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트코인 361

저점을 낮추는 나스닥. 변동성을 줘야 좋은 상황.

달라 / 나스닥 달라는 8월 23일 기준 8월 29일에 고점을 한 번 높였었습니다. ​ 그래도 저때까지는 고점을 높여도 멀리 못 가서 한 번 더 눌리는 상황을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 물론 기대와 별개로 달라가 고점을 높일때 ​ 나스닥은 12900~13100 중요 지지 구간을 무너뜨렸어요. ​ 그러면서 매수쪽은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 달라는 이제 빨강색 구간을 무너뜨려야 본격적으로 추가 하락이 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 30일인 어제 미장이 열리고 상승을 해줬지만 무난하게 저항받으며 ​ 다시 빨강색 저항 구간에 와있어요. ​ 그런데 나스닥은 저점을 한 번 더 낮췄습니다. ​ 달라의 위치와 상태 때문에 나스닥은 꾸물꾸물 상승을 끝내기 위해서라도 ​ 저점을 한 번 더 깨고 가는게 좋은 상황이었어요. ​ ..

매물대의 유형 분석. 환율과 코스피 거품. 비트코인.

달라 / 나스닥 달라는 다시 전고점 아래로 밀렸습니다. ​ 그리고 지금 위치는 꼬리고 만들어진 구간과 평행채널 상단에서 지지가 나오고 있어요. ​ 지금 자리가 무너져야 추가 하락을 기대할 수 있는데 ​ 오늘 미장 열린 이후 방향이 중요합니다. ​ 나스닥의 경우도 꼬리로 만들어진 구간의 상단에서 지지가 나왔습니다. ​ 아직까지는 매수세가 잘 붙는 모습은 아니예요. ​ 12900~13100 구간과 추세선이 겹친곳이 저항이 강할텐데 ​ 그 부분을 도전하기 위해서 일단 12760~12800 이 검은색구간 위로 넘어가야해요. ​ 파랑색 구간과 검은색 구간 사이에 또 매물대가 있습니다. ​ 꼬리 저항에 매물대 2개가 연속으로 껴있으며 중간에 중심선 까지 있어요. ​ 정말 복잡한 모습으로 저항구간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2.08.30

주봉 마무리와 21일, 200일선 데드크로스. 수상한 거래량.

달라 / 나스닥 달라는 고점을 또 갱신 해줬습니다. ​ 상승추세를 받기 좋은 상황에서 ​ 나스닥이 주봉 200일선까지 가기에 중요 지지구간 하나가 남아있어요. ​ 달라다 고점을 갱신하고 멀리 못가서 다시 아래로 내려오는 상황에 나스닥 반등을 노릴 타이밍인데 ​ 나스닥이 반등해도 다시 추세선과 12900~13100 파랑색 저항구간을 넘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 달라가 고점리테스트를 해주는 상황에서 조금 더 눌리는 것까지 생각해볼때 ​ 나스닥은 거품을 만들어 줘야 파랑색 구간 도달할 수 있는 상황이예요. ​ 나스닥이 거품을 안 빼면 좋은 구간에서 거품을 빼버렸어요. ​ 달라는 이번주안에 109.3 아래로 눌리는 것이 아니면 ​ 횡보만 해도 달라는 쉬어가는 구간이 되고 상승추세 받기 좋은데 ​ 보라색 구..

거품뺀 나스닥. 평행채널 벗어난 비트코인.

달라 / 나스닥 왼쪽은 달라이고 오른쪽은 나스닥입니다. ​ 어제 달라가 미장 열리는 시간을 중심으로 큰 움직임이 나왔어요. ​ 검은색 캔들을 보시면 빠른 하락이 있었는데 ​ 그때 나스닥은 제대로 오르지 못 했습니다. ​ 거의 그 자리에 멈춰있었어요. ​ 그후 달라쪽 장대양봉에는 나스닥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 그 다음에 파랑색 캔들쪽 보시면 달라는 오르면서도 매수세가 점점 빠져나갔어요. ​ 빨강색 저항 구간은 돌파했는데 그 후로 평행채널 상단 의식하듯이 매수세가 줄었어요. ​ 그런데 나스닥은 그 시간대에도 계속 하락을 했습니다. ​ 나스닥의 경우는 12900~13100 이 구간과 함께 ​ 하락추세선을 버텨주는 싸움을 했어야 했는데 ​ 장대음봉으로 한 번에 무너지자 강한 매도세가 나왔어요. ​ 달라는 후반..

힘좋은 나스닥. 고개숙인 비트코인. 20000 아래 중요자리.

나스닥 / 달라 나스닥은 어제 주봉 100일선인 13080 위로 올라왔어요. ​ 금요일에 지키기에 성공하면 다음주에 추가 매수세 노릴 수 있습니다. ​ 달라쪽은 더블탑 이후 빨강색 꼬리가 모인 저항 구역에 도달했는데 ​ 2일동안은 누르는데 성공했습니다. ​ 이번주 장이 오늘 하루 남았는데 역시 나스닥과 함께 중요한 구간에서 ​ 목요일까지는 매수에 유리한 포지션을 차지한 상황이라 ​ 오늘 금요일 잘 막아내는 걸 목표로 해야합니다. ​ 비트코인 / 나스닥 오른쪽은 비트코인이고, 왼쪽은 나스닥입니다. ​ 나스닥은 이번주의 하락세에서도 무난하게 2일버티기에 성공하고 ​ 매물대에서도 한단계 위로 올라오는데 성공했습니다. ​ 그런데 비트코인은 피보나치 채널의 영향은 받지만 ​ 고점 한 번을 높여주지 못 한채 박스권..

