는 매물대.

코스피 매물대 2022년 12월 19일 방송에서 코스피의 하락을 방어해줄 가장 든든한 매물대를 활용하여 ​ 어떻게 움직임이 나오면 좋을지. ​ 어떤 자리가 매수진입 하기 좋고, 매도진입 하기 좋은지. ​ 그에따라 어떤 움직임이 매수에 유리한지에 맞춰 어떤식의 대응을 해야하는지를 설명하는 영상이 있어요. ​ 단순히 코스피에 대한 분석만이 아니라 ​ 매물대를 활용하여 공격하는쪽과 지키는쪽의 투자자의 심리에 따른 움직임을 설명했었습니다. ​ 기존까지 매물대에서의 움직임을 설명한 건 공성전에서 어떻게 싸워주는 것이 좋다는 내용이었다면 ​ 이번 방송은 매물대를 활용하여 어디서 싸워야 유리하고 불리한지. ​ 매수세와 매도세의 기세가 어느쪽이 좋은지에 따라 분위기를 파악하고 그에따른 대응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이었어요..

추세반전 캔들. 코스피 매물대 숙제. 매물대를 활용하는 공성전.

달라 / 나스닥 저번주 주봉 캔들 완성을 보면 달라는 주봉 50일선을 무난하게 지켜주고 ​ 나스닥은 주봉 200일선을 다시 무너뜨렸습니다. ​ 게다가 둘 다 추세 반전 캔들이 나왔어요. ​ 특히 나스닥에서 나온 캔들은 반등하기에 정말 좋은 캔들인데 ​ 저 캔들이 주봉 200일선을 무너뜨리고 나온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 나스닥에서 파랑색으로 표시한 캔들을 보면 같은 캔들이고 저점 부근에 나온점은 좋았는데 ​ 주봉 100일선을 무너뜨리면서 나왔었어요. ​ 그래서 그 다음주와 다다음주 캔들도 보면 윈꼬리가 계속 길어요. ​ 매수세는 계속 살릴 수 있는 캔들 모습인데 그게 전부 이평선 저항을 받으며 2주를 버티고 무너져서 ​ 주봉 200일선까지 하락했습니다. ​ 지금 상황도 비슷한데 ​ 이번주부터는 주봉 20..

달라 매수세약함. 나스닥 반등지점. 비트코인 잘지켜주는 상황. 가치투자 안하는 이유.

달라 / 나스닥 왼쪽은 달라, 오른쪽은 나스닥입니다. ​ 먼저 파랑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 달라가 평행채널 하단에 도착했을때 ​ 나스닥은 확장채널의 상단에 도착했습니다. ​ 서로가 도달할 곳에 도달했을때는 장대음봉과 양봉이었어요. ​ 그런데 그 이후 움직임에서 달라는 반등이 형편없었던데 비하면 ​ 나스닥은 큰 하락을 이어갔습니다. ​ 특히 달라는 주황색 캔들, 나스닥은 주황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 달라는 23시에 하락을 했는데 나스닥도 같이 하락을 했습니다. ​ 달라쪽이 밑꼬리를 길게 만들어 줄정도로 빠른 반등에서 나스닥은 그대로 밀리며 11300까지왔지만 ​ 그후의 달라 상승에서는 나스닥은 멈춰줬습니다. ​ 확장채널의 하단에 도착해서도 그렇지만 ​ 일단은 다시 한 번 가격방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