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

금융 시장이 단기적인 기간에서
전체적으로 달라의 움직임을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움직이는듯 하는데
기본적으로 큰 추세에서 달라와 금이 커플링을 보이면서 동시에 국채도 사들이는 세기말 상황입니다.
그에따라 증시같이 하위 금융 상품들은 눈치만 보면서
각자 추세선이나 저항선을 돌파하며 본격적인 상승을 보여줄만도 한 상황에서 못가고 주춤하면서
횡보, 수렴을 하고 있어요.
그로 인해 생겨나는 추세선들이 생성됐는데
달라의 추세 이탈만을 바라보며 방향을 결정짓는 일만 남았습니다.
먼저 라를 2023년 이후 상황을 보면
횡보를 해주고 있지만 역헤드앤숄더를 보는 사람이 많을거예요.
그러면서도 평행채널 같은 추세선 이탈 이후 한번의 큰 상승 이후 조정을 주고 있습니다.
문제의 이 조정때문에 금융시장의 각자의 추세에 따라 돈이 대이동을 하려는 초입을 보여줬습니다.
달라는 그러면서 헤드앤숄더도 만들어 주고 있어요.
넥라인에 따라 머리를 완성됐다고 볼 수도 있고 아직 머리 완성이 안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하락쐐기형태의 수렴을 해줬기 때문에 플래그패턴까지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이예요.
그리고 동시에 매물대의 하단까지 조정을 줬습니다.
확률로만 보면 달라는 1번 초록색선처럼 여기서 반등할 확률이 높아요.
단, 103.38이 피보나치 비율 0.5였다는걸 감안하면 어제 그 구간을 무너뜨렸기 때문에
당장 오늘 내일만 보면 추가 하락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어이 헤드앤숄더 머리 완성을 해준다며 102.7까지 하락도 볼 수 있어요.
그렇게 본게 빨강색입니다.
단기적인 상황만 보면 2번 달라의 하락을 볼 수 있는데
그럼에도 큰 추세와 추세 쐐기 수렴의 끝에서 이번에 반등하고 하락추세선을 돌파해버리면
1번 초록색처럼 상승이 나올 수 있습니다.
확률과 별개로 달라가 1번대로 움직였을때 나머지 상품의 움직임과
2번대로 움직였을때 나머지 상품들의 움직임이 중요합니다.
금

현재 가장 주목 받고 있는 투자 상품입니다.
개미들 입에서 오르내릴 정도가 됐으니 주목을 받는건 맞는데
금은 개미들이 함부로 접근하기 어려운 상품이기도 해요.
요즘 개미 똑똑하다 가설을 믿는다면 etf로라도 접근해서 돈을 벌어보려고 시도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서민들의 메이저 투자 상품이 아니라는 건 생각해두세요.
금은 작년부터 받았던 상승 추세에서 조정을 끝내고 다시 상승을 하며 고점을 갱신해주고 있습니다.
달라의 1번 움직임에 맞춰서 1900까지 조정을 준다면 정상적인 상황입니다.
다른 상품들도 이에 따라 달라와 무난한 디커플링을 해줄걸 기대하겠지만
이 경우가 좋은건 아니예요.
금에도 좋은건 아닌게 이럴 경우 고점 갱신하고도 얼마 못가서 저항 받았다는 모습이 한 번 보여진거고
별개로 매물대와 또 싸우면서 횡보로가게 됩니다.
문제는 금이 횡보를 하는사이 달라가 상승한다는건
결국 다른 상품을 팔아서 달라를 확보하는 것이 됩니다.
1940까지만 조정을 주면서 달라 상승에서 금이 버틴다면
금은 추가 상승의 여지도 있을텐데
이럴 경우 돈의 대이동이 안끝났다는 소리입니다.
다른 상품도 당장은 주춤할 수 있겠지만
결국 금이 본격적으로 달라와 함께 상승을 한다면
일반적인 투자상품은 큰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1940대는 매물대의 상단이기도 해서 매수세가 엄청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기에
다른데서 어떻게든 돈을 끌어와야합니다.
달라가 2번으로 흐르는데 금이 추가적으로 상승해주면 그냥 평범하게 됩니다.
단, 이때 다른 상품들은 또 주춤 하거나 약 하락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상품들의 추세선에 맞춰서 매수세를 많이 깍아먹는 현상이 나올 수 있어요.
금은 일단 1940만 지지하고 버텨주거나 1900까지 조정주는 2가지 경우 확률이 비슷하게 높게 보시면 됩니다.
1940대에서 버텨주는 모습만 주의하세요.
미국 국채 2년물 / 10년물

문제의 국채금리 입니다.
나름 달라와 커플링을 해주긴 하는데 그럼에도 중간, 중간 디커플링을 해버리면서
돈의 이동을 돕는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상품입니다.
그런데 이녀석....
추세선 돌파를 앞두고 있어요.
게다가 변동성이 죽지도 않습니다.
이번에 추세선 돌파와 함께 고점 갱신까지 나오면
달라의 상승세를 돕는 매개역할을 할텐데
금융시장 전반적으로 최악은
달라 상승 - 금 횡보 - 국채 금리 상승
이렇습니다.
당장은 추세선 돌파 못하고 오늘 하루는 또 횡보를 해주고 있지만
오늘, 내일중 방향이 가장 먼저 나오는 쪽이 국채 금리예요.
그래서 금리때문에 달라는 반등할 자리도 확실해서 1번 초록색이 확률이 더 높은 상황이예요.
달라 조금이라도 더 누르려면
이번에 금리하 한 번더 큰 변동성으로 하락을 해줘야 하는데
그럼에도 하락 추세선이 계속 금리 상승에 매수세 붙일 이유가 됩니다.
이쪽을 잘 체크하세요.
나스닥