달라의 더블탑과 나스닥의 버티기. 비트코인 꾸물꾸물.

달라 달라는 더블탑을 완성하고 급하락이 나왔습니다. ​ 달라의 하락에서 나스닥의 상승이 나온건 아니지만 ​ 단기적으로 다시 한 번 상승세를 눌러줄 기회를 잡았어요. ​ 한 번 눌린 이후 피보나치 비율 0.886에서 눌리고 있지만 ​ 7월 고점 부근이었던 꼬리들이 모여있는 빨강색의 구간이 있습니다. ​ 이 구간을 장대양봉으로 돌파하긴 했어도 ​ 더블탑 힘에 눌려 다시 그 저항 구간 안에 머무른 상태예요. ​ 이번에 눌리면 파랑색 구간 횡보로 거품을 만들어 준 구간까지 누를 수 있습니다. ​ 나스닥은 그때가 상승기회가 되는데 ​ 상승이라고 해도 거품을 뺄 수도 있는 상황이예요. ​ 안 오르는 건 아니지만 13900을 목표로 하되 ​ 2단계 거품은 3단계에서 덜어내면서 개미를 계속 흔들 수 있기 때문에 ​ 너..

나스닥 지지구간 활용. 비트코인 매물대 활용.

나스닥 나스닥은 12900~13100 지지 구간까지 내려와서 장마감하고 난 이후 아직까지는 별 다른 움직임이 없습니다. ​ 달라의 더블탑을 기다려봐야 하는데 ​ 현재 달라의 상승세가 매섭지만 ​ 그럼에도 조정에서 매수를 받아볼 만한 곳은 파랑색 구간입니다. ​ 하락에서 매수하 거나, 돌파하고 나서 매수를 하는게 좋아요. ​ 파랑색 지지구간이 무너지면 이제 검은색으로 표시한 매물대에서 싸움을 해야하는데 ​ 검은색 매물대는 지지를 해줄 수는 있어도 파랑색 지지구간이 더 중요한 것과 ​ 현재 그 구간이 추세선이 겹치있기 때문에 ​ 하락에서 파랑색 구간에서 멈추고 빠르게 추세선을 돌파해주면 괜찮지만 ​ 검은색 구간까지 내려올 경우 다시 파랑색을 저항 삼아야 하는데다 ​ 추세선까지 겹친 구간을 싸워야 한다는 점에..

다음주 투자시장 관점 포인트. 달라. 나스닥. 비트코인.

달라 / 나스닥 달라차트는 주봉에서 약간이지만 모든 음봉을 다 잡아먹는 장대양봉이 떴습니다. ​ 이러면 다음주도 매수세는 계속 들어옵니다. ​ 목표는 전고점이예요. ​ 달라와 나스닥 캔들을 비교해보시면 아시겠지만 ​ 달라는 전주 음봉을 확실하게 잡아먹었다면 ​ 나스닥의 음봉은 양봉을 잡아먹지 못 했습니다. ​ 달라의 상승에서 나스닥은 거품을 만들면서까지 가격 방어를 해줬어요. ​ 나스닥쪽 보시면 12900~13100의 지지구간까지는 이제 코 앞입니다. ​ 특히 중요한건 100일선이예요. ​ 2022년 100일선 지지가 그나마 반등이 강했지만 ​ 100일선이 무너졌을때 주봉 200일선까지 빠른 하락을 이어가고 다시 나온 상황입니다. ​ 100일선도 돌파했기때문에 당연히 이번주는 달라의 상승에도 100일선 ..

장투를 하는데 필수 차트 요소. 베이스캠프.

최근 추세선 돌파에 따른 상황과 비슷한 구간의 차트입니다. ​ 추세선은 차트의 기초이고 이곳 에서부터 많은 캔들 패턴들이 파생되며 ​ 매매 진입의 기준이 되는 선들입니다. ​ 지지, 저항선과는 다른 개념으로 보셔야 해요. ​ 지지, 저항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매매 진입 타이밍은 추세선을 잡는게 기본입니다. ​ 떨어지는 칼날을 잡고 저항 구간에서 청산하는 것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 추격매수와 물량을 다 던지며 빠져나가는 기준은 추세선이 되요. ​ 그럼 어떤 추세선은 매매 진입 기회가 되는 정도로 끝나는데 ​ 어떤 추세선은 크게 무너지고 장대양봉이 나올 것이라고 판단 할 수 있을까요? ​ 조건은 2가지입니다. ​ 1. 한달 이상의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추세선. ​ 2. 베이스캠프를 형상하는 구간의 추세..

비트코인 하락 이후 상황 정리.

추세선을 벗어난 이후 첫 횡보이후 보라색 구간은 ​ 나스닥은 가만히 있는데 비트코인 혼자서 하락을 했습니다. ​ 하락한 것 까지는 문제가 안되는데 22700~23000여기 지지구간을 활용한 반등이 너무 약했습니다. ​ 반등이라기 보다 사실 그냥 멈췄다고 보는게 맞아요. ​ 횡보를 해도 어느정도 변동성을 주면서 횡보를 해야 하는데 ​ 사는사람이 없는 건 물론이고 반등 자체가 없었습니다. ​ 결국 22700이 무너지자 전저점은 반등없이 그냥 무너져 내렸습니다. ​ 22700이 깨진 이후 나온 큰 하락은 지금 같은 상황에서 추세선이 무너지고 나오는 하락이기 때문에 ​ 알아두시면 좋아요. ​ 단순히 추세선이 무너진다고 다 저런 하락은 아닙니다. ​ 이전에 2021년 1월, 4월, 9월, 1월 ​ 2022년 5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