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90

천연 자원 차트와 투자 시장 2차하락.

나스닥 IT버블 시기와 리만브라더스 시기를 보면 ​ 주봉 200일선을 지지 받지만 결국 못 버티고 무너진 이후 2차 하락이 시작됐습니다. ​ 물론 지금은 200일선이 무너진 이후에도 버티고 버티면서 ​ 현재는 주봉 200일선 위에 있지만 ​ 매수세가 제대로 붙어주지 않고 있어요. ​ 과거에는 달라가 하락할때 반등은 커녕 하락을 해주며 거품을 빼는 방식이었지만 ​ 현재는 달라가 하락할때 무너지지 않고 버텨줘버려서 ​ 나스닥은 물론 투자 시장 전체적으로 거품도 빼지 못한채 망령처럼 배회하고 다니는데 ​ 문제는 달라 하락에서 반등도 제대로 못하지만 ​ 그 돈이 금이나 채권시장 등으로 흘러 가고 있습니다. ​ 이 부분은 3월 14일 방송에서 슈퍼 사이클로 설명을 일부 했기 때문에 일단 넘어가고 ​ 어쨌든 2차 ..

변곡점에 들어선 금융시장 돈의 이동. 진짜 경기침체 과정. 금융시장 슈퍼사이클.

달라 달라는 다시 검은색 매물대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 특별한 점은 없고 계속 매물대 녹여주는 작업을 할 것을 생각하면 됩니다. ​ 그런데도 달라를 집중해야할 것은 돈의 이동을 알아보는 기준 차트가 되기 때문입니다. ​ 달라 / 금 일단 가장 민감하게 체크해야하는건 달라와 금입니다. ​ 그냥 평범하게 디커플링이다. 만 알고 있어봐야 ​ 지금 같은 변곡점에서는 시장 분위기 파악을 예민하게 체크하기 힘듭니다. ​ 결국 경기 침체의 끝을 향해 갈때 모든 가치는 달라 금으로 회수 될 것이기 때문이예요. ​ 일반적으로 기관이 돈을 묶어둘 수 있는 상품 중 ​ 현재 상승장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차트는 달라와 금 밖에 없습니다. ​ 오일 같은 자원 상품은 금융 기관이 저장을 하기 힘들기 때문에 ​ 경기 침체에서 돈..

비트코인 저점 낮춘 이후 대응.

2월 비트코인이 고점을 찍은 이후 ​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전고점을 무너뜨린 이후 매수세는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 매수세가 꺽였어도 매수세가 완전히 죽거나 ​ 매도세가 쉽게 나오기는 힘든 상황이었어요. ​ 그런데 이후 움직임에서 주황색 기울기를 보세요. ​ 1번 기울기는 그래도 상승세가 있었다면 ​ 2번 기울기에서는 아예 심정지를 했습니다. ​ 2번 기울기에서 매수세가 더 줄어든 것은 확인이 되지만 ​ 그래도 저점을 낮추지 않았고 ​ 1월 6일 이후 들어온 매수세 이후 가장 변동성 없는 횡보였기 때문에 ​ 방향이 상승으로 결정된다면 다시 한 번 상승세 받아 전고점 갱신을 목표로 할 수 있었는데 ​ 보라색 동그라미 지점이 매수세가 크게 꺽이는 시점이 됐습니다. ​ 횡보하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시점에서..

미국 국채로 보는 금융시장과 2차 하락과 경기침체. 또 교환비.

최근 또 부쩍 하락장이 다시 시작된다 or 하락장 끝났다 ​ 논쟁 속에서 파월의장영감탱이의 행보에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고, ​ 미국 기준 금리 더 올리냐 마냐에 대한 의견교환에 이어 ​ 한국이 제2의 IMF가 올까요? 라는 질문도 나오고있습니다. ​ 저야 오든지 말든지 관심없고 내가 돈만 벌면 된다고 생각하며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 국제 정치나 경제는 별 관심없지만 ​ 차트에는 항상 관심이 있어요. ​ 그래서 이번에도 투자 경제는 물론 실물 경제 침체에서 ​ 각각 금융상품의 차트가 어떤지 한 번 파악하는 글을 써볼까합니다. ​ 미국 국채 2년물 / 10년물 미국 국채는 2년물, 10년물, 20년물이 있습니다. ​ 국채가 무엇인지는 검색해보시면 되고 ​ 차트에서 국채는 이자율(%)가 표시됩니다. ​ ..

달라의 출발 지점. 달라에 맞춘 시장 분위기 파악.

달라는 어제 105.6에서 저항을 받으며 미장 마무리를 했습니다. ​ 아침에 삐져나간 상황인데 ​ 오늘 미장 열린 이후도 봐야하지만 ​ 이제부터는 검은색으로 표시한 매물대와 싸워야 하고 ​ 사실상 이 매물대만 지나가면 2차 상승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검은색으로 표시한 매물대는 ​ 지금까지 상승해온 계단식 매물대와는 다릅니다. ​ 지금까지는 계단식 매물대를 돌파하다보니 ​ 상승도 계단식 느낌으로 야곰야곰 상승으로도 어떻게든 올라왔어요. ​ 캔들로 구분이 확실한 매물대가 아니라 물렁한 면도 있었기에 ​ 탄탄한 저항도 지지도 아니었지만 ​ 105.6 위에 있는 매물대는 캔들들이 나름 빼곡히 있는 구간입니다. ​ 꼬리로 만들어진 저항선들이 확실하게 있어요. ​ 단, 크게 보면 아주 강한 저항 매물대가 아니..

