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베이스캠프 5

달라의 움직임 분석. 나스닥의 추세선들. 비트코인 베이스캠프.

2000~2002년, 2020~2022 달라 / 나스닥 위에는 IT버블시기이고 아래는 현재 상황입니다. ​ 2002년의 경우 3번의 달라의 고점 도전에서 동그라미색 으로 같은 기간 나스닥의 위치를 보면 ​ 달라의 고점과 나스닥의 저점의 시기가 안 맞습니다. ​ 거품이 엄청 껴서 그런 것도 있고 ​ 엄청난 거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달라가 변동성을 크게만 줘도 거품이 빠지기 시작합니다. ​ 달라가 오르면 오르는대로 거품이 빠진다면 ​ 달라가 내려도 얼마 못간다거나 커플링으로 거품이 빠진다던가 하는식이었어요. ​ 이번 2020년 상승장의 거품 만드는 형태와 빼는 형태가 IT버블 시기와 같은 패턴이기 때문에 참고를 많이 해야하는데 ​ 실제로 현재의 달라, 나스닥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는건 지금 모습입니다. ​ ..

힘좋은 나스닥. 고개숙인 비트코인. 20000 아래 중요자리.

나스닥 / 달라 나스닥은 어제 주봉 100일선인 13080 위로 올라왔어요. ​ 금요일에 지키기에 성공하면 다음주에 추가 매수세 노릴 수 있습니다. ​ 달라쪽은 더블탑 이후 빨강색 꼬리가 모인 저항 구역에 도달했는데 ​ 2일동안은 누르는데 성공했습니다. ​ 이번주 장이 오늘 하루 남았는데 역시 나스닥과 함께 중요한 구간에서 ​ 목요일까지는 매수에 유리한 포지션을 차지한 상황이라 ​ 오늘 금요일 잘 막아내는 걸 목표로 해야합니다. ​ 비트코인 / 나스닥 오른쪽은 비트코인이고, 왼쪽은 나스닥입니다. ​ 나스닥은 이번주의 하락세에서도 무난하게 2일버티기에 성공하고 ​ 매물대에서도 한단계 위로 올라오는데 성공했습니다. ​ 그런데 비트코인은 피보나치 채널의 영향은 받지만 ​ 고점 한 번을 높여주지 못 한채 박스권..

다음주 투자시장 관점 포인트. 달라. 나스닥. 비트코인.

달라 / 나스닥 달라차트는 주봉에서 약간이지만 모든 음봉을 다 잡아먹는 장대양봉이 떴습니다. ​ 이러면 다음주도 매수세는 계속 들어옵니다. ​ 목표는 전고점이예요. ​ 달라와 나스닥 캔들을 비교해보시면 아시겠지만 ​ 달라는 전주 음봉을 확실하게 잡아먹었다면 ​ 나스닥의 음봉은 양봉을 잡아먹지 못 했습니다. ​ 달라의 상승에서 나스닥은 거품을 만들면서까지 가격 방어를 해줬어요. ​ 나스닥쪽 보시면 12900~13100의 지지구간까지는 이제 코 앞입니다. ​ 특히 중요한건 100일선이예요. ​ 2022년 100일선 지지가 그나마 반등이 강했지만 ​ 100일선이 무너졌을때 주봉 200일선까지 빠른 하락을 이어가고 다시 나온 상황입니다. ​ 100일선도 돌파했기때문에 당연히 이번주는 달라의 상승에도 100일선 ..

장투를 하는데 필수 차트 요소. 베이스캠프.

최근 추세선 돌파에 따른 상황과 비슷한 구간의 차트입니다. ​ 추세선은 차트의 기초이고 이곳 에서부터 많은 캔들 패턴들이 파생되며 ​ 매매 진입의 기준이 되는 선들입니다. ​ 지지, 저항선과는 다른 개념으로 보셔야 해요. ​ 지지, 저항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매매 진입 타이밍은 추세선을 잡는게 기본입니다. ​ 떨어지는 칼날을 잡고 저항 구간에서 청산하는 것은 매물대를 활용하지만 ​ 추격매수와 물량을 다 던지며 빠져나가는 기준은 추세선이 되요. ​ 그럼 어떤 추세선은 매매 진입 기회가 되는 정도로 끝나는데 ​ 어떤 추세선은 크게 무너지고 장대양봉이 나올 것이라고 판단 할 수 있을까요? ​ 조건은 2가지입니다. ​ 1. 한달 이상의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추세선. ​ 2. 베이스캠프를 형상하는 구간의 추세..

비트코인 하락 이후 상황 정리.

추세선을 벗어난 이후 첫 횡보이후 보라색 구간은 ​ 나스닥은 가만히 있는데 비트코인 혼자서 하락을 했습니다. ​ 하락한 것 까지는 문제가 안되는데 22700~23000여기 지지구간을 활용한 반등이 너무 약했습니다. ​ 반등이라기 보다 사실 그냥 멈췄다고 보는게 맞아요. ​ 횡보를 해도 어느정도 변동성을 주면서 횡보를 해야 하는데 ​ 사는사람이 없는 건 물론이고 반등 자체가 없었습니다. ​ 결국 22700이 무너지자 전저점은 반등없이 그냥 무너져 내렸습니다. ​ 22700이 깨진 이후 나온 큰 하락은 지금 같은 상황에서 추세선이 무너지고 나오는 하락이기 때문에 ​ 알아두시면 좋아요. ​ 단순히 추세선이 무너진다고 다 저런 하락은 아닙니다. ​ 이전에 2021년 1월, 4월, 9월, 1월 ​ 2022년 5월..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