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이야기

비트코인 차트 성격에 맞춘 추세 파악과 대응.

2023. 2. 22. 00:57
728x90
반응형

나스닥

 

 

나스닥은 보라색 구간을 벗어나서 미장이 열렸습니다.

오늘 중 안으로 다시 못들어가면 내일부터는 매도세 나오기 좋아요.

계속 언급하던거라 이정도만 하겠습니다.

달라

 

 

달라는 매물대 중 하나를 녹여내고 다음 단계로 올라섰으면서

103.821 위에서 미장 맞이했습니다.

오늘 중 저번주에 갔던 104.64라도 가면 달라는 매물대 녹여주는 작업을 또 시작합니다.

이렇게 한단계씩 계속 녹여주는 것만으로 달라는 전체적인 횡보를 가지만 방향이 한 번더 위로 결정되면

작년처럼 쉼 없이 갈 수 있는 매수세를 확보하게 됩니다.

비트코인

 

 

검은색 동그라미로 인해 22년 8월 고점과 더블탑을 만들어 줬어요.

더블탑의 형성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현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블탑입니다.

그럼 저항이 제대로 나와야 하는데

현재 내려도 내려도 계속 매수세가 살아나서 돌파를 시도 하고 있어요.

단기적인 상황을 보면 파랑색 동그라미까지 포함하면

현재 세번째 돌파 도전 중입니다.

24500만 지켜주면 계속 돌파 시도하려는 매수세가 나오는데

이건 24200까지 조금 여유있게 잡아도 됩니다.

지금의 매수세로 25200 돌파 못하고

주황색선인 22400이 무너지면 그때부터 매도세가 나오기 좋은 상태가 되면서

21400을 무너뜨리기 위한 본격적인 도전이 시작됩니다.

21년 2월 / 22년 3월

 

 

그런데 비트코인 지금 상황만 보면 보통 이럴 경우 고점 갱신을 잘 해주는 차트입니다.

코인 시장은 그정도의 매수세 때문에 변동성이 잘 나오는겁니다.

그래서 지금 상황에서 비트코인은 25200을 돌파하는것은 문제가 아니예요.

돌파를 못하는게 문제가 됩니다.

말장난 같이 보이시겠지만 이런 미묘한 차이를 캐치해야 코인시장에서 분위기 파악을 민감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 25200 돌파를 가정해본다면(이런다고 미리 매수를 막 받으면 안됩니다. 대응 못하시면 지켜봐야 하는 자리입니다.)

이런자리는 돌파를 해도 장대양봉이 잘 나오는 자리예요.

왼쪽 차트처럼 장대양봉이 나오고 조정이 호고 횡보 하는 시간이 짧은데다

전고점 리테스트 정도만 해주고 끝나면 추가 매수세는 또 오래 받고 분위기 좋게 갈 수 있습니다.

27000은 물론 정말 잘가면 30000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어요.

문제는 오른쪽입니다.

장대양봉으로 돌파하고 분위기 좋게 잘가놓고

횡보를 오래하기 시작하더니 전고점을 제대로 못지켜주면

기존에 매수세에 카운터 맞듯이 올린걸 죄다 내리는 모습으로 갈 수 있습니다.

심지어 꾸물꾸물로 겨우 돌파하면서 전고점 지지가 제대로 안나오는 것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돌파를 못하는 것 자체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당연히 나와야 하는 모습이 안나오거나

나와도 매수세가 잘 안붙는다 싶으면 바로 반격 당하기 딱 좋은 자리가

지금처럼 다우이론상 추세를 바꿔줄지도 모르는 그런 상황이예요.

왜냐하면 매도쪽에서 볼때 다우이론으로 추세 바꿔주는 모습이 나오는 것 자체가 치명적인 불리함을 가지게 됩니다.

4년 이라는 코인시장 사이클에서 매도가 유리한 경우가 1년 조금 넘고, 2년도 채 안되는데

보통은 매수가 막연하게 유리한게 코인 시장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추세가 유리할때 그 유리함을 매수쪽보다 더 절실하게 이어가고 싶어하기 때문에

이런 자리에서 틈만 되면 밀어버리려고 노력하는게 코인시장 매도관점이예요.

이건 나스닥쪽도 마찬가지입니다.

비트코인, 나스닥처럼 매수쪽이 80% 이상 유리함을 가져가는 시장에서는 이런 분위기를 확실하게 체크하셔야 됩니다.

물론 한국 주식시장은 아닌걸 넘어 반대로 보셔도 되요.

매수가 유리한건 불장 한 순간 뿐이고, 매도도 마찬가지입니다.

횡보가 제일 유리한 한국 주식 시장이기에 단타로만 대응해야합니다.

한국 주식 시장만의 문제보다 차트적 특징이 그런식으로 녹아있어요.

예시로 오일차트 같은 자원 시장도 한국 주식시장과 비슷합니다.

우상향이나 우하향 유리보다 일반적으로 횡보를 꾸준히 해주는 차트의 분위기 파악이 그렇습니다.

앞으로 2학년 올라가신다면 차트의 특징을 캐치하면서 그 차트의 분위기 파악에 맞춘 대응도 익숙해지셔야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