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왼쪽은 일봉 오른쪽은 주봉입니다.
위는 2025년, 아래는 2021년입니다.
23일 목요일에 일봉기준으로는 참 안좋은 모습으로 마무리가 됐습니다.
24일 금요일에는 이전 최고점 저항만을 확인하고 끝났습니다.
이런 모습은 2021년 11월 중순 신고점을 만들었을때의 모습과 같아요.
아무리 좋게 봐줘도 21년 3월때와 같은 상황입니다.
비트코인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안좋은 모습입니다.
사실상 지금 위치에서 다시 한번 신고점을 갱신해도 멀리 못가고 끌려내려올 확률이 높으며
비트코인은 11~12만 즈음에서 신고점을 만들어 주고 다음 반감기 이후에 다시 새로운 신고점 매물대를 만들 확률이 높아요.
물론 별개로 애초에 비트코인을 현물시장에서 수익을 내는건 진작에 힘들었고
알트코인에서 수익을 노려야 합니다.
그래서 이더리움을 확인하면서 도미넌스를 계속 체크하고 있는거죠.
일단 주봉 관점에서는 신고점 돌파를 못하는 모습으로 마무리 될 확률이 높은데
이제 이렇고 저렇게 다 별개로 어쨌든 제일 안좋은 모습으로 마무리 됐어도 신고점 갱신은 갱신이기 때문에
주사위는 던져졌고 최소한의 미니 불장이라도 한번 더 오게 됐습니다.
여기서 최악이 미니 불장이고 결국 이번에도 불장은 안오고 삽질만하다가 다음 타이밍을 노려야 할 수도 있어요.
왜 이런 불안요소가 계속 살아있냐면 도미넌스 차트가 70을 터치 못했기 때문입니다.
도미넌스
위에는 2018년때와 2021년때의 도미넌스 불장 상황입니다.
검은색으로 표시한 구간이 불장이었어요.
파랑색 구간은 일단 도미넌스에서 하락추세를 만드는 모습이고
주황색선처럼 고점을 한번 높인 이후 다시 도미넌스 하락이 나올때
우리가 아는 똥개미들도 돈복사하겠다고 몰려오는 불장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런 모습들은 전부 도미넌스 70을 넘어간 이후 불장을 만들어 줬었어요.
아래 차트를 보면 2023년말부터 지금까지를 볼때
도미넌스 차트는 계속 상승추세였습니다.
2024년 말에 저점을 낮춰주길래 곧 불장이 올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한가지 걸리는데 도미넌스가 70을 못가고 61에서 저점을 낮췄다는거였어요.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저래놓고 미니불장만 오고 끝났습니다.
특히 이더리움이 꼼짝도 못하고 계속 하락만을 반복하며 코인시장에서 돈이 많이 빠졌었어요.
그리고 현재 이더리움이 돈이 들어오냐 하면 매도세를 한번 멈추기 위해 브레이크 당겨놓은 수준입니다.
물론 이것만으로도 그동안의 리듬과는 다르기 때문에
알트코인 시총 차트에서도 갭을 채워주는 모습까지로 해서
다시 한번 최소 미니불장을 만들어줄 상황까지는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이 신고점 갱신도 한번 해준거구요.
다만 그럼에도 아직 도미넌스가 70이 아니라는 것 때문에 불안요소는 그대로고
이 불안을 잠식 시켜주려면 이더리움이 최소한 지금위치에서 40% 정도는 상승해주면서 BTC차트 출발선 돌파와 함께
상승추세로 바꿔줘야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현재 비트코인 차트가 조지긴 했지만
이번 조정 이후 반등에서 이더리움이 제일 먼저 반응을 해주는 모습에서 얼마나 반등이 빠를지에 따라
돈을 다 넣을지 말지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투자를 할때는 막연한 희망 요소보다는 항상 조심해야할 요소와 불안요소.
결국은 리스크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리스크를 피할 수 있으면 피하고 어차피 수익을 내려면 리스크를 피하기만 할 수는 없고
기어이 리스크를 받아먹어야 하는 상황을 겪어야 하기 때문에
행복회로 긍정적인 꽃밭 요소보다는
리스크 요소가 무엇이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정리 해보자면.

