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추세선활용 4

흔들리는 비트코인. 선물 트레이더들의 매매법.

위는 비파 차트이고 아래는 바이낸스 차트입니다. ​ 분봉으로 보면서 조금 더 자세하게 봐야할때는 ​ 분봉 꼬리는 다른 거래소 차트와 이격이 생겨서 같이 보는편입니다. ​ 이전글의 빈공간이라고 한 자리에서 횡보를 하며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 이것만으로 매수세는 이전보다 안좋아졌지만 ​ 그래도 71000 한번에 맞고 하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악은 피했어요. ​ 어쨌든 빈공간을 채워주는 상황에서 검은색 동그라미처럼 분봉상 저점을 한번 낮춰줬습니다. ​ 그러면서 분봉상 고점도 낮아지며 하락쐐기형태의 움직임을 보여줬는데 ​ 플래그패턴쪽에 기대하게 됩니다. ​ 둘 다 하락추세선이기에 아래쪽으로 벗어나도 다시 한번 안으로 들어가는 쪽을 신경쓸 수 있는 ​ 매수에게 유리한 상황이예요. ​ 하락추세선=가속추세선 이 개..

추세선 응용방법. 횡보하는 금융시장.

달라 지난 방송에 이어 이전 글에 달라 추세선 을 찾는 방법 중 하나를 소개해드렸다면 ​ 이번에는 그 추세선을 활용해서 평행채널을 긋고 ​ 그에 따른 분석 방법을 써볼까 합니다. ​ 기존 추세선을 기준으로 해서 평행채널을 그을때 ​ 보라색 동그라미를 근거로 추세선들을 여러개 확정을 합니다. ​ 그리고 현재 하락에 맞춰 검은색 동그라미에 초점을 맞춰서 추세선 하나를 더 그어보세요. ​ 현재의 추세대로 움직이면 검은색 동그라미에 맞춘 추세선까지 하락할 수 있겠죠? ​ 그런데 내려가는 사이에 전저점인 103.387이 있어요. ​ 그래서 추세선에 맞춘 지점까지 하락이 아니라 ​ 전저점과 쌍바닥을 하거나 ​ 전저점을 깨지 않는 선에서 그 위 어딘가에서 파랑색선 같은 반등이 나올 수 있어요. ​ 그럼 추세선으로 이..

달라, 나스닥, 비트코인 공통적인 빈공간과 추세선

달라 달라는 11월 파랑색 구간을 지켜주지 못한 이후로 횡보를 하지만 ​ 이 횡보가 하락평행채널에서 움직이면서 ​ 초록색의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저점을 낮추기 전까지는 박스권 횡보를 기대할 수도 있었지만 ​ 저점을 낮춘 이후로는 평행채널 관점에서 상황을 보면 ​ 초록색 구간의 빈공간을 두고 지금 상황에서는 위, 아래를 구분지어서 ​ 박스권에서 움직임 패턴대로 분석해볼 수 있어요. ​ 초록색 구간을 넘어 슬슬 매수세가 들어올텐데 ​ 당연히 목표는 파랑색 구간 돌파와 평행채널 상단 돌파가 됩니다. ​ 현재는 주황색 저항구간과 평행채널 상단까지 겹쳐있어서 돌파가 쉽지 않은데 ​ 그런데도 돌파했다는건 매수세가 제대로 붙었다라고 볼 수 있으니 ​ 거기에 맞춰서 그 다음 매매를 생각하셔야 하는데 ​ 이런..

장투를 하는데 필수 차트 요소. 베이스캠프.

최근 추세선 돌파에 따른 상황과 비슷한 구간의 차트입니다. ​ 추세선은 차트의 기초이고 이곳 에서부터 많은 캔들 패턴들이 파생되며 ​ 매매 진입의 기준이 되는 선들입니다. ​ 지지, 저항선과는 다른 개념으로 보셔야 해요. ​ 지지, 저항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매매 진입 타이밍은 추세선을 잡는게 기본입니다. ​ 떨어지는 칼날을 잡고 저항 구간에서 청산하는 것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 추격매수와 물량을 다 던지며 빠져나가는 기준은 추세선이 되요. ​ 그럼 어떤 추세선은 매매 진입 기회가 되는 정도로 끝나는데 ​ 어떤 추세선은 크게 무너지고 장대양봉이 나올 것이라고 판단 할 수 있을까요? ​ 조건은 2가지입니다. ​ 1. 한달 이상의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추세선. ​ 2. 베이스캠프를 형상하는 구간의 추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