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88

다이버전스와 rsi 계산. 도미넌스 움직임으로 보는 코인시장 분위기 파악.

달라 / 나스닥 왼쪽은 달라차트이고, 오른쪽은 나스닥차트입니다. ​ 달라는 중요 지지구간인 106.56 위로 꼬리들이 뭉쳐있는 파랑색 구간이 있습니다. ​ 나스닥도 12200~12480까지 2020년 신고점으로 만들어진 ​ 윗 꼬리 뭉쳐있는 저항구간인 파랑색 구간이 있어요. ​ 서로 지지와 저항을 두고 흔들기 이어갈지 아니면 ​ 이 흔들기를 끝내고 나스닥이 상승으로 갈지 결정되는 상황입니다. ​ 여기서는 어느쪽이 유리하다 그런건 없어요. ​ 개미가 계속 달라붙는다 싶으면 더 흔들고 ​ 안 붙는다 싶으면 그대로 돌파해서 나스닥 전고전인 12900 도전하는 그런 상황입니다. ​ 물론 그때 달라도 106.56을 무너뜨리고 103.821을 향해 가는게 좋습니다. ​ 비트코인 비트코인도 어제 보라색동그라미에서 2..

전고점 갱신한 비트코인. 도미넌스로 보는 흡성대법.

달라 달라는 108.6에서 저항으로 106.651까지는 무난히 하락했지만 ​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다시 반등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 106.651을 너무 쉽게 돌파 당해서 현재 지지구간으로 인식이 약할 수 있는 상황인데 ​ 그럼에도 평범하게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나스닥 흔들기도 계속 된다고 보시면 되요. ​ 106.651과 108.6 사이에서 횡보에서 나스닥이 많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 나스닥 나스닥은 12900을 돌파해서 고점 갱신해주는 것이 가장 좋지만 ​ 현재 빨강색 구간이 2020년 불장 고점의 꼬리가 뭉쳐있는 구간입니다. ​ 이 구간에 가격대가 멈췄는데 ​ 흔들기도 빨강색 구간 아래에서는 저항을 받는 다는 인식 정도였으면 ​ 지금은 검은색의 매물대까지 포함해서 ​ 갈 생각이 있더라도 횡..

피보나치 비율, 채널 되돌림. 비트코인 중요 하락추세선.

나스닥 금요일 나스닥은 미장 마무리를 잘 해줬습니다. ​ 이번 11980 아래에서의 흔들기를 할때 ​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 0.236-0.786-1.272 까지는 정석대로 해줬고 ​ 조정이 나온 상황이 7월 14일 목요일 미장이었습니다. ​ 매수세도 좋고 분위기도 좋았지만 ​ 11980에 도전하기까지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과 겹친 11780에서 우위를 차지해 줬어야했는데 ​ 5월 15일 금요일 미장 열리기까지 1.272조정에서 11780을 잘 지켜주더니 ​ 기어이 11980을 돌파하면 주봉 마무리 해줬어요. ​ 그럼 이제 흔들기가 끝났냐 하면 그건 아닙니다. ​ 이런 흔들기에서 흔들기 끝났다는 신호는 11980을 단순히 돌파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 확실하게 매물대도 다 먹어주면서 계속 매수세로 끌고가야..

피보나치비율 활용 정석. 비트코인 매물대.

나스닥 어제 데이트레이딩 피보나치 비율을 이런식으로 잡았습니다. ​ 0.5가 11580에 맞아 떨어지게 잡았는데 ​ 지금 나스닥은 11980 돌파를 앞두고 개미 흔들기를 하면서 ​ 하락에서는 주봉 200일선과 7월 초 만들어 준 11350~11650 매물대를 활용해야하는 상황이예요. ​ 어제 미장이 열리고 0.5를 무너뜨리면서 시작됐습니다. ​ 이때 0.5를 기준으로 잡아서 그 아래에서는 피보나치 비율을 활용해 ​ 되돌림 비율로 반등을 노리며 어느 자리까지 가고 노릴지 알기위해 ​ 피보나치 비율을 활용했어요. ​ 파랑색 동그라미를 보면 미장이 열리고 하락에서 0.236까지 하락이 나왔습니다. ​ 그리고 0.5만 다시 돌파하면 되돌림 비율인 0.786을 터치해 주고 조정이 올때 ​ 피보나치 비율 0.5를 ..

달라를 활용한 거품과 버티기 차이.

달라 / 나스닥 왼쪽은 달라차트고, 오른쪽은 나스닥 차트입니다. ​ 어제와 오늘까지 상황을 보면 ​ 달라는 상승하는 추세이지만 2일만 보면 횡보를 하고 있어요. ​ 1번 파랑색 동그라미에서 달라는 108.6을 터치할때 나스닥은 11500까지 하락했습니다. ​ 그 다음 움직임에서 2번 주황색 동그라미에서는 ​ 나스닥이 11780을 도전하며 달라의 하락이 나왔어요. ​ 3번 갈색 동그라미에서 달라의 상승이 나오는데 나스닥은 조정을 주고 또 11500을 터치했습니다. ​ 1번과 3번을 비교하면 나스닥은 같은 가격대를 만들어 주고 ​ 달라만 상승이 나왔습니다. ​ 1번에서 3번이 나스닥의 가격 버티기라고 보시면 되요. ​ 그리고 다시 달라가 조정이 와서 4번 보라색 동그라미가 1번과 같은 위치에 왔을때 ​ 나스..

