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위안환율 4

미국 국채 금리 2년물과 달라와 한국 환율.

미국 채권 금리 2년물 그러던게 22년부터 채권 금리 변동성에서 ​ 2년물에 따라잡히더니 금리까지도 역전당했어요. ​ 그러기에 앞서 채권 금리의 하락장을 끝낼 수 있는 출발선 돌파하던건 21년 말이었고 ​ 특히 의미가 있는움직임은 3번이 있었습니다. ​ 보라색 동그라미부터 보면 6월 16일입니다. ​ 저때 싸다고 채권을 산사람(기관)은 물렸고 지금은 손절을 나갔겠죠. ​ 박스권을 돌파한 시점인데 ​ 저 모습이 금융 시장에 당장 반영된건 없지만 ​ 날짜 보시면 정확히 2년 뒤인 2023년 6월 16일 이후 미국 기준 금리는 다시 올랐습니다. ​ 그리고 검은색 동그라미인 9월 28일의 정확한 2년 뒤는 23년 9월 28일. ​ 저때도 싸다고 채권을 산사람(기관)들도 물렸고 지금은 손절을.... 나갔을까요? ..

고점 갱신 달라. 한국 환율이 다시 가속하는 시점.

달라 달라인덱스는 9월 25일 월요일에 2023년 고점을 갱신했습니다. ​ 단기적인 상황에서 아무도 안속을 것 같은 저점을 깨는 반등으로 ​ 온갖 하락추세선은 다 돌파해줬고 ​ 다우이론상 파랑색선을 돌파하고 고점을 높여주는 모습부터 ​ 파랑색선 아래로는 조정이 와도 계속 매수세가 붙을 차트였다고는 하지만 ​ 몇일 찍먹하고 그대로 고점을 갱신하기까지 ​ 파죽지세로 이걸 다 해주는데 ​ 약 100일정도 걸렸습니다.(독일이 폴란드와 프랑스 정복하는데 걸린 시간이 100일....) ​ 고점 갱신한김에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과 저항지점인 107 주변인 검은색구간까지 갈지 어떨지야 모르겠지만 ​ 달라는 계속 똑같습니다. ​ 조금이라도 조정이 오면 싸니까 더 사는 분위기 계속 이어갈 수 있습니다. ​ 이전에는 파랑색선..

달라와 환율과 아시아증시 비교.

달라 달라의 매수세가 엄청나긴합니다. ​ 파랑색 동그라미는 전고점을 지지하고 한차례 더 상승하는 모습인데 ​ 심지어 그 상황에서 추세선 안으로 들어가버렸어요. ​ 워낙 가파른 상승추세선이었는데 ​ 당장 어디까지 상승할까보다는 ​ 언제 추세선에서 벗어날지를 신경써야합니다. ​ 그 타이밍이 다른 현물차트들에게 기회가 됩니다. ​ 그리고 이 부분에서 보조지표로 아시아 환율 시장을 체크해보면 좋습니다. ​ 원화 - 위안 / 달라 - 원화 환율 차트쪽을 보자면 먼저 원위안 차트가 지지구간에서 ​ 지지는 계속 보여주고 있습니다. ​ 그럼에도 아슬아슬하게 버티는 수준인데 ​ 달라원화, 환율 차트쪽에서 보면 매물대의 하단인 아래꼬리 저항들을 돌파했어요. ​ 이 부분에서 환율 방어하기 힘든상황이 됐습니다. ​ 물론 달라..

한국 환율은 얼마나 심각한가? 위험한 이유.

달라 환율 달라 환율 차트입니다. ​ 달라가 상승세인건 맞지만 한국은 유독 상승세가 강합니다. ​ 삼각수렴 상단을 돌파하면 환율차트에서도 매수세가 강할 수 있는 건 생각했지만 ​ 그래도 달라와 보조를 맞춰가며 강해져야 하는데 유독 심해요. ​ 그래서 다른 나라 환율에 맞춰서 왜 한국이 유독 매수세가 강할까 생각해봤어요. ​ 중국 환율 중국 위안화에 맞춘 환율입니다. ​ 평소에는 170원대에서 횡보만 하던 위안화가 2021년 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어요. ​ 2021년 7월 주황색 동그라미에서 박스권에서도 중심선을 돌파하면서 매수세가 멈추지 않더니 ​ 2022년 2월 파랑색 동그라미에서는 12년간 횡보해준 박스권의 상단을 별다른 저항도 없이 돌파했습니다. ​ 달라 환율에서 삼각수렴 상단을 돌파하던 202..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