이렇습니다.
꽃밭요소는 솔직히 중요하지도 않아요.
어차피 금융시장 대전제, 불장은 온다.
를 생각하면 버틸수만 있으면 꽃밭요소는 시간이 문제입니다.
리스크 요소는 제대로 인지 못하고 있으면
아예 버틸수가 없습니다.
실제로 2024년 11월 이후에 왔어도 뭔가 제대로 매매를 하지 못했다면
못버티고 손절하고 나간 사람도 상당수 일겁니다.
거기에 원금 회복하겠다고 실력도 없는데 이상한 단타했으면 남은 돈도 다 날렸을거구요.
비트코인 / 도미넌스
그래서 일단은 생각할 필요가 없지만
리스크요소를 감안할때 최악의 상황을 생각해 봐야합니다.
위에 번호가 적혀있지만 순서를 의미하지는 않아요.
상황을 구분하기 위해 번호를 써놨다고 생각하세요.
기본적으로 리스크 요소등을 생각할때
비트코인 차트가 조졌다.
도미넌스 70이 아니다.
이것 때문에 생각해봐야할 최악의 상황입니다.
일단 주황색 1번.
지금의 조정이 끝난 이후입니다.
당연히 기존의 매수세가 있기에 계속 하락만하지는 않고 다시한번 매수세가 붙는 타이밍이 올텐데
이때 비트코인 신고점을 갱신 못할수도 있고 하더라도 갱신이후 다시 끌려내려올 수 있습니다.
어느쪽이든 이런 상황에서 코인시장에 돈이 안들어 오면 도미넌스도 상승이겠죠.
이 과정에서 더 재수없으면 비트코인이 알트코인 돈 빨아먹고 상승합니다.
25년 1월의 상황이 다시 나오는겁니다.
갈색 2번.
여기가 문제입니다.
미니불장조차 시작은 안됐는데 비트코인은 또 한번 깊은 조정이 나오는데
이와중에 도미넌스는 계속 상승하는거예요.
그러면서 기존의 매수세가 끝나고 다시한번 큰 하락이 나오며
90000~110000 여기 매물대 횡보를 하게되는거죠.
참고로 매물대의 중심구간은 9만 후반에 있는 25년 2월 매물대의 상단구간이 될테고
여기가 매수에게 가장 가혹한 구간이 될겁니다.
보라색 3번.
그럼에도 미니불장이라고 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라색 단비 같은 구간이 나옵니다.
여기서 이더리움이 제대로 상승추세로 시장분위기 바꾸며
코인시장에서 빠져나갔던 돈을 다시 가져오지 못하면 미니불장으로 끝납니다.
4번 파랑색 구간
비트코인이 상승도 하락도 아니고 그냥 횡보하는데 도미넌스는 하락하는거예요.
여기도 미니불장의 한 구간이 됩니다.
단, 이 경우는 이더리움이 가주면 좋지만
아마 신규코인들이 날뛰는 미니불장인 상황일 확률이 높습니다.
어쨌든 3번과 4번은 그나마 매수에게 단비같은 상황인데
여기서 중요한건
이렇게 하는데도 도미넌스를 대세 하락추세로 바꾸지 못하는거죠.
왜냐하면 도미넌스 70 도달을 못했으니까.
최악의 상황이라는건 도미넌스 70찍기 전까지 불장은 절대 없다!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여기서도 리스크를 생각해야합니다.
빨간색 5번.
비트코인 하락에서 도미넌스 상승.
당연히 최악의 상황인데 위에 1번 2번과의 차이점은
미니불장 끝나고 나서든 미니불장 나오기 전이든
9만~11만 매물대에서 하단까지 제대로된 반등도 없이 계속 하락하는 상황을 생각하세요.
2025년 1~2월까지의 하락이 그런 모습이었죠?
그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록색 6번.
그럼에도 앞에서 무슨 지X 똥X쇼를 하든 뭘하든
결국 불장은 옵니다.
