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추세변곡점 3

금융시장 추세 변곡점 지표들.

비트코인3일 방송 내용을 중심으로 그 다음을 설명하겠습니다.​3월 1일 0시 이후 검은색 동그라미​저항받은 지점이 2025년 이후 가장 단단하게 만들어준 매물대 하단입니다.​저기서 매물대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하고 조정이 왔는데​조금 강하게 나왔습니다.​밑에 더 자세하게 보겠지만 3월 3일 23시부터 4일 22시까지 약 1일을 걸고 강한 하락이 있었습니다.​그 과정에서 중요한걸 보자면​파랑색 2번 동그라미 반등.​일단 기존의 숏스퀴즈 상승이후라도 변동성만 강했을뿐.​어쨌든 숏스퀴즈 이후는 매도세가 나옵니다.​매수와 매도 단타싸움인데​2번 파랑색 동그라미는 당연히 그냥 무지성 롱 단타 먹을 자리긴합니다.​피보나치 비율에 맞춰서 0.618- 0.782 깔끔하게 떨어지는 단타자리였어요.​그럼 그 다음 하락에서는..

혼돈의 금융 시장에서 추세 방향 나오는 기준들.

나스닥 / 달라 나스닥은 단순하게 캔들의 움직임 관점에서 보면 ​ 계단식 상승과 함께 상승쐐기패턴이 보입니다. ​ 영어로 라이징웻지라고도 하는데 ​ 계단식 상승은 전고점 갱신 - 전고점 지지 - 상승. ​ 이라는 매수에 아주 좋은 모습입니다. ​ 물론 매수세가 빠지고 있는 모습도 보이긴 해요. ​ 고점을 갱신 해준 파랑색 동그라미를 돌파하는 순간 부터 ​ 다음 고점 갱신까지 상승폭과 조정후 지지확인 다져주기의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습니다. ​ 그래서 결국 조정이 오긴 와야하는데 ​ 그 조정을 주는 기준을 상승쐐기의 하단 이탈 봤었습니다. ​ 그런데 상승 이탈을 하고 현재는 평행채널... 이라기 보다는 ​ 제가 캔들 아래꼬리를 이은 추세선과 같은 기울기의 추세선중 중요해보이는 걸 하나 그었는데 ​ 지금은..

달라와 비트코인의 중요한 순간

달라 / 비트코인 달라는 파랑색 동그라미에서 중요 구간을 무너뜨리며 다시 한 번 저점을 깰지를 도전하고 있어요. ​ 저번 글과 방송에서 태극문양대로 패턴을 만들면서 이건 파동과도 연결된다고 했던 설명했던 구간인데 ​ 그냥 중요한 중심구간만 무너뜨리고 끝이 아니라 ​ 이런식의 패턴에서 완성은 저점을 낮춰줘야 하는데 ​ 그 저점은 105.3입니다. ​ 저점을 낮추지 못하고 반등을 해서 다시 중심구간을 돌파하면 ​ 하락 타이밍을 놓치는 모습으로 오히려 큰 반등의 계기를 주게 됩니다. ​ 아래 차트는 2021년 비트코인 차트인데 ​ 당시에도 같은 고점의 상황에서 큰 하락이 나왔는데 ​ 그 후 태극문양대로 움직임이 나왔습니다. ​ 당시의 중심 구간은 52500 부근이었어요. ​ 그리고 이때는 저점을 한 번 더 깨..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