거품을 빼며 흔드는 나스닥. 비트코인 위기와 기회.

달라 / 나스닥 위에는 달라차트이고 아래는 나스닥 차트입니다. ​ 둘을 같이 보며 비교해 볼께요. ​ 7월 5일 화요일부터의 비교가 됩니다. ​ 저번주 나스닥이 달라와 커플링을 하며 올라갔던 상황부터 보는건데 ​ 저번주 달라의 움직임은 조금 특이한 점이 있었어요. ​ 미장이 열린시간에서는 달라가 상승을 하긴 했지만 변동성은 별로 없고 ​ 사실상 횡보를 한 수준이었습니다. ​ 반면 나스닥은 미장이 열린 시간에 강한 상승으로 ​ 저번주 나스닥의 상승은 미장 열린시간에 전부 나왔어요. ​ 달라의 상승은 오히려 미장이 닫혀있는 시간이었고 ​ 오후 16시 이후였던 유럽장이 열린 시간에 주로 상승이 나왔습니다. ​ 달라에서 검은색으로 표시한 캔들을 보면 달라가 유독 상승했을때를 보면 ​ 주황색선을 돌파했었어요. ​..

달라와 나스닥 디커플링일때 움직임. 비트코인 분위기 결정 선.

달라 / 나스닥 저번 글에서는 달라와 나스닥의 커플링시에 나올 수 있는 목표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 이번에는 디커플링시에 나올 수 있는 목표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 저번 한 주는 커플링으로 움직임이 나왔지만 일반적인 경우도 생각해봐야합니다. ​ 저번 글에서 커플링에서도 나스닥의 상승 관점에서 봤지만 ​ 기본적으로 디커플링시에 나스닥이 가주는 게 제일 좋은데 ​ 주봉 200일선 터치 이후에는 단기적이긴 해도 매수 관점을 보기에 좋은 상황이기에 ​ 달라의 방향과 관계 없이 나스닥은 긍정적인 상황입니다. ​ 일반적으로 달라가 조정이 온다면 103.821까지 하락을 보고 ​ 조금 더 하락이 나오면 101.3까지도 볼 수 있어요. ​ 이 경우 일반적인 교환비 1 : 500에 맞추면 ​ 103.821까지 하락시 ..

달라 상승에서 가격 방어해 준 나스닥. 상승타이밍 지켜줘야 하는 비트코인.

달라 / 나스닥 왼쪽은 달라차트이고, 오른쪽은 나스닥 차트입니다. ​ 2022년 3월의 상황을 보시면 ​ 달라가 94.747이라는 추세를 터뜨릴 수 있는 선을 돌파하고 한 동안 횡보를 하면서 ​ 94.747 리테스트를 확인 한 이후 상승추세를 시작했을때입니다. ​ 저 시기에는 나스닥이 달라와 커플링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 달라가 상승 횡보 했을때 나스닥이 강한 상승을 보여줬을 때입니다. ​ 주봉 50일선에서 제대로 된 반등이 안나오면서 그냥 무너지고 ​ 2월 24일 전쟁 소리 나왔음에도 ​ 100일선 반등으로 15300을 확인하던 시기였습니다. ​ 당시에도 달라는 상승세가 나오는데 ​ 나스닥이 주봉 100일선에 12900~13100 지지구간을 활용해서 가격 방어를 해주고 상승한 시기예요. ​ 당시 달..

나스닥 비트코인 좋은 타이밍 가져가는 모습. 이평선 활용. 매물대의 심리적 작용.

나스닥 나스닥의 경우는 추세 자체를 변화시키는데 넘어야 할 중요한 구간은 ​ 11900~12000입니다. ​ 일단 그 자리 가기에 앞서 넘어가야 하는 선이 있는데 ​ 5월 19일 몸통을 시작으로 6월 중순 무너진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저항을 확인해준 지점이면서 ​ 6월 말 무너진 이후로도 저항을 확인한 지점입니다. ​ 11720이 그 자리인데 ​ 특히 6월 28일 무너질때 한번에 무너진 이평선이 4시간봉 100일선이예요. ​ 4시간봉 100일선이 평소에 중요한 선은 아닌데 ​ 4시간봉 200일선에서 저항받고 조정 이후 다시 상승을 하려면 ​ 100일선을 밟고 가주는 게 좋아요. ​ 그런데 28일에는 12050을 돌파해놓고 추격매수 하는 사람들도 물리게 해주면서 ​ 동시에 100일선 지지를 기대한 사람들의 ..

금융시장 2022년 상반기 마무리. 월봉 특징.

나스닥의 월봉입니다. ​ 꼭 나스닥만이 아니고 미국증시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며 ​ 그것으로 인해 주식종목 하나하나도 영향을 받는 월봉 캔들 특성을 써볼께요. ​ 비트코인은 역사가 짧아서 아직 월봉 200일선은 없습니다. ​ 그런데 생기고 나서는 이 기준에 그대로 적용을 받을 수 있어요. ​ 일단 금융시장의 장기적인 특성에서 ​ 매우 큰 대세상승장에 이은 대세 하락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도 ​ 주황색 동그라미들을 보면 월봉 50일선은 반등을 줍니다. ​ 보통 이 자리는 주봉 200일선과 겹쳐있기도 해요. ​ 21세기만의 특징이 아니고 20세기에도 적용된 그런 모습이예요. ​ 그런데 정말 큰 하락이 올때, 월봉 50일선은 잠시 반등을 주는 자리이고 ​ 추가로 ​2차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어쨌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