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이야기

알트코인 시총과 비트코인 시총과 도미넌스 관계

2024. 3. 6. 01:16
728x90
반응형

비트코인

분봉에서의 비트코인입니다.

2월 8일 비트코인 상승 이후로 비트코인은 비정상적인 매수세로 상승하는거야 다 아는거고

여전히 파랑색 동그라미처럼 분봉에서 상승추세선=감속추세선이 무너져도

그게 뭐 어째서? 라는 듯이

싸니까 더 산다!!

라는 생각으로 계속 올리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검은색 동그라미처럼 하락추세선 = 가속추세선을 돌파하면

올라갈 이유가 있어!!!

라며 계속 오르고 있어요.

그나마 2번 파랑색동그라미에서는 상승쐐기라는 형태고 무리하게 오르더니 쏟아졌습니다.

이때 생각해야할건 이전 고점인 63900만 무너지지 않고 지켜주면 지금 매수세 여전하다!

라고 볼 수 있는데

일단 터치도 안했어요.

안했지만 아무래도 전고점 근처이다보니 전고점을 빠르게 못넘어가면 이 구간에서 계속 궁실궁실 할텐데

63900을 잘 지켜주는지가 중요합니다.

사실 무너진다고 매수세가 끝나는건 아니예요.

매수세가 줄어들고 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는 지표정도가 되는거죠.

지금 매도쪽에서는 강한 매수세 때문에 함부로 진입도 못하지만

2월 8일부터 급하게 올렸다라는 모습과 전고점 근처에서부터는

어떻게 진입해도 손익비가 매우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매도 신호 하나하나에 예민하게 반응할 때입니다.

심지어 분봉상 매수세가 조금 줄어들었다고 해봐야 일단은 단타 접근입니다.

최고점을 돌파하기전에 매수세의 이상신호 기준은 평행채널 상단이됩니다.

최고점을 돌파하면 이상신호 기준은 최고점이 되기 때문에

신고점 위에서 손절범위를 잡는건 힘들지만

그건 피보나치 비율 기준으로 익절 구간까지의 손익비 계산으로 진입이 시작될거예요.

물론 그것과 별개로 알트코인 수익을 노리시는 분들이라면 어떻게든 조정이 오면 계속 매수 기회가 됩니다.

좋은 차트 코인들은 미리미리 체크해두셔야 하면서 수익이 끊기지 않게

계속 돌리시면 됩니다.

조금 큰 하락이 오더라도 이정도까지 왔으면 전고점 돌가를 해서 얼마 못가 무너져도

갈색동그라미처럼 마지막 매수세를 쥐어짜내면 고점 갱신을 해주려는 움직임은 나올 확률이 높아요.

2021년과 같아서가 아니라도 지금처럼 매수세를 붙여주면

한번 크게 쏟아도 싸니까 더 산다는 매수세는 들어옵니다.

주봉쯤 되는 캔들에서 양봉이 음봉에 장악당하는 파랑색 캔들 같은 모습이 나와야

그때부터 매수세가 확 줄어들기 좋아요.

정확하게는 매수세도 줄겠지만 그거 이상으로 예민하게 숏을 노리는 숏포지션쪽에서 저런 모습을 놓치지 않으려고 하는거죠.

주활색 캔들 같은 모습은 이미 나왔습니다.

주황색 캔들처럼 강하게 매수세를 붙여주고 주봉에서 하락신호가 뜬 시점에서도

또 한번 상승할때 무리하게 올리는 모습에서 비트코인이 신고점을 보여주긴 했었지만

특히 중요한건 주황색 캔들과 같은 모습 이후에 알트코인 시장으로 돈이 들어왔습니다.

알트코인 시총 / 비트코인 과 도미넌스

2021년 3~5월은 2017년의 불장과 같은 모습이었다면

21년 10월이나 현재의 알트코인 펌핑 모습은 조금 다른게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21년 10월 이후 모습과 많이 비슷합니다.

도미넌스부분까지 참고합니다.

2021년 3~5월은 도미넌스 움직임을 보시면 한번에 집중해서 수많은 돈을 코인시장에 쏟아 붓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21년 하반기는 주황색처럼 도미넌스 10정도를 내릴뿐이었어요.