성공을 위해 절실함을 찾기. 부자들이 성공한 이유와 공통점.

성공한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있습니다. ​ 바로 절실함입니다. ​ 절실하지 않으면 원하는것을 얻을 수 없다. ​ 이런 비슷한 말이라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거예요. ​ 저는 이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현재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 하고 싶으신 분들이 계시다면 ​ 지금 절실한지 스스로 체크해보세요. ​ 여러분이 절실하다고 느껴지시나요? ​ 왜 절실한지 바로 말로 튀어나올 수 있어요? ​ 누군가에게 내가 왜 절실한지 설득할만한 논리가 있나요? ​ 이런 질문을 한 이유를 제방식으로 한번 설명해볼께요. ​ 저는 여러분이 절실한지 아닌지 바로 파악할 기준이 있습니다. ​ 현재 여러분.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것과 없는것을 구분해보세요. ​ 그것도 아주빠르게 5초안에 절실한 이유가 떠올라..

멘탈관리 2023.03.07

비트코인 분위기 파악 흐름. 교환비와 변동성 숙제.

2월 28일에 쓴 비트코인 관련 글을 확인하고 지금 글을 보시면 좋습니다. ​ 비트코인은 1번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이미 매수세가 깍였다는걸 확인했었습니다. ​ 그 후 매수가 조심해야 하는 모습만 주의하면 매수가 할만 했었는데 ​ 딱 그 모습이 나오면서 한번에 하락을 하면 2번 검은색 동그라미까지 하락 후 멈춰있습니다. ​ 현재는 금요일부터 주말을 끼고 있다지만 변동성 자체가 죽어있어요. ​ 월요일이 되봐야 하지만 ​ 일단 차트에서는 기본적으로 ​ 추세 - 조정 - 추세 - 추세꺽임(추세 바뀜이 아님) - 변동성 줄어듬 ​ 이런 과정을 겪게 되면 추세가 바뀌기 좋습니다. ​ 기존의 추세를 이어가지 못한다는 것만으로도 추세 매매를 하는 사람들이 소극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 특히 빨강색 동그라미로 표시해놓은 ..

3월에 약한 비트코인. 누군가는 달라와 채권을 팔아 금을 사고 있다.

달라 / 나스닥 / 골드 왼쪽은 달라 차트입니다. ​ 비교대상은 위에서부터 나스닥, 금, 채권이예요. ​ 현재 달라가 조정과 반등을 반복하는 사이에 ​ 나스닥은 디커플링을 해주는 평범한 모습에, 매수세는 약한모습입니다. ​ 그런데 골드는 방어력이 강하다 못해 갈 생각밖에 없어요. ​ 채권도 마찬가지입니다. ​ 차트는 채권의 이자율을 뜻하는데 ​ 이자율이 올라간다는건 채권 주인의 신용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 미국 채권의 이자율이 오르고 있으니 미국 정부의 신용이 떨어지고 있다고 보시면 되요. ​ 달라와 채권을 팔면 나스닥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금을 사고 있어요. ​ 누가 사는지 저는 중요하게 생각안하지만, ​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이 부분 체크해두세요.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유독 3월만 되면 약한..

매수세 깍인 비트코인. 달라와 나스닥 매물대와 중요선.

나스닥 나스닥의 경우 22년 5월 이후로 변동성이 커지고 있었습니다. ​ 그러던게 10월에 주봉 200일선이 한번 무너진 이후로 변동성이 작아지는 수렴으로 갔던게 ​ 23년 1월 파랑색 매물대에서도 검은색 중심선을 기준으로 돌파하면서 ​ 다시 생명연장을 했어요. ​ 이러면 박스권 횡보로 이어가야하는데 ​ 23년 이후 상승이 박스권 상단을 터치 못하고 중심선 아래로 흘러버렸습니다. ​ 이제는 다시 수렴으로 갈 것을 생각하되 ​ 오늘 중심선 리테스트에서 방향이 아래로 흘러내리면 ​ 매수세가 많이 줄어들게 됩니다. ​ 그럼 이제 11400~500까지 추가 조정을 하고 반등을 해도 ​ 다시 중심선 위로 올라가지 못하거나 ​ 수렴을 보여주고 아래 방향으로 이탈할 경우 ​ 파랑색 매물대 바닥터치와 함께 ​ 이번에 ..

매물대와 빈공간. 현재 자리에서 횡보에 따른 차트 해석.

달라 달라는 2번 매물대의 상단을 터치하면서 이제 검은색 매물대를 녹여주게 됐습니다. ​ 차트에 매물대를 3개 표시했고 번호를 붙였는데 ​ 2번 매물대가 가장 탄탄해요. ​ 지금 달라의 매수세에서 2번이 제일 고비가 된다는겁니다. ​ 참고로 1번 지역은 원래 빈공간에 가까운 고속도로지점닙니다. ​ 2023년 1월 내내 횡보를 하면서 매물대를 만들어 주며 최근 꼬리가 생겼을뿐 ​ 원래는 한 번에 돌파해야하는 그런자리였어요. ​ 그런 자리를 최근에 파랑색으로 표시한 구간에서 매물대를 처음 만들어 줬습니다. ​ 이렇게되고 상승으로 방향을 잡았기 때문에 ​ 이 매물대는 매수가 지지구간으로 처음 베이스캠프를 차린곳으로 ​ 2번 구역에서 횡보를 해서 설령 1번 매물대로 다시 떨어지더라도 ​ 매수세가 붙기 좋지 매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