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통곡의벽 3

비트코인 월봉과 선물 차트 특징 활용. 달라의 움직임.

달라 왼쪽 차트부터 보면 1번 검은색 동그라미에서 주요 저항지점에서 저항을 받은 이후​2번 파랑색 동그라미에서 다시 평행채널 안으로 들어오면서 샤크패턴으로 매도세가 들어오는 하락타이밍이 생겼는데​생각보다 빠르게 움직였습니다.​특히 중요한건 2번 파랑색 동그라미 안에서 빠른 하락과 리테스트 상승에서 평행채널 상단 저항까지 확인한 점입니다.​이 경우 추가 매도세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이었어요.​3번 주황색 구간에서도 평행채널로 플래그패턴을 만들어 주더니​다시 한번 매도세로 이번에는 큰 평행채널 하단 아래로 밀어넣었습니다.​리테스트에서 다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한차례 더 빠르게 하락하면서 장이 마감된 상태입니다.​2번 파랑색 동그라미 이후 하락 쐐기등이었으면 매수세 받을 기회가 생기면서​횡보를 평행채널 안..

나스닥 통곡의벽 활용. 비트코인 상황.

달라 달라는 전고점 더블탑도 아니고 그 아래 중요 저항선을 넘어가지 못하고 다시 한차계 하락을 해줬습니다. ​ 검은색선으로 그거놓은 추세선이나 지지선까지 한번에 흘러내렸는데 ​ 그럼에도 달라는 현재 하락에서 주요 지점만 오면 계속 싸니까 더산다는 분위기는 유지됩니다. ​ 이런 분위기는 최소 0.114까지는 이어지게 돼요. ​ 7월에 만들어 준 저점 갱신만 안해주면 ​ 상승세에서는 7월 이후 나온 매수세 급으로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데 ​ 단기적으로는 최소 횡보 내지는 아직 상승 추세 전환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 어쨌든 이 부분에서 미국 증시 기타등등 종목 펌핑은 유효하니 ​ 이전 글을 참조해서 그런 종목들 골라서 매매하시면됩니다. ​ 단, 주의한 점이 있다면 달라 하락에서 증시쪽으로 돈이 많이 안..

캔들 패턴과 통곡의 벽 비교. 나스닥과 비트코인.

달라 / 나스닥 파랑색 동그라미와 검은색 동그라미는 같은 시간대의 달라, 나스닥 위치입니다. ​ 달라가 상승하는 동안 나스닥은 횡보였는데 ​ 최근에 나스닥은 계속 거품으로만 상승을 했었기에 지금 이 모습이 특이한 건 아닙니다. ​ 일단 체크해보실 건 캔들 패턴에서 나스닥은 양봉이 장악을 해줬음에도 ​ 일단 15300 부근의 저항 구간에서 막혔습니다. ​ 실패까지는 아니고 15122에 지지선이 있는데 ​ 이걸 손익비 조정까지하면 15122는 진입구간에 걸쳐있어서 ​ 캔들 패턴으로 진입을 노리는 사람들이 매수세를 받기는 좋은 상황입니다. ​ 갈색선이 무너지면 이번 매매는 실패하게 되는데 ​ 달라에서도 음봉이 장악해주고 갈색선을 돌파하면서 매매 실패가 나왔었어요. ​ 저번 글에서 달라는 추세선을 넘어가는 것은..

728x90
반응형