그리고 현재는 10정도를 한번에는 아니지만

3번에 3~5씩 나눠서 10보다 조금 더 내렸습니다.

그럼 여기서 그나마 비슷한 상황이었던 구간만 비교해보면

최저점과 최고점 기준이긴 한데

비트코인 상승을 파랑색의 1차 상승구간과 보라색의 2차 상승구간으로 나눌 수 있어요.

비트코인의 경우 2021년 11월에 신고점을 또 한번 갱신해줄때

기존의 상승보다 5000달라 더 높긴 했지만

이 부분은 상승퍼센트로 생각하면 줄어든겁니다.

오히려 상승한 숫자만을 보면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간격으로 끊어간게 아닐까 싶어요.

확실한건 아니어도 펌핑에 쓴 돈이 1차와 2차가 비슷했던 것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2021년 2차 상승에서 알트코인에 퍼부어준 돈이 줄어들었었어요.

아마 21년은 개미들의 관심이 계속 이어지던 시기라서

알트코인 펌핑을 1차에 조금 더 몰아서 하고 익절까지 생각해서

더 이상 펌핑이 무리다고 생각될때 돈을 뺀게 아닐까 하는데

현재 2023~24년을 보면

비트코인의 상승 수치는 30000달라 수준에서 비슷해졌습니다.

그로인해 신고점을 돌파하냐 마냐의 상황이긴한데

알트코인 시장은 이전보다 더 안좋습니다.

돈이 안몰렸다는 부분만 봐도 알 수 있는데

그게 도미넌스 차트에서 그대로 드러납니다.

2021년 말은 그나마 도미넌스 횡보였다면

2023년은 도미넌스 상승세 중입니다.

그래서 알트코인 매매를 노려도 타이밍이 잘 나오지도 않고

모이는 돈도 부족합니다.

비트코인 시총과 알트코인 시총간에 다이버전스를 기준으로 삼을까 했는데

현재 비슷한 비율로 가고 있어요.

특히 보라색으로 표시한 2차 구간은 기간도 짧고 비트코인을 급격하게 상승시키는 무리한 구간이라는 걸 생각하면

긴 측면에서 볼때 알트코인으로 돈이 모이는 속도가 줄어드는 모습이 보이면

사실상 알트코인 매매도 종료 수순으로 가야하는데

이 부분은 도미넌스가 또 고점을 높이며 상승으로 가는지 봐야합니다.

아라트코인 시총 차트는 지지, 저항선 개념이 적용되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차트 분석쪽 보다는 돈이 모이고 빠지는데 집중해서

수학의 이차 방정식 그래프 생각하세요.

차트적으로 저점과 고점이 낮아진다는 개념은 도움이 되겠지만

돈이 빠지는 모습이 한번 더 나오고

특히 그 돈이 1000조 달라 아래로 빠진다면

다시 돈을 쏟아붓기 어려울거예요.

너무 복잡한건 신경쓰시지 않더라도

슬슬 2차 상승에서 알트코인쪽에 모인돈이 1차 상승때와 비슷해졌다는 부분에서

일찌감치 알트코인 매매를 하신분들은 슬슬 익절 준비도 신경쓰셔야 합니다.

데이 트레이딩 하시는 분들은 시총까지 신경쓰실건 없고

그날 그날 알트코인 돌려가며 수익노리셔도 됩니다.

어차피 비트코인과 도미넌스 디커플링 상황과

차트분석 방식 그대로 하시던거 하시면 됩니다.


오늘 퇴근 하자마자 잠을 보충하고 매매도 하면서 짐정리까지 하다보니

글쓰는 시간이 너무 뒤로 밀렸네요.

그래도 항상 여행 가기전과 다녀온날은 투자 시장이 돈 챙겨줘서 좋습니다!

늦은밤인데 알트코인 매매 하시느라 다들 안주무시는거 다 알고 있어요~

그리고 차트분석은 안했지만 골드도 신고점 도전중입니다!

21세기 최신트렌드 골드와 디지털골드가 손잡고 커플링 하는 모습을 보고 계십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