나스닥은 오랜 하락 평행채널 안에서 횡보를 해주며 추세선 돌파를 했을때는
파랑색 구간처럼 매수세 강한 모습을 보여줬어요.
그런데도 돈의 대이동에 희생되서 그 이후 매수세를 못받고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추세선을 돌파해줬는데
이번에는 매수세가 제대로 안 붙었어요.
달라 1번과 2번에 맞춰서 중요 지지, 저항선을 확인하시면서
12750을 가줘도 저항 받고 하락하면
결국 12350~400까지 하락은 각오 하셔야합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2월부터 횡보이고
역헤드앤숄더에서 넥라인에 따라 머리를 완성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번에 하락쪽에 무게가 실리는 것도 나스닥에는 별로 좋을 것이 없습니다.
이번 돈 이동에서 매수세를 놓친 희생양이 증시입니다.
이번 희생이 보답을 받을지 달라 눈치 잘 보셔야되요.
비트코인

금과 함께 개미들의 희망이자 안전자산이고 탈중앙화를 위해 열일하는 비트코인입니다.
최근에는 정말 탈중앙화 한 것처럼 다른 상품들 움직임에 눈치없이 마이웨이 해주고 있어요.
저점을 낮췄지만 21400이나 20000같이 못먹어도 매수 받아버리는 자리에서는
추세선만 돌파해주면 바로바로 매수세 붙여주고 있습니다.
금을 따라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도 않은데
4시간봉 기준 하락다이버전스 2개를 쌓았어요.
그리고 달라의 방향을 앞두고 수렴을 해주도는 있습니다.
다만 비트코인이 탈중앙화고 뭐고 일단 독자적으로 움직여 주는 것에만 초점을 맞춰서
현재 구간의 매물대를 확인해볼께요.

이 구간은 원래 대단한 매물대가 없습니다.
겨우 있는 것이 2022년 5월에 만들어준 매물대가 다예요.
28500이라는 2021년 상징적인 숏 출발선이 있긴 했지만
이미 그건 2022년에 다 써먹었기 때문에
이제는 이 매물대를 보고 판단해야합니다.
파랑색의 큰 매물대에 중심선이라고 할만한 선이 2개 있어요.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운데 매물대가 제일 강합니다.
비트코인은 지금 위치에서 파랑색 매물대를 장대양봉으로 돌파하는 것이 아니면
현재 매수세가 강해도 이걸 녹여주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가운데 매물대를 주의 해야하면서
주황색이라는 텅비었지만 꼬리들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구간을 특히 변수가 되면서
숏충이들이 올라만 오면 눌러주면서 매물대 녹여주는 것도 막고
기존의 매수세를 다 끝낼 수 있는 구간입니다.
당장은 파랑색 매물대의 시작인 28500 위로 가는 것부터 해야하지만
여기서 비트코인의 변수는
달라가 이번에 추세선 돌파와 함께 상승하면서
금과 같이 투자 시장 돈을 빨아먹으며
이 와중에 국채 금리까지 상승(국채를 팔아치운다.)이라는 모습을 보여줄때
비트코인이 진정한 21세기형 탈중앙화 디지털 금 안전자산 아니었어?
싶은 모습을 다 버리고 그냥 내리 꽂아 25200~300까지 가버리면
그것만으로도 매수세는 다 사라집니다.
그 다음 큰 반등을 노리려면 25200 아래로 가서 다음 반등 자리를 찾아야 하는데
그때는 다시 예전처럼 달라 눈치에 나스닥 눈치에 돈이 움직이는 분위기 파악까지
골고루 해주거나 해야겠지만
여기서 하나 노려볼 것은 2021년 7~8월에 보여준 비트코인 상승세에 맞춰
9월 큰 하락이 있었지만
어느 순간 다시 방어력이 좋아지면서 탈중앙화 해주면
그때는 장투매집 본격적으로 노려봐야 합니다.
이건 그때 가보면 되요.
여유되시는 분들은 교환비도 따져보시고
분봉에서부터 여러가지 추세선 잘 찾아서 점점 확장해가는 연습해보세요.
특히 돈의 이동에 따른 금과 국채의 변동성과 달리
대부분 상품은 기존 추세도 제대로 못받고 횡보, 수렴을 해버리고 다음 큰 움직임을 기다릴때는
추세선을 정말 잘 찾아서 대응 하셔야합니다.
당연히 지지, 저항선도 중요하니까 동시에 엮어서 잘 확인해보세요.
피보나치 비율은 이럴때 신뢰도를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초에 충실하세요.
'차트분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변동성. 알트코인 시총 변화. 코인시장 돈의 이동. (0) | 2023.03.30 |
---|---|
달라, 나스닥 횡보, 수렴 매물대 활용 기초 분석. 비트코인 하모닉패턴 주의. (0) | 2023.03.27 |
금융시장 돈의 대이동. 디지털 금 비트코인? (2) | 2023.03.20 |
변곡점에 들어선 금융시장 돈의 이동. 진짜 경기침체 과정. 금융시장 슈퍼사이클. (0) | 2023.03.14 |
비트코인 저점 낮춘 이후 대응.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