도미넌스 70찍고 나서가 되겠지만
아무리 최악의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이 한번에 다 무너져서 막 7만깨지고 그런 상황은 이제 거의 나오기 힘듭니다.
왜냐하면 도미넌스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니 앞에서 최악의 상황 다 보여주면
언젠가 도미넌스 70은 갑니다.
90까지 갈수도 있지 않나? 라는건 그건 그냥 코인시장 붕괴. 거래소 삭제.
이정도가 아니면 있을 수 없으니 그런건 생각하지 마세요.
특히나 이번 코인시장은 21년보다 신규알트코인이 훨씬 더 많습니다.
21년에 다 세어보지 않았지만 체감상 신규 코인의 비율은 25년인 지금이 훨씬 높습니다.
24년도에 불안요소가 뭐였죠?
신규 코인이 너무 없다. 옛날 코인이 아직도 너무 많다.
지금은 옛날 코인이 아직도 많다는건 그대로인데
신규 코인은 이제 충분합니다.
그리고 한국 거래소야 옛날 코인이 많지 바이낸스만 해도
알트코인 물갈이는 대충 끝내놓은것 같습니다.
이제 정말 리스크는 비트코인 차트 망쳤다와 도미넌스 70 못갔다 밖에 없어요.
나머지는 대응의 영역입니다.
실력에 맞춰서 야무지게 수익 챙겨가면 됩니다.
너무 피곤해서 오늘은 하루종일 방밖으로 나가지도 않고 약먹고 자다깨다만 반복한것 같습니다.
또 꼰딩처럼 들릴 수 있지만
투자자는 항상 투자시장 리스크를 먼저 생각해야합니다.
그 리스크를 생각해서 공포때문에 매매를 멈칫하다가 결국 포기했다면 그건 실력이 부족한겁니다.
수익을 내는 투자자는 리스크를 다 따져보고 그걸 내가 어떻게 관리해서 수익을 낼 수 있을까?
라며 방법을 생각하지 포기하고 투자자체를 안하지는 않습니다.
리스크가 큰 상황에서 매매진입을 안하고
리스크가 줄어든걸 확인하면 매매진입을 하는거죠.
투자 자체를 포기하지 않습니다.
실력이 없으면 투자를 안하는게 정답인거예요.
투자를 운이라고 생각하고 뛰어드는 개미들 중에 돈을 벌어가는 개미는 없습니다.
물론 뭔지도 모르고 일단 들어가도 손실로 끝나겠죠.
잘 알고 있는 개미들도 실수가 아닌 잘못을 하게되면 역시 손실로 마무리 합니다.
그래서 투자 시장에서 수익을 내는건 극소수인거예요.
제가 리스크 요소를 잔뜩 적었는데
저걸 인지하고 투자하라는거지 겁먹고 투자 때려치워라 라는게 아닙니다.
물론 겁이 나서 결국 투자 안한다는 결정도 잘하는거예요.
그런데 투자 하기로 마음먹었다면
리스크가 뭔지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존버도 할 수 있는거라 적어둡니다.
당연하지만 꼭 도미넌스 70가야만 불장온다고 할수는 없어요.
지금까지 코인시장에서 불장은 70찍고 왔지만 이번에는 아닐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리스크(=불확실성.위험아님.)라고 하는겁니다.
월요일도 미장이라 오늘은 그냥 교회만가고 세력질은 안하기로 했는지 지금도 잠잠한데
내일도 별일 없으면 방송은 화요일에 할께요!
'차트분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만 분석. rsi로 확인하는 리듬과 추세. (2) | 2025.06.04 |
---|---|
미장 비트코인 금융시장 간단정리. (1) | 2025.05.30 |
코인시장 좋았다가 나빴다가.같은 자리 다른 해석 방법. (3) | 2025.05.21 |
투자에 대한 생각을 주말 밤에 꼰딩끄적. (0) | 2025.05.19 |
리듬이 바뀐 돈과 투자상품. 음모론을 위한 음모론. (5)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