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파동카운팅 6

파동론3. 파동 카운팅 예상과 대파동과 소파동.

파동론의 마지막입니다. ​ 방송에서 꾸준히 하고 있었고 ​ 지난 글에서 엘리어트 파동과 일목균평 파동의 차이점을 알아봤습니다. ​ 이번에는 파동을 같이 활용하면서 파동 카운팅이 어디서 끝날지 예상지점과 함께 ​ 더욱 정교하게 카운팅 하는 방법을 알아보면서 파동론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 자세한 설명은 11월 6일 방송을 참고해주세요. ​ 일목 균형 파동은 5, 7, (9), 11, 13 파동에서 최고점일 확률이 높습니다. ​ 9파는 조금 특별하다는 것을 감안하면서 ​ 5, 7, 9 파동과 9, 11, 13 파동을 따로 나누어 생각해보면서 ​ 5파동이 나오는 순간부터 최고점일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 5, 7, 9파 둘 중 어느 것이 먼저 끝날지를 미리 예상해볼 수 있다면 ​ 훨씬 더 좋은 손익비로 리스..

달라와 환율 국채 비교 분석. 나스닥 코스피 파동카운팅.

달라 달라는 일단 반등해서 다음 방향에 대한 환승 구간까지 도달했어요. ​ 이 구간에서 매수, 매도 포지션 진입이 일어나는 구간이예요. ​ 달라는 초록색 구간에 다 도달했는데 ​ 유로와 파운드 환율쪽이 아직 저항선까지 이격이 있습니다. ​ 그래서 조금 더 상승의 여지로 갈색선까지는 나올 수 있는데 ​ 저만큼 더 올랐다고 해서 매수 결정이다! 보다는 ​ 유로와 파운드쪽 차트에서 저항 구간 도달했는지를 확인하세요. ​ 오히려 미국 국채 금리 차트는 달라가 오르는만큼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 이 부분을 볼때 현재 자리에서 조금 더 유리한 건 매도이긴 하지만 ​ 어차피 큰 차이의 확률은 아니기 때문에 일단 지켜봐야합니다. ​ 만약 파운드나 유로 환율 차트에서는 저항선까지 추가 상승이 있는데 달라인덱스는 멈춰있다..

파동론2. 일목균형 파동과 엘리어트 파동 비교. 카운팅 방법. 사용 목적.

지난 글에서는 I형 V형 N형이라는 파동의 기본 형태를 알아봤다면 ​ 이번에는 일목균형 파동의 카운팅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일목균형 파동은 한 줄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 N형 파동이 고점과 저점을 계속 갱신하는 상승 또는 하락 추세 파동이 발생한다. ​ 이게 다 입니다. 쉽죠? ​ 흔히 다우이론에서 고점과 저점을 계속 높여주면 상승추세. ​ 고점과 저점을 계속 낮추면 하락추세. ​ 라는 설명과 같은 맥락입니다. ​ 일목균형 파동은 조건이 있습니다. ​ 이 조건을 알아야 실제 카운팅과 함께 추세가 변하는 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카운팅 5, 7, 9, 11, 13파에서 최고점을 만들어 주고 추세가 바뀔 수 있습니다. ​ 2. 일목균형 파동은 상승추세에만 숫자를 붙여서 카운팅합니다...

일목균형 파동 카운팅과 추세 대응.

달라 달라는 확장쐐기형입니다. ​ 어제 방송 했던 일목균형 파동에서 카운팅 해보면 ​ 달라는 5파가 나온 상태입니다. ​ 아직 일목균형 파동 내용을 다 설명 못했기 때문에 ​ 최대한 어제 알려드린 것으로만 설명해보자면 ​ 5파 이후 저점 꼬리에 몸통 걸치고 나면 7파 예상을 해보되 ​ 5파 이후 저점을 무너뜨리지 않는다면 3 + 2 + 2 ​ V자 파동을 계산할 수 있으면서 ​ 까지 진행 되면서 다음 파동이 홀수가 나온다면 ​ 추세가 전환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이후 1파 또는 3파가 나올때 추세가 바뀔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카운팅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을때 까지 연습 하셔야합니다. ​ 차트에서 저점을 깰 경우 3 + 1 + 3 ​ V와 N파를 구분하는 방식 중에 어디서부터..

횡보 수렴 패턴 형태 모음. 파동 카운팅 종료 후.

10월 9일 방송에서 파동 패턴 기초 이론 방송을 했었습니다. ​ 그 중에서 5번째 학습목표 패턴 형태 관련해서는 제대로 알아보지 않았는데 ​ 단순히 파동 패턴 이후 횡보 수렴이 아니라. ​ 추세 지속을 할지. 추세를 전환해 줄지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 몇가지 일정 패턴들을 암기하면 다우이론으로 추세 변경 전에 더욱 빨리 대응해서 ​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 꼭 파동 패턴 이후 횡보 수렴에서 뿐만이 아니라 ​ 어떤 상황에서도 횡보 수렴이 발생 했을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 시험(기출 문제 : 이전 차트)에 자주 나오는 패턴 위주로 풀어보겠습니다. ​ 특히 시험에 자주 나오면서도 매우 중요한 ​ 상승쐐기 후 헤드앤숄더. 하락쐐기 후 역헤드앤숄더. ​ 두 가지는 단순..

달라 파동 카운트. 금융시장 이상한 모습. 비트코인 다이버전스.

달라 2번 파랑색 동그라미가 1번 주황색 동그라미보다 고점을 살짝이지만 높였어요. ​ 확실하게 높였으면 좋았지만 ​ 어쨌든 2번을 해줘서 ​ 추세 반전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 됐는데 ​ 이 경우 파동 카운팅이 가능합니다. ​ 그래서 2번을 앨리어트 1파동 시작으로 기대할때 ​ 3번 갈색 동그라미를 조정 1파동해서 ​ 6번 초록색 동그라미까지 조정 3파동 계산이 가능합니다. ​ 피보나치 비율로 0.382 - 1.618로 깔끔하게 떨어져서 신뢰가 높아요. ​ 이럴 경우 5번 주황색 동그라미를 전체 3파동에서도 1파동으로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 일단 피보나치 비율 0.5인 103.36을 넘지 않아서 신뢰도는 떨어져요. ​ 다만 1파동으로 본다고 가정하면 ​ 4번 갈색 동그라미는 조정 2파동으로 